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베드로전서 5장 2절 감독하되 삭제
이것은 베드로전서 5장 2절에 나타난 ‘감독하다’(taking the oversight)의 삭제 문제에 대한 분석이다. 이 구절은 목사(장로, 감독)의 사역 정체성을 명확히 드러내는 말씀인데, 현대역본과 천주교 소수사본 계열이 이 중요한 표현을 삭제함으로써 목회 사역의 핵심 요소를 훼손했다. 아래는 그 사본적 배경과 신학적 문제를 구조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1. 성경 구절 비교 킹제임스 성경 (흠정역) 벧전 5:2 “너희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양 떼를 먹이고 감독하되, 억지로 하지 말고 자진해서 하며 더러운 이익을 위해 하지 말고 준비된 마음으로 하며” 핵심 동사 구조: “feed the flock of God” – 먹이는 일: 말씀 공급, 양육 “taking the oversight thereof” – 감독하는 일: 책임지고 돌보는 감독직 수행 개역성경 (NKRV) “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억지로 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자원함으로 하며…” 문제점: **“감독하되”**에 해당하는 표현 완전 삭제 ‘치되’는 vague한 표현이며 ‘oversight’라는 감독직의 책임과 권위가 없음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Be shepherds of God’s flock that is under your care, watching over them—not because you must, but because you are willing…” ‘watching over them’이라는 표현이 있긴 하나, 그리스어 원문 “ἐπισκοποῦντες”(episkopountes, ‘감독하라’)에 대한 직역이 아님 **사역 직무의 직분적 정체성(감독)**이 아닌, 부차적 설명처럼 축소됨 ‘목사-장로-감독’이 동일 직무를 가리킨다는 신약 교회 직제의 본질이 약화됨 2. 사본적 증거 분석 요소 - Textus Receptus (TR) / Majority Text | 소수 사본 (Vaticanus, Sinaiticus 등)현대 역본 경향 ἐπισκοποῦντες (episkopountes, “감독하되”) - 존재 / 삭제 또는 축소 KJV 유지 | 삭제 또는 축소 사역자 직무 강조 - 명확히 ‘먹이고 + 감독하라’ 이중 명령 / 단일 동사 또는 불분명한 역할 | 감독직 정체성 약화 ἐπισκοποῦντες는 ‘감독하다’(episkopeō)라는 단어에서 파생되며, 이는 신약 성경 전체에서 ‘감독’(episkopos, bishop)의 직무를 설명하는 핵심 용어이다. 3. 신학적 문제점 구분 - 킹제임스 / 개역성경 & NIV 목사의 역할 - 먹이고 + 감독 (양육 + 돌봄 + 인도) / 먹이는 일만 강조 또는 애매한 일반 표현 직무의 이중성 - 장로=감독=목사, 동일 직무의 다양한 측면 / 분리되거나 희미해짐 교회 직제 - 감독직의 본질 유지 / 권위 구조와 책임감이 약화됨 신자 훈련 / 보호 - 책임지고 인도하는 지도자상 / 단순한 양육자로 축소될 수 있음 이 구절은 단순한 ‘설명’이 아니라 교회 사역자에게 부여된 사명과 직무의 이중성(양육+감독)을 계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이다. 4. 삭제의 배경: 알렉산드리아 소수 사본 NIV, NASB, 개역성경 등은 대부분 웨스트코트-호르트 비평본문 (1881) 을 따름 이 본문은 주로 Codex Vaticanus (B), Codex Sinaiticus (א) 등 천주교 바티칸 계열 사본에 의존 이들 사본은 반복적으로 성직의 책임, 성령의 사역, 구원 교리의 명확성을 약화시키는 방향의 누락을 보임 ‘감독’이라는 용어는 천주교 체계상 주교(bishop)와 교황 권위 구조로 연결되므로, 알렉산드리아 사본 편집자들은 해당 단어를 삭제했을 가능성이 있음 5. 결론 벧전 5:2에서 킹제임스 성경은 목사의 양육 사역과 감독 책임을 모두 강조하며, 신약 교회 직제의 정통성을 유지함 개역성경과 NIV는 ‘감독하라’는 명령을 삭제하거나 약화시켜, 교회 직무의 본질을 훼손함 이는 천주교 소수 사본의 부패와 그로 인한 현대 역본의 신학적 결함을 보여주는 결정적 사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