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고린도후서 2장 17절의 오역
고린도후서 2장 17절은 사도 바울이 복음을 다루는 태도에 대해 강조하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키는 자들에 대한 경고를 포함한 매우 중요한 구절이다. 그러나 **킹제임스 성경(KJV)**과 **현대역본들(NKJV, NIV, 개역 등)**은 이 구절의 번역에서 의미 차이가 크며, 그 중심에 있는 그리스어 단어의 본래 의미와 사본 선택이 번역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 1. 킹제임스 성경 (KJV) "For we are not as many, which corrupt the word of God..."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키는 많은 사람들 같지 아니하고...” 여기서 핵심 단어는 **“corrupt”**인데, 헬라어 **καπηλεύοντες (kapēleuontes)**는 원래 **"이익을 위해 속이거나 물건을 희석시키는 상인"**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당시 작은 포도주 장사꾼들이 물을 타서 포도주를 부정하게 파는 행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울은 이 단어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사적 이익이나 변개를 통해 속이거나 희석시키는 자들"**을 강하게 비판한 것이다. 2. 현대역본 (NKJV, NIV, 개역성경 등) NKJV: “For we are not, as so many, peddling the word of God...” 개역: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혼잡하게 하지 아니하고...” NIV: “Unlike so many, we do not peddle the word of God for profit...” 문제점: **“peddle”**은 단지 “소규모로 판매하다”는 의미로 오해될 수 있음. → 부정한 행위의 뉘앙스를 대폭 약화시킴. → 본래 “부패시키다”는 의미가 흐려짐. **“혼잡하게 하다”**라는 표현(개역성경)은 → 그리스어 원어의 뜻과 완전히 무관한 표현이며, → 의미를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만들어 본문 경고의 날을 무디게 함. 3. 원어 분석 – καπηλεύω (kapēleuō, Strong’s #2585) 의미: “이익을 위해 물건을 희석하거나 조작하여 파는 것” 어원: 고대의 포도주 장사꾼들이 물을 타서 포도주를 희석시키거나 속이는 행위 신약 성경에서 이 단어는 고후 2:17 단 한 번만 등장하며, 그 맥락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이익을 위해 희석, 변개, 왜곡하는 것”**을 지칭함 바울은 정당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지 않고, 말씀을 장사 수단이나 사익 도구로 전락시키는 자들을 고발하고 있다. 4. 신학적·현대적 적용 이 구절은 단지 말씀을 잘못 전하는 자들뿐 아니라, 성경을 왜곡·편집·가감하여 판매하거나 새로운 판권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모든 자들에 대한 경고이다. 특히 오늘날 현대 성경 역본들이 매년 새로운 번역본을 만들어 내며, 말씀을 희석하거나 본문을 삭제하고, 판권으로 장사를 하는 행태는 바로 이 말씀에 나오는 **“부패시킨 자들”**과 다를 바 없다. 킹제임스 성경은 말씀 자체에 대한 경외와 보존의 태도를 가지고 **원어 의미를 그대로 “corrupt (부패시키다)”**로 번역함으로써 바울의 경고를 강하고 정확하게 전달한다. 결론 고린도후서 2장 17절의 중심은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키는 자들에 대한 경고”**다. **킹제임스 성경(KJV)**은 그리스어 καπηλεύω의 본래 의미를 정확히 반영하여 **"corrupt the word of God"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키다)**로 강하게 표현함. 반면, NKJV, NIV, 개역 등 현대역본은 이 경고를 “혼잡하게 하다”, “팔아먹다” 등으로 축소하거나 흐림으로써, 말씀을 조작하는 자들에 대한 성경의 강력한 경고를 희석시키고 있다. 이 구절은 오늘날의 말씀 산업, 성경 번역 출판 사업의 상업화, 그리고 본문 변개 문제에 대해 예언적 경고를 주는 본문이며, 그 의미는 킹제임스 성경을 통해서만 온전히 드러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