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6825개
  Standard는 지파나 군대를 모을 때 장대 위에 높이 단 깃발 같은 상징이며(민2:10; 사59:19) 우리말 성경에서는 보통 군기로 번역되었다. 이교도들은 짐승의 형상 등을 조각해서 군기를 만들어 언덕 위에 세우곤 했다. 한편 Banner는 Standard 위에 붙여서 단 깃발이며 주로 군사적 혹은 종교적 모임이나 행진을 위해 사용되었다. 또 Ensign은 ‘표시가 있는 깃발’을 뜻하며 대개 기로 번역되었다(민2:2).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 생활을 할 때에 깃발이 달린 4개의 큰 군기를 가지고 다녔다(민1:52; 2:2-3). 이런 깃발은 주로 군사를 모아 싸울 때 사용하였다(사5:26; 18:3; 렘4:6). 한편 성도들 위에 나부끼는 그리스도의 깃발은 사랑이다(아2:4).    
2009-07-18 14:57:01 | 관리자
  언약궤를 덮는 뚜껑(대상28:11). 언약궤 참조.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말은 뚜껑을 뜻하며 이것은 곧 죄들을 덮어 주는 것 즉 용서하는 것을 포함한다(시32:1). 기존의 우리말 성경은 이를 속죄소 혹은 시은좌라 칭하였다. 이것은 구약시대 성막의 지성소 안에 있던 언약궤 위에 둔 ‘금으로 만든 자리’로 하나님께서 긍휼을 베푸시는 곳을 의미한다(출25:17-22). 신약성경에서 이것은 그리스말로 속죄를 뜻하였다(히9:4-5). 1년에 한 차례 속죄일에 대제사장은 반드시 속죄의 피를 가지고 긍휼의 자리로 갔는데 이는 속죄가 오직 그리스도의 피를 통해 이루어짐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롬3:25).    
2009-07-18 14:56:35 | 관리자
  불쌍히 여기고 동정하는 것. 이것은 비참하고 죄 많은 죄인들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선하심으로서 그분의 진리와 공의와 조화를 이룬다(시85:10). 그리스도로 인하여 죄인들에게 긍휼을 베푸시려는 하나님의 계획은 무한하신 분의 지혜와 사랑이 담긴 완전한 일이다. 하나님의 긍휼을 참되게 체험한 사람은 그분처럼 긍휼을 베풀고(눅6:36) 비참한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며(시41:1-2) 모든 사람을 용서할 것이다(마5:7; 18:33).    
2009-07-18 14:56:09 | 관리자
  모든 시대에 모든 나라에서 사람들은 슬픔을 당하거나 고통을 당할 때 금식했으며 이것은 본성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이다. 사실 이러한 때에는 몸이 영양분 섭취를 거부하면서 굶주림으로 인한 식욕을 유보시킨다. 성경을 보면 모세 이전에는 금식이라 할 수 있는 예가 없었다. 모세와 엘리야가 그리스도처럼 40일 동안 금식한 것은 그야말로 기적이었다(신9:9; 왕상19:8; 마4:2). 유대인들은 종종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고자 할 때 또 자기들의 죄를 고백하며 그분의 용서를 구하고자 할 때 금식했다(삿20:26; 삼상7:6; 삼하12:16; 왕상19:8; 느9:1; 렘36:9). 또 공적인 재난이 임할 때 그들은 특별 금식을 정하고 젖 먹는 아이까지도 금식했다(욜2:16; 단10:2-3). 그들은 해가 질 때에 금식을 시작해서 다음 날 그 시간까지 금식했으며 또 매년 속죄일을 금식하는 날로 정하고 모두 금식했다. 속죄 참조. 우리 주님께서는 특별히 어떤 금식을 따로 정하지 않았지만 자신이 죽으면 자신의 제자들이 금식할 것을 암시한 적이 있다(눅5:34-35). 실로 그분의 사도들과 초기 신자들의 삶은 자기를 부인하고 고난을 감수하며 금식하는 삶이었다(고후6:5; 11:27). 우리 주님은 금식의 관습을 인정하셨고 사도들은 필요한 때에 그것을 실천했다(마6:16-18; 행13:3; 고전7:5).    
2009-07-18 14:52:30 | 관리자
  시내 광야에서 모세가 산에 올라가 하나님으로부터 율법을 받아 가지고 내려오는 동안 아론이 이스라엘 백성의 간청을 받아들여 만든 우상(출32). 후에 여로보암 1세는 왕국의 분열 후 백성이 예루살렘 성전에 가지 못하게 하려고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 우상을 세웠다(왕상12:28). 송아지는 이집트, 그리스 등 고대 이교도들의 우상숭배 대상이었고 현재 인도 등 힌두교 국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송아지, 벧엘 참조.    
