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베드로전서 4장 3절 우리를 너희로 바꿈
베드로전서 4장 3절에 나타난 킹제임스성경(KJV 흠정역)과 개역성경, NIV 등 현대 역본들 간의 의미 삭제 및 사본 왜곡 문제를 사본 증거와 함께 요약한 분석이다. 1. 성경 구절 비교 킹제임스 성경 (흠정역) 벧전 4:3 “이는 우리가 색욕과 정욕과 과음과 환락과 연회와 가증한 우상 숭배 속에서 걸어 이방인들의 뜻을 이룬 것이 우리 삶의 지나간 때로 우리에게 족하기 때문이라.” 핵심 요소 강조: “우리가” → 베드로 자신도 포함된 고백 “우리 삶의 지나간 때로” → 삶 전체의 경험과 회개를 암시 “우리에게 족하기 때문이라” → ‘우리’로 끝맺음하며 적용 포함 개역성경 “너희가 음란과 정욕과 술취함과 방탕과 향락과 무법한 우상 숭배를 하여 이방인의 뜻을 따라 행한 것은 지나간 때로 족하도다” 문제점: **‘너희’**로 바뀌면서 베드로 자신은 제외됨 → 적용 범위가 축소됨 “우리 삶의 지나간 때” → 완전 삭제됨 **‘우리에게 족하다’**가 아닌 **‘족하도다’**로 주체 불분명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For you have spent enough time in the past doing what pagans choose to do—living in debauchery, lust, drunkenness, orgies, carousing and detestable idolatry.” 문제점: ‘you’ → 독자 분리, 베드로 배제 “our life / our past life” 개념 없음 ‘our’ or ‘we’ → 완전히 삭제됨 단순한 과거 경험처럼 처리함 2. 사본적 증거 분석 구절 요소 - Textus Receptus (TR) / 알렉산드리아 계열 소수 사본비고 ἡμῖν (“our” / 우리에게) - 존재함 / 종종 누락됨다수 사본 기반 TR에는 명확히 있음 τὸ βίον (“our life” / 삶) - 삶을 의미하는 표현 있음 / 누락되거나 일반화됨소수 사본에서는 생략되거나 대체됨 ἡμῖν ἀρκετὸς (“to us it is sufficient”) - 존재함 / 종종 “you”로 대체됨‘우리’가 주체인 구조 유지 안 됨 ▶ 이처럼 소수 사본은 인칭대명사와 경험 중심 요소를 생략하거나 바꾸는 경향이 있음. 이것은 단순한 문장 수정이 아니라 교리적·적용적 왜곡으로 이어짐. 3. 신학적/적용상 문제 항목 - 킹제임스성경 / 현대 역본들 (개역, NIV 등) 베드로의 고백 포함 여부 - 포함 / “우리가”없음: “너희가” 공동체적 적용 - 우리 삶 → 모든 신자 포함 / 개별 적용 또는 독자에게 전가 삶의 본질 회개 강조 - ‘우리 삶의 지나간 때’ → 회개, 자각 강조 / 단순 과거 행동처럼 표현 영적 진정성 - “우리에게 족하다” → 철저한 회개의 표현 / “족하도다” → 비개인적 선언 느낌 ▶ 킹제임스는 회심 전 삶에 대한 개인적 회개의 정서와 진정성이 담겨 있음. ▶ 현대 역본은 베드로의 회개 참여를 삭제하고, 독자에게만 비판적으로 적용함. 4. 역사적 맥락과 현대 역본의 출처 현대 역본들은 웨스트코트-호르트 비평본문(1881)을 기반으로 함. 이 본문은 Codex Vaticanus (B), Codex Sinaiticus (א) 등 알렉산드리아 사본에 의존. 이 사본들은 본문 생략, 의미 축소, 보편화된 표현 선호 등의 특징이 있음 또한 천주교 수호사본(Vaticanus)은 신자 개개인의 책임보다 교회 구조와 보편적 교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읽히기 쉬움 5. 결론 베드로전서 4:3에서 KJV는 베드로 자신을 포함한 회개의 고백과 삶의 전환을 보여줌 개역, NIV는 이를 개인적 책임으로 축소하고 공동체적 적용과 사도적 모범을 삭제함 사본적으로도 다수 본문(Textus Receptus)이 이 표현들을 확실히 담고 있으며, 현대 역본은 소수 사본에 의존하여 중요한 진리를 삭제하거나 희석시켰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