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405개
  이것은 신약성경에서 그리스어 모디우스를 번역한 것으로 8-9리터 정도의 부피를 뜻하며 마5:15; 막4:21 등에서는 그 정도의 부피를 담는 통을 뜻한다.    
2009-07-18 15:44:32 | 관리자
  고대 유대인들은 꿈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이것을 해석하는 자들이 있었다. 파라오의 잔 드는 자와 빵 굽는 자의 꿈 이야기는 이런 관습이 매우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창40:1-23). 파라오와 느부갓네살도 꿈과 관련된 중요 인물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꿈을 해석하는 사람에게 꿈을 가져가는 것을 엄격하게 금했고 그래서 꿈을 해석하여 예언을 하고 또 그 예언이 맞는다 해도 그것들이 우상숭배를 조장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들을 죽이라고 명령했다(신13:1-3). 그러나 실제로 모든 경우에 꿈이 금지된 것은 아니다. 성경에는 사람들이 어떤 중요한 꿈을 꾼 경우 그것을 주님의 대언자들이나 대제사장에게 가지고 가서 그것의 해석을 의뢰한 경우도 있다(창20:3-7; 28:12-15; 삼상28:6; 단2:1-49; 마1:20; 행27:23). 초자연적인 꿈은 환상과는 달랐는데 그 이유는 꿈은 자면서 꾸지만 환상은 낮에 깨어 있을 때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밤에 꿈으로 아비멜렉에게 나타났으나 아브라함에게는 환상 중에 나타났다. 이 두 경우 모두 그들의 마음속에 그분께서 계시한 것이 확실히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땅에서 천국으로 인도하는 완전한 안내자 성경이 주어졌으므로 성도들은 더 이상 이런 것에 의지할 필요가 없고 해서도 안 된다.    
2009-07-18 15:40:56 | 관리자
  과거에 팔레스타인에는 꿀이 많았으며 그래서 가나안 땅을 가리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 한다(레20:24). 야생 벌꿀은 나무의 오목한 곳이나 바위틈에서 발견되며(신32:13; 시81:16) 침례자 요한이 이런 꿀을 먹었다(마3:4). 성경에서 꿀은 큰 칭송을 받았다(시19:10; 잠5:3; 27:7). 보통 꿀벌이 만드는 꿀은 나무에서 흘러내리며 이를 통해 요나단의 이야기를 잘 이해할 수 있다(삼상14:25, 27). 한편 동방에는 채소에서 생기는 꿀도 있다.    
2009-07-18 15:40:07 | 관리자
  이솝 우화처럼 짐승이나 식물이 사람처럼 말하고 행하는 것을 담은 이야기. 구약에는 요담(삿9:8-15), 여호아스(왕하14:9), 에스겔(겔17)이 이런 형태의 말을 하였다. 신약성경에서 이 말은 신화를 뜻하며(딤전1:4) 부정적인 말이다.    
2009-07-18 15:39:33 | 관리자
  꽃은 쉽게 시들기 때문에 사람의 수명이 짧은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욥14:2; 시103:15; 벧전1:24). 꽃은 또한 이스라엘 왕국의 급속한 몰락과(사28:1) 재물이 신속히 떠나는 것(약1:10-11) 등을 나타낸다. 쉽게 시드는 꽃과는 달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히 지속된다(벧전1:24-25). 예수님은 들의 백합을 예로 들며 하늘 아버지께서 성도의 모든 필요를 아시고 채워 주신다고 말씀하셨다(마6:28; 눅12:27).    
2009-07-18 15:39:06 | 관리자
  수확물을 거운 뒤에 들에 남아 있는 곡식과 식물의 혼합 먹이(욥6:5). 특히 꼴은 말이나 소에게 먹이려고 벤 풀이며 탈곡할 때 생긴 부스러기도 꼴이라 할 수 있다.    
2009-07-18 15:38:42 | 관리자
  창8:7; 레11:15에 나오는 이 새는 주로 시체를 먹되 희생물의 눈을 가장 먼저 먹으며(잠30:17) 또 새끼가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것을 몰아낸다(욥38:41; 시147:9). 엘리야는 까마귀들이 가져오는 음식으로 연명했다(왕상17:6).    
2009-07-18 15:35:39 | 관리자
  많은 경우 성경은 지옥, 형벌의 장소, 혹은 바닥없는 구덩이 등을 표현할 때 깊음이라는 말을 사용한다(눅8:31; 비교 계9:1; 11:7). 또한 이 말은 무덤(롬10:7) 또는 바다의 가장 깊은 곳(시69:15; 107:26) 혹은 세상의 창조 때에 아직 모든 것이 형성되지 않았을 때의 처음 혼동 상태(창1:2) 등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후자의 혼동 상태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통해 엿새 만에 완전한 질서를 갖게 되었다. 눅8:31에서 이 말은 그리스어로 ‘아부쏘스’인데 이는 계9:1-4에 나오는 바닥없는 구덩이 즉 무저갱과 같은 뜻이다.  구덩이, 지옥 참조.    