2009-07-18 14:51:54 | 관리자
  고대에 다이아몬드를 일컫던 이름. 이것은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하며 유리나 혹은 단단한 물질 위에 글을 기록할 때 쓰였고(렘17:1) 또 비유적인 표현으로 단단한 것을 나타낼 때도 사용되었다(겔3:9; 슥7:12).    
2009-07-18 14:51:05 | 관리자
  고대부터 세상 곳곳에 잘 알려진 귀금속. 구약시대 사람들은 오빌(욥28:16), 바르와임(대하3:6), 세바와 라아마(겔27:22) 등에서 금을 구했으며 욥은 여러 형태의 금을 이야기했다(욥22:24; 28:15-19). 아브라함은 금이 많았고 여자들의 장식은 금으로 만들어졌다(창13:2; 24:22, 35). 언약궤는 순금으로 입혀졌으며 긍휼의 자리와 성막과 성전에 속한 많은 기구들과 솔로몬의 음료 그릇들도 금으로 만들어졌다.    
2009-07-18 14:49:34 | 관리자
  히브리 사람들은 알파벳의 순서대로 시작되는 이합체(離合體) 시(acrostic poems) 혹은 ‘머리글자 시’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시편 119편이다. 여기에는 히브리말의 각 문자로 시작되는 22개의 소절이 있으며 각 소절은 8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첫 8절은 히브리말의 첫 번째 문자인 ‘알레프’로 시작되고 다음 8절은 두 번째 문자인 ‘뻬트’로 시작된다. 한편 시25:1-22; 34:1-22는 각각 22절이 있는데 각 절은 히브리 문자로 시작된다. 또한 시111:1-10; 112:1-10은 반 절이 한 문자로 그리고 다음 반절이 그 다음 문자로 시작된다. 예레미야 애가의 1:1-22; 2:1-22; 3:1-66; 4:1-22; 5:1-22 역시 이합체 구절이다. 히브리어 참조. 요7:15에서 유대인들은 그리스도께서 배우지 않아서 글자를 모르는데 어떻게 성경을 들어 율법을 가르칠 수 있느냐고 물었다. 한편 사도 바울은 영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글자 - 우리말 성경에서는 율법 자구로 번역됨 - 를 말하였다(롬2:27, 29; 7:6; 고후3:6).    
2009-07-18 14:46:13 | 관리자
  미나리과 식물. 이 식물의 씨는 향내가 나는 기름을 낸다(사28:25-27). 우리 주님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박하와 회향과 근채와 같은 작은 것의 십일조를 바치면서 하나님의 율법에 순종하지 않은 것을 크게 책망하셨다(마23:23).    
2009-07-18 14:42:00 | 관리자
  유다의 평야에 있던 도시. 다윗은 이 도시를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서 구했으나 이곳 사람들은 그를 사울에게 내주려 하였다(삼상23:1-13; 느3:17).    
2009-07-18 14:39:05 | 관리자
  시리아에 있던 지역. 그곳 사람은 Geshuri(기슈라이) 혹은 Geshurites(게슈라이츠)로 불렸다. 그술은 바산과 마아가 그리고 헤르몬 산 사이의 요르단 강 동쪽에 놓였으며 히브리 영토의 경계 안에 있었지만 이스라엘 사람들은 거기 거주민들을 내쫓지 못했다(수12:5; 13:13). 그들은 조공을 바친 것으로 보이며(대상2:23) 자기들의 왕을 가지고 있었다. 다윗의 아내 중 하나인 마아가 즉 압살롬의 어머니는 그술 왕 달매의 딸이었고 압살롬은 자기 형 암논을 죽인 뒤 여기로 피신해서 외조부와 함께 3년을 거했다(삼하3:3; 13:37; 15:8). 한편 블레셋 사람들이 살던 곳 근처에도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수13:2; 삼상27:8).    
2009-07-18 14:25:03 | 관리자
  I. 로마 사람들의 그발은 ‘산들’을 의미하는 ‘이두매아의 한 지역’이었다. 이곳은 사해로부터 홍해의 엘라니틱 만에 이르는 엘아라바 계곡의 동쪽 산지의 북부 지역이었다(시83:7). II. 베이루트 북쪽에 있던 페니키아의 항구 지역. 이곳 사람들은 그발 족속(Giblites)이라 불렸으며 왕상5:18에서는 ‘돌을 다듬는 자들’로 표현되었다. 이들의 땅과 레바논은 모두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배정되었으나 그들은 그것을 제대로 소유하지 못했다(수13:5). 이곳은 중요한 곳이었으며(겔27:9) 특히 담무스 숭배의 본산지였다.    
2009-07-18 14:24:31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