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요한계시록 15장 2절 중요 부분 삭제
요한계시록 15장 2절은 종말의 시기에 짐승을 이긴 자들이 유리 바다 위에서 하나님을 찬양하는 장면을 묘사하며, 그들이 어떤 대상을 이기고 승리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이 구절에서 킹제임스 성경은 짐승과 그의 형상, 그의 표, 그의 이름의 수 -즉 총 4가지 대상-을 정확히 열거하여 성도들이 무엇을 이겼는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1.킹제임스 성경 (흠정역) “또 내가 보니 불 섞인 유리 바다 같은 것이 있는데, 짐승과 그의 형상과 그의 표와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승리한 자들이 하나님의 하프들을 가지고 유리 바다 위에 서서” 여기서 표현된 네 가지 대상은 계시록 전체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종말의 핵심 적대 요소들이다: 짐승 – 적그리스도적 세계 권세 그의 형상 – 짐승을 대신하여 세워진 숭배 대상 그의 표(Mark) – 오른손이나 이마에 받는 표로, 짐승에게 속했음을 의미 그의 이름의 수(666) – 짐승의 정체성과 연결된 상징 수치 이 네 가지가 함께 제시됨으로써, 성도들의 신앙적 승리가 단지 도덕적 의미가 아닌, 구체적 종말의 영적 전쟁에서의 승리를 의미함이 드러난다. 개역성경 및 현대역본(NIV 등)의 문제점 개역: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벗어난 자들” NIV: “those who had been victorious over the beast and its image and over the number of its name” 이들 현대 역본에서는 “그의 표”에 해당하는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 즉, **짐승의 표(mark of the beast)**라는 표현이 사라지고 셋만 열거된다: 짐승 그 형상(우상) 이름의 수(666) 그 결과, **계시록 전체에서 반복되는 구조(짐승, 형상, 표, 이름의 수)**가 이 구절에서 불완전하게 나타나며, 문맥상 일관성과 신학적 중요성이 약화된다. 2. 사본적 배경 킹제임스 성경이 근거하는 Textus Receptus 및 다수 비잔틴 사본(Majority Text)에는 “τοῦ θηρίου καὶ τῆς εἰκόνος αὐτοῦ καὶ τοῦ χαράγματος αὐτοῦ καὶ τοῦ ἀριθμοῦ τοῦ ὀνόματος αὐτοῦ” 즉, **“짐승과 그의 형상과 그의 표와 그의 이름의 수”**라는 표현이 명확히 들어 있다. 반면, 현대 역본들이 따르는 소수 사본, 특히 Codex Vaticanus(B), Codex Sinaiticus(א) 등에서는 **“그의 표”(τοῦ χαράγματος αὐτοῦ)**에 해당하는 문구가 누락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단순화된 목록으로 바뀌어 있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생략은 소수 사본들에서 종종 나타나는 본문 간소화 경향을 보여주며, 결과적으로 계시록의 핵심적인 반복 구조를 왜곡한다. 3. 신학적 중요성 계시록의 반복적 경고 구조의 훼손 요한계시록은 13장, 14장, 16장, 19장에서 반복적으로 **“짐승과 그 형상과 그의 표와 그의 이름의 수”**를 묶어서 언급한다. 이는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종말에 나타날 악한 체계의 완전한 구성을 지적하는 구조이다. “그의 표”의 삭제는 종말의 실질적 위협을 흐리게 한다 짐승의 표는 계시록 13장에서 사람들이 매매를 하기 위해 반드시 받아야 하는 통제 수단으로 제시된다. 이 표를 거부하는 자는 목숨의 위협을 받지만, 하나님의 인을 받은 자들은 이 표를 받지 않는다. 그의 표를 이겼다는 진술이 빠지면, 성도들의 믿음의 승리가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지 불분명해진다. 4. 실제적 적용과 경계의 약화 성도들에게 “짐승의 표를 받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는 요한계시록의 중심 주제 중 하나다. 그의 표를 이긴 자들에 대한 언급이 사라지면, 이 경고의 실제적 적용도 무력화된다. 결론 요한계시록 15장 2절에서 **“그의 표”**는 삭제되어서는 안 되는 결정적인 요소이다. Textus Receptus 및 다수 사본은 네 가지 요소 전체를 보존하고 있으며, 킹제임스 성경은 이를 충실하게 전달하여 성도의 종말론적 승리가 구체적으로 무엇에 대한 것인지를 분명히 제시한다. 반면, 개역성경과 NIV를 포함한 현대역본들은 소수 사본의 불완전한 본문을 따라, “그의 표”를 삭제함으로써 계시록 전체의 구조와 메시지를 훼손하고 있다. 따라서 종말에 대한 경고와 성도의 승리를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본문을 보존한 킹제임스 성경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