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KJB사본학

  • 킹제임스성경
  • KJB사본학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말에 더하거나 거기에서 빼지 말고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주 너희 하나님의 명령들을 지키라.
(신명기 4장 2절)

  • 라틴 벌게이트와 공인본문의 일치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조회수 : 19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년 5월 24일 19시 56분 48초
  • 라틴 벌게이트와 공인본문의 일치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라틴 벌게이트(Vulgate)는 초대 교회 시대 이후 서방 교회에서 오랜 기간 표준 성경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번역은 제롬(Jerome, Hieronymus)에 의해 주후 384년경에 작성되었으며, 그는 기존의 *구 라틴역(Old Latin)*과 자신이 소유한 *구 그리스 사본들(Greek manuscripts)*을 참고하여 신약 성경을 개정하였다. 제롬은 라틴어 개정역을 만들며 여러 사본을 비교하였고, 이 과정에서 공인본문(Textus Receptus)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상당 부분 수용하였다.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공저 The New Testament in the Original Greek 제2권 152쪽에 따르면, 제롬이 참고한 그리스 사본 중 하나는 *알렉산드리누스 사본(A)*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사본이었으며, 이는 공인본문과도 일치하는 본문을 다수 포함하고 있었다. 실제로 알렉산드리누스 사본은 라틴 벌게이트와 여러 독특한 구절에서 일치하고 있으며, 이는 제롬이 사용한 그리스 사본이 A 사본과 공동의 원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라틴 벌게이트는 아래와 같은 중요 구절들에서 공인본문과 일치하는 본문을 유지하고 있다:


    누가복음 22:43–44 – 예수님의 피땀 흘리며 기도하신 장면. 벌게이트는 이 구절을 포함하고 있으나, 파피루스 75(P75)와 바티칸 사본(B)은 이를 생략한다.


    누가복음 23:34 – “아버지여, 저들을 용서하여 주옵소서.”라는 말씀. 벌게이트는 포함하나, P75와 B 사본에서는 삭제되어 있다.


    누가복음 24:51 – 예수님의 승천 장면. 벌게이트는 "하늘로 올려지시니라"는 구절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케년(F. G. Kenyon)은 그의 저서 The Text of the Greek Bible (1937)에서 라틴 벌게이트가 공인본문과 일치하는 24개 복음서 구절 중 22개를 목록으로 제시하여, 그 일치성을 문서적으로 증명하고 있다(pp. 216–218).


    더 나아가, 웨스트코트와 호르트가 공인본문에서 ‘합성된 본문(conflate text)’이라고 주장한 8개 본문 중 무려 4개가 벌게이트에 포함되어 있다. 이는 벌게이트가 단순히 라틴어 성경의 역할을 넘어, 그리스어 전통 본문(공인본문)의 중요한 증거 자료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라스무스가 16세기 초 신약 그리스어 본문을 편집하면서 참고한 사본 중에는 일부 라틴 벌게이트가 보존하고 있는 공인본문 계열의 구절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에라스무스는 이를 통해 자신이 만든 공인본문(Textus Receptus)의 결손 부분을 보완하기도 했다. 이는 라틴 벌게이트가 비록 라틴어 번역본일지라도, 일정 부분 공인본문 계열의 진리를 보존하고 있었음을 입증하는 사례다.


    결론


    라틴 벌게이트는 제롬의 주도 하에 그리스어 사본들과 구 라틴역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나, 그리스어 사본들 중에는 공인본문과 일치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벌게이트는 단순한 번역본 이상의 가치가 있으며, 특히 신약 성경의 본문 비평에서 공인본문의 정당성과 고대 전승의 일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 자료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 사실은 현대 비평 본문 이론, 특히 웨스트코트-호르트 이론의 일방적인 주장에 대한 반론이 되며, 공인본문이 단순히 16세기 인쇄 시대의 산물이 아니라 초기 교회 시기부터 널리 사용되고 전수된 본문임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