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와 아론의 누이.
그녀는 모세를 궤에 넣어 강에 보낼 때에 앞뒤를 살펴보았고(출2:4-5; 민26:59; 미6:4) 또 대언자로서 이스라엘의 여인들을 인도하여 그들이 이집트 사람들을 익사시킨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고 경배하게 하였다(출15:20-21). 그녀는 모세와 그의 이디오피아 아내를 질투하고 불평을 하다가 잠시 나병에 걸렸으나(민12:1-16; 신24:9) 용서받고 몸이 회복되어 40년 광야 유랑 생활이 끝날 즈음에 가데스에서 죽었다(민20:1).
2009-07-16 02:27:45 | 관리자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시므로 창세 전에 이미 모든 것을 알고 계신다.
성경의 모든 예언은 하나님의 ‘미리 아심’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예언 자체가 사람의 행위나 사건을 미리 결정짓지 않는다. 사람이 어떻게 할지를 하나님이 미리 아신다는 사실이 사람으로 하여금 반드시 그 일을 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하나님은 아담이 타락할 것과 가룟 유다가 예수님을 배반할 것도 미리 알고 계셨지만, 그들이 무엇을 할지 하나님이 미리 아신다는 사실이 그들로 하여금 그들이 했던 일을 반드시 하게 강요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스스로 원했기 때문에 그 일들을 했으며 하나님은 그들이 선택한 일들에 대해 그들이 책임을 지게 하셨다. 바로 여기에 사람의 자유 의지가 작용한다. 그러므로 지옥에 가는 사람은 복음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거부하는 사람이며 이것을 미리 아시는 하나님은 그를 지옥에 가게 정하실 뿐이다. 지옥에서도 그는 하나님이 공평하지 못하다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은혜를 그가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선택, 자유 의지 참조.
2009-07-16 02:27:10 | 관리자
미디안의 후손들.
그들은 아라비아에 거하던 유목민으로 수가 많고 양과 소와 낙타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사60:6). 미디안 족속이 원래 거하던 곳은 홍해 남단이었으나(행7:29) 후에 그들은 세일 산의 동쪽 사막을 따라 북쪽으로도 퍼져 나가 모압 족속의 경계에까지 이르렀고 다른 쪽으로는 시내 산에 이르는 지역까지 뻗어나갔다(출3:1; 18:1; 민22, 25, 31; 삿6-8). 창25:2-4와 창25:12-18을 비교해 보면 그들은 이스마엘 자손과 구분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이 두 민족이 같이 나오면서 하나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창37:25, 36 비교). 그들의 수도는 미디안이었으며 그곳은 아르 시의 남단에 있던 아르논에 있었다. 미디안 족속들은 우상 숭배자였으므로 종종 이스라엘을 부추겨 우상을 숭배하게 하였다. 그들은 히브리 사람들에게 조공을 바치기도 하고 그들을 심히 학대하기도 하였다(민22:1-41; 25:1-18; 31:1-54). 이스라엘 사람들이 씨를 뿌려 수확할 때가 되면 미디안과 아말렉 족속들 즉 동쪽의 사막에 거하는 사람들이 메뚜기처럼 큰 떼를 이루고 와서 열매를 강탈하고 사람들을 죽이곤 하였다. 그래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믿음도 지도력도 기력도 없어서 산굴로 피신하곤 하였으며 바로 이때에 기드온이 나타나 그들을 구출하였다(삿6:7).
2009-07-16 02:26:34 | 관리자
아브라함과 그두라의 넷째 아들(창25:2).
2009-07-16 02:25:59 | 관리자
레스보스라는 섬의 수도 및 항구.
이곳은 소아시아를 향하고 있었으며 바울은 그리스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거기 들렀다(행20:14).
2009-07-16 02:25:31 | 관리자
동방 사람들은 발까지 내려오는 느슨한 옷을 입었으므로 달리거나
싸움을 할 때에 띠로 옷을 몸에 매야 했다.
그러므로 ‘띠로 허리를 묶는다’(to have the loins girded)는 표현은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준비하거나 명령을 기다리는 것을 뜻한다(왕하4:29; 눅12:35; 행12:8). 또한 졸라맨 띠는 참을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그래서 성도들에게도 이런 식의 격려의 말씀이 주어졌다(욥38:3; 렘1:17; 엡6:14; 벧전1:13). 그러므로 띠를 푸는 것은 행동을 위해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사5:27). 많은 사람들과 대언자들이 가죽 띠를 차거나(왕하1:8; 마3:4) 아마 띠를 찼다(렘13:1).
2009-07-16 02:15:01 | 관리자
이 말은 원래 ‘연결하다’를 뜻하며 띠는 현수막을 기둥에 매기 위해 고리를 부착시키는 데 쓰인 좁고 긴 장식 조각을 가리킨다. 성소와 지성소 사이의 다섯 기둥에는 금으로(출36:38), 성막 뜰의 기둥들에는 은으로 이것을 만들었다(출27:10-11; 38:10-12, 17, 19).
2009-07-16 02:14:32 | 관리자
문자적으로 이 말은 사람과 짐승의 똥을 뜻하며(출29:14; 레4:11; 욥20:7) 상징적으로는 가치 없는 것, 수치거리 등을 뜻한다(렘16:4; 빌3:8). 이스라엘 사람들은 짐승의 똥을 거름으로 썼고 가끔씩 말려서 연료로 썼다. 나무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낙타와 나귀의 똥을 거두는 일에 주의를 기울였고 그것을 잘게 썬 밀짚과 섞어서 말렸으며 그래서 어떤 곳에서는 집의 벽마다 이것을 말리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그 뒤 그들은 그것을 화덕의 연료로 사용했다(겔4:12-16). 대언자 에스겔은 사람의 똥으로 빵을 구워 먹으라는 명령을 받았다(겔4:12, 15). 한편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를 알기 전에 자기에게 이득이 되던 모든 것을 똥(배설물)이라 하였다(빌3:8).
