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이사야 9장 3절 중요 단어 삭제
이사야 9장 3절은 이스라엘의 상태에 대한 묘사로, 하나님의 역사 속에서 민족은 번성했으나 기쁨은 더하지 않으셨다는 강조된 대조를 담고 있다. 이 구절은 히브리어 원문(마소라 본문)에도 분명히 **부정어 "לא" (로, not)**가 들어 있어야만 문맥상 일관성과 논리성이 유지된다. 1. 킹제임스 성경 (KJV) “Thou hast multiplied the nation, and not increased the joy…” *“주께서 민족을 번성하게 하시되 기쁨을 더하지는 아니하셨나이다.” 이 구조는 매우 중요하다. 하나님께서 민족의 수는 늘리셨지만, 기쁨은 더하시지 않았다는 절제된 은혜의 묘사이다. 이 구절은 회개 전 상태의 이스라엘, 즉 형식은 늘었으나 실속은 없던 영적 공허함을 드러낸다. 이 대조가 있어야 이어지는 구절에서의 **메시아 예언(6절)**이 필요성과 희망의 배경으로 연결된다. 2. 개역성경 및 현대역본의 문제 예: “주께서 이 나라를 창성케 하시며 그 즐거움을 더하게 하셨으므로…” (KRV 및 NIV 등: You have multiplied the nation and increased its joy.) 이처럼 부정어 “not”이 완전히 삭제되어 마치 기쁨까지 풍성하게 하신 긍정적 결과처럼 왜곡되며, 문맥상 앞뒤 흐름이 맞지 않게 된다. 즉, 1–5절까지 어둠, 고통, 눌림이 중심이었던 이사야의 문맥에서 **"즐거움을 주셨다"**는 진술이 끼어들면 전체 흐름이 부자연스럽다. 3. 사본적 증거 히브리어 **마소라 본문(Masoretic Text)**에는 **"לא" (로, NOT)**라는 부정어가 분명하게 포함되어 있음 → בִּלְתִּי הִרְבִּיתָ לָּהּ הַשִּׂמְחָה ("but not increased joy") 이는 고대 유대 전통, Targum, 페쉬타(Peshitta, 시리아어 역본) 등에서도 확인되며, 대부분의 히브리어 권위 사본들과 주석가들(예: 케일 & 델리치)도 동일한 구조를 지지한다. 반면, 현대 역본들이 따르는 일부 **그리스어 번역본(LXX)**과 소수 영어 번역들은 "not"을 생략하거나 부정 구문을 긍정문으로 전환시킴 → 이는 본문의 대조 구조를 무너뜨림 결론 이사야 9장 3절의 핵심은 **“민족은 늘렸지만, 기쁨은 늘리지 않으셨다”**는 하나님의 은혜의 제한과 훈련의 필요성에 있다. 킹제임스 성경은 마소라 본문을 충실히 반영하여 "not"이라는 부정어를 보존함으로써 문맥의 흐름과 메시아 예언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킨다. 개역성경과 NIV 등 현대 역본들은 소수 본문 또는 번역상의 단순화로 인해, 부정어를 삭제함으로써 논리적, 신학적 연결을 왜곡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절에서도 정확한 말씀 보존은 킹제임스 성경을 통해 유지되며, 그에 따라 올바른 신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