2009-07-18 15:34:58 | 관리자
  이것은 다윗이 사울의 박해를 피해 한때 몸을 숨긴 블레셋 사람들의 도시 가드에서 유래된 악기 혹은 음악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삼상27:1-7). 가드는 히브리말에서 포도즙 틀을 뜻하며 그래서 히브리 사람들이 포도를 수확할 때 이 악기나 음악을 사용했다고 믿는 견해도 있다(시8:1-9; 81:1-16; 84:1-12).    
2009-07-18 15:34:11 | 관리자
  야벳의 아들 야완의 후손과 그들이 차지한 땅. 깃딤은 키프러스 섬 자체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지중해 연안의 섬들과 나라들 - 예를 들어 마케도니아와 로마 - 을 가리키기도 했다(민24:24; 단11:30).    
2009-07-18 15:33:25 | 관리자
  단의 경계 안에 있던 블레셋 사람들의 도시. 이곳은 레위 사람들에게 배정되었으나(수19:44; 21:23) 블레셋 사람들은 거기서 나가지 않았고 이스라엘 왕 나답의 때에는 오히려 블레셋 사람들이 그곳을 차지했다. 그러나 바아사가 이곳을 포위하고 나답을 죽였다(왕상15:27; 16:15)    
2009-07-18 15:32:45 | 관리자
  바르실래의 아들로 추정되는 사람(삼하19:37; 왕상2:7). 그는 다윗으로부터 베들레헴 근처의 김함이라는 마을을 받은 것 같다(렘41:17).    
2009-07-18 15:32:15 | 관리자
  에스드라엘론 평야의 남동쪽 산허리 지역. 원래 예스르엘은 길보아의 북동쪽에 있는 평야(계곡)였으며 이 평야가 길보아와 사마리아의 작은 산들을 나누었다. 길보아 산허리의 동부에 길보아 마을이 있었고 이 근처에서 사울과 요나단이 블레셋 사람들에게 패하여 죽고 말았다(삼상28:4; 31:1-13). 엔돌은 길보아의 북쪽에 있다.      
2009-07-18 15:31:15 | 관리자
  소아시아의 동남부 지방. 이곳의 북쪽에는 갑바도기아와 루가오니아, 남쪽에는 지중해, 동쪽에는 시리아, 서쪽에는 밤빌리아가 있었다. 이곳의 주요 도시는 사도 바울의 출생지 다소였다(행6:9). 많은 유대인들이 길리기아에 살고 있었으며 그들은 예루살렘과 접촉하며 기독교가 퍼지는 것을 방해했다. 사도 바울도 회심하기 전에 스데반과 공적 논쟁을 벌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행6:9; 7:58) 회심 후 자기 고향을 방문하고(행9:30; 갈1:21) 교회들을 세웠는데 이것들은 예루살렘 공회에서 보낸 편지에도 언급되어 있다(행15:23). 사도는 그 후에 이 교회들을 향해 선교 여행을 하면서 그것들이 순조롭게 자라는 것을 보고자 했다(행15:36, 41).    
2009-07-18 15:30:46 | 관리자
  I. 요르단 동쪽의 비옥한 산악 지대. 이곳은 나무가 우거지고 좋은 초장이 있으며 좋은 경관을 자랑했다. 이곳의 서쪽 경계는 요르단이고 동쪽 경계는 사막이며 남쪽 경계는 모압이었다. 성경은 이 지역의 상수리나무와 소떼가 좋았다고 기록한다(창37:25; 민32:1). 한편 길르앗이라는 이름은 종종 요르단 동부 지역을 가리켰으며 그래서 신34:1은 하나님이 모세에게 느보 산에서 길르앗 온 땅을 단까지 보여 주셨다고 기록한다(민32:26, 29; 신3:12 비교). 그러나 길르앗은 원래 바산의 남쪽 지역이었고 종종 바산과 길르앗은 함께 언급되었다(수12:5; 13:11; 17:1, 5; 왕하10:33). 유향과 바산 참조. 길르앗 산은 얍복 강에서 1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으며 이곳은 야곱과 라반이 무더기를 쌓은 갈르엣으로 추정된다(창31:45-48; 삿7:3). 대언자 호세아는 길르앗을 정죄하였는데(호6:8) 아마도 그곳은 길르앗의 주요 도시인 야베스길르앗이나 라못길르앗이었을 것이다.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지도 참조(19). II. 마길의 아들, 므낫세의 손자(수17:1). III. 이스라엘의 재판관 입다의 아버지(삿11:1).    
2009-07-18 15:30:11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