2009-07-16 02:14:07 | 관리자
모세는 호렙 산에서 주님이 나타나신 불타는 떨기나무를 보았다(출3:2; 신33:16; 막12:26; 행7:30, 35).
상징적으로 떨기나무는 다른 고상한 나무들과 비교하여 종종 세상 사람들이 경멸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런 차원에서 불타는 떨기나무는 이집트의 쇠 용광로 즉 고난의 불을 참고 살아남은 이스라엘을 가리킨다(신4:20). 이스라엘은 불 같은 책망을 받았으나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
2009-07-16 02:13:36 | 관리자
성경에서 이 단어는 시간이라는 뜻 외에도 해를 가리키기도 한다(단4:16).
특히 예언의 한 해는 360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7:25; 12:7의 ‘한 때와 두 때와 반 때’는 1260일을 가리킨다. 물론 이것은 계11:2-3; 12:6, 14; 13:5 등에서 1260일이요 마흔두 달임이 드러난다.
2009-07-16 02:12:07 | 관리자
히브리말과 그리스말에서 이 단어는 지구 전체를 가리키거나 지구의 육지 부분을 가리키므로 앞뒤 문맥을 살펴봄으로써 어떤 뜻으로 이 말이 사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27:45는 “온 지구에 혹은 온 땅(그 지역의 땅)에 어둠이 있었다.”로 번역될 수 있지만 문맥상 후자가 맞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온 땅’(all the earth)이라는 표현은 지구 전체를 가리킬 때도 있고 땅의 큰 부분을 가리킬 때도 있다. 한편 윤리적인 면에서 땅에 속한 것은 하늘에 속한 것, 영적인 것, 거룩한 것과 반대가 된다(요3:31; 고전15:47; 골3:2; 약3:15). ‘땅의 낮은 부분’은 대개 믿지 않고 죽은 자들이 거하는 지옥 혹은 지하 세계를 가리킨다(시63:9; 사44:23; 엡4:9). 지옥 참조.
2009-07-16 02:11:40 | 관리자
성경에서 딸은 여러 용례로 쓰였다.
아들과 마찬가지로 딸은 친딸 혹은 양녀의 의미 외에 이복누이, 조카, 혹은 여자 후손을 가리키기도 한다(창20:12; 24:48; 신23:17). 좀 더 보편적으로 이 말은 ‘모압의 딸들’ 혹은 ‘아론의 딸들’ 같은 표현에서 보듯이 가족의 여성 후손 혹은 어떤 사회의 여성 부분을 가리킨다(민25:1; 삼하1:20; 눅1:5). 작은 도시는 큰 도시의 딸로 불리며 그래서 두로는 시돈의 딸이라 불린다(사23:12).
성경에서 도시들은 종종 여인들로 표현되며 그래서 ‘시온의 딸들’, ‘예루살렘의 딸들’ 같은 표현이 등장한다(사37:22). 예수님도 십자가 처형을 당하기 위해 끌려가면서 예루살렘 거주민들을 향해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해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들로 인해 울라.”고 말씀하셨다(눅23:28). 유대 땅에서 젊은 여인들은 양을 지키고 물을 나르고 가사를 돕고 빵을 굽기도 하였다.
2009-07-16 02:11:13 | 관리자
유프라테스 강의 서쪽 지역에 있던 중요한 도시.
솔로몬의 통치 때에 이곳은 그의 북동쪽 경계였다(왕상4:24). 이곳의 나루는 유프라테스의 남쪽에서 맨 마지막 것이므로 솔로몬이 동방과 교역을 하기 위해 이것을 소유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였다.
2009-07-16 02:10:46 | 관리자
이곳은 에브라임의 마을로서 여호수아에게 주어져서 그의 소유와 매장지가 되었고(수19:50; 24:30) 딤낫헤레스라고도 불렸다(삿2:9).
2009-07-16 02:10:17 | 관리자
딤나 참조,
2009-07-16 02:09:53 | 관리자
가나안 족속들의 고대 도시(창38:12-14).
이곳은 가나안 정복 이후에 유다와 단의 경계에 있었고(수15:10; 19:43) 오랫동안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 있었다. 삼손의 아내는 딤낫 사람이었으며(삿14:1-5; 대하28:18) 이곳은 딤낫이라고도 불린다.
2009-07-16 02:09:30 | 관리자
에서의 아들 엘리바스의 둘째 아내.
이 이름은 이두매아 족속들의 기록에서 반복되어 나온다(창36:12, 22, 40; 대상1:36, 51).
2009-07-16 02:09:02 | 관리자
초대 교회의 영향력 있는 회원이나 사역자.
그는 시기심에서 나온 야망과 선한 그리스도인들을 격렬히 거부한 것으로 인해 사도 요한에게 혹평을 받았다(요삼9-10).
2009-07-16 02:08:32 | 관리자
아테네의 아레오바고의 일원. 그는 사도 바울의 복음 선포를 듣고 회심하였다(행17:34). 아레오바고 참조.
2009-07-16 02:08:02 | 관리자
납달리의 디셉 출신 사람. 엘리야는 여기서 태어났다(왕상17:1).
2009-07-16 02:07:38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