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가 없게 얽맴.
2009-07-18 21:51:08 | 관리자
종이나 매인 사람을 놓아주어 양민이 되게 함을 뜻하고 신학적으로는 예수님의 피로 대속되는 것을 말한다.
구속, 대속 참조.
2009-07-18 21:50:47 | 관리자
범법 헌물. 희생물 참조.
2009-07-18 21:50:23 | 관리자
히브리 사람들은 속 중심이 사람의 애정이 있는 자리라고 느꼈으며 바로 여기를 통해 지식과 기쁨과 아픔과 즐거움을 알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성경은 하나님이 마음과 속 중심을 살피신다고 말한다(렘17:10; 20:12).
2009-07-18 21:49:59 | 관리자
히브리 사람들은 사람의 속에 있는 모든 것 특히 속사람을 나타내기 위해 이 말을 사용했는데 지금 사람들은 보통 이것을 속마음이라 부른다. 사람의 속 중심에는 긍휼과 인자함과 부드러움과 동정심이 있다(왕상3:26; 골3:12; 요일3:17; 참조 사63:15; 렘31:20). 우리말로는 이것을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애를 태우다’, ‘긍휼히 여기는 마음’, ‘깊은 사랑’ 등으로 번역하였다.
2009-07-18 21:49:32 | 관리자
엔로겔 우물 근처의 큰 바위. 아도니야의 추종자들이 여기에 모여 반역을 시도하였다(왕상1:9).
2009-07-18 21:49:09 | 관리자
소합향나무의 송진으로 만든 향. 이것은 거룩한 기름의 제조에 쓰인 네 성분 중 하나이다(출30:34-35).
2009-07-18 21:48:41 | 관리자
헷 족속(창23:8), 시므온의 아들(창46:10).
2009-07-18 21:48:16 | 관리자
논밭에서 나는 곡식 따위를 가리킴.
2009-07-18 21:42:50 | 관리자
음식 헌물. 희생물 참조.
2009-07-18 21:42:28 | 관리자
사해의 남동쪽 도시.
이곳은 다른 네 도시와 함께 하늘에서 내려온 불에 의해 소멸당할 위험에 있었으나 롯의 청원으로 보존되었다(창14:2; 19:20-23, 30). 이곳은 원래 벨라라 불렸으며 후에 롯이 천사에게 간청하여 이 도시로 도피하면서 작은 것을 뜻하는 소알로 이름이 바뀌었다.
2009-07-18 21:42:04 | 관리자
이집트 위쪽의 고대 도시(민13:22).
이곳은 왕가의 도시였다(사19:11-13; 30:4). 그 주변의 평지 지역 역시 소안이라 불렸는데 바로 여기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큰 기적들을 행하였다(시78:12, 43). 여기에는 신전과 오벨리스크와 스핑크스 등의 폐허가 크게 남아 있어 이 도시의 고대 영광을 보여 준다(겔30:14).
소안과 오벨리스크
2009-07-18 21:41:22 | 관리자
소바더 참조.
2009-07-18 21:40:56 | 관리자
고린도 회당의 치리자.
유대인들이 바울을 총독 갈리오 앞으로 데려갈 때 그는 이방인들에 의해 매를 맞았다(행18:17). 그는 바울을 없애려는 유대인들의 시도를 책임진 우두머리였으나 후에 회심하여 바울로부터 우리의 형제 소스데네라는 호칭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전1:1).
2009-07-18 21:40:34 | 관리자
거의 죽어가던 상태에서 다시 살아남.
2009-07-18 21:40:01 | 관리자
증언의 백합(시60; 80). 수산 참조.
2009-07-18 21:39:37 | 관리자
욥의 세 친구 중 하나.
그는 잘 알려지지 않은 나아마 출신이었으며 욥과의 대화에서 다른 동료들보다 한 번 적게 즉 두 번 나타나는데 그 역시 다른 친구들과 비슷하게 욥에 대해 생각하며 특히 욥에 대해 엄한 심판을 가하였다(욥2:11; 11:1-20; 20:1-29).
2009-07-18 21:39:07 | 관리자
베레아의 그리스도인.
그는 바울이 그리스에서 소아시아로 가는 동안 그와 함께한 사람들 중의 하나이며(행20:4) 그는 또한 롬16:21에서 소시바더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바울의 친척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2009-07-18 21:38:30 | 관리자
시리아의 한 지역.
이곳의 왕은 사울과 다윗과 전쟁을 하였다(삼상14:47; 삼하8:3; 10:6). 이곳은 다마스커스 근처에 있었으며 솔로몬 왕이 정복한 하맛을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대하8:3).
2009-07-18 16:42:08 | 관리자
짐승의 뿔은 음료를 마시는 그릇이나 혹은 기름이나 향료 등을 담아 두는 통으로 사용되었다(삼상16:1; 왕상1:39).
한편 제단에도 네 모퉁이에 뿔이 있었다(출27:2; 30:2). 제단 참조. 많은 짐승의 경우 뿔은 유일한 공격용 무기이자 장식이었고 그래서 종종 힘과 영예와 지배권의 상징으로 쓰였다. 주님은 다윗의 뿔을 높이 올리셨고 또한 구원의 뿔을 들어 올리셨다(신33:17; 삼상2:1, 10; 욥16:15; 시75:10; 단7:20-24; 눅1:69).
2009-07-18 16:40:33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