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405개
  이것은 헛된 꿈을 꾸는 것과는 다르며 병으로 인해 혹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을 때에 몸의 감각들이 소진되어 영과 거의 분리되는 상태를 뜻하고 성경에는 이에 대한 사례가 여럿 있다. 구약시대의 발람(민24:4, 16), 베드로와 바울(행10:10; 22:17; 고후12:1-4)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창2:21-24; 15:12-21; 욥4:13-21 비교).    
2009-06-07 01:23:36 | 관리자
  소아시아의 북서부 지방. 이곳의 동서남북에는 비두니아, 에게 해, 프로폰티스, 루디아가 있었다. 사도 바울은 유럽으로 1차 선교 여행을 떠날 때 여기서 복음을 선포하였다(행16:7-8).    
2009-06-07 01:23:11 | 관리자
  무릎을 꿇는 것은 몸을 굽히고 엎디어 하나님의 복을 구하는 것을 뜻하며(대하6:13; 시95:6; 단6:10; 마17:14) 그래서 이것은 종종 복 받는 것을 말한다(창27:4-10; 레9:22-23; 민24:1; 신33:1). 낙타로 하여금 무릎을 꿇게 하는 것은 낙타가 쉬게 하는 것이다(창24:11). 또한 무릎 꿇는 것은 경배의 행위이다(왕상19:18). 무릎 꿇고 기도하는 것은 오래 전부터 있던 관습이다(대하6:13; 시95:6; 단6:10; 눅22:41; 행7:60; 21:5; 엡3:15). 무릎은 상징적으로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욥4:4; 히12:12). 공포에 사로잡히면 무릎이 떨린다(나2:10).    
2009-06-07 01:22:07 | 관리자
  루기아의 마을. 바울은 여기서 알렉산드리아의 배를 타고 떠나 로마로 향하였다(행27:5). 사도 바울의 로마 이송 지도 참조(44).  
2009-06-07 01:21:35 | 관리자
  히브리 사람들은 전쟁에서 그 당시 동방의 다른 민족들이 사용한 것과 비슷한 공격 무기를 사용했다: 칼, 작은 창, 큰 창, 활, 화살, 손 화살, 던지는 창, 돌팔매 기구 등. 방어용 갑옷에는 투구와 흉갑, 방패, 정강이 보호기구 등이 있었다. 전쟁 참조.   I. 흉갑은 몸을 막아 주는 갑옷으로 가슴판과 사슬 갑옷 등을 포함했다. 이것은 가죽이나 그 외의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졌고 종종 금속성 물질로 덮기도 했으며 몸의 형상처럼 만들어져서 몸에 달라붙게 했다.II. 투구는 주로 금속으로 되었고 위가 뾰족했다.III. 방패는 나무로 만들고 그 위에 가죽이나 금속을 덧입혔다.IV. 정강이가리개는 두꺼운 가죽으로 혹은 놋으로 만들었다(엡6:11-17 참조).   모든 유대인 지파는 자신들만의 기(旗)를 가지고 있었으며 후대에 유대인들은 로마의 군대를 뜻하는 기를 가증한 것으로 여겼는데 그 이유는 그런 기가 이교도 제사장들에 의해 우상숭배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출20:4 참조).    
2009-06-07 01:20:30 | 관리자
  이것은 유월절 다음 날부터 일주일간 지키는 명절인데 이때에는 누룩을 모두 없애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출12:17-20). 유월절, 누룩 참조.    
2009-06-07 01:19:02 | 관리자
  이 말은 건물의 벽에 박은 쇠못이나 핀을 뜻하기도 하고(스9:8; 겔15:3) 종종 확고함을 뜻하기도 하며(사22:23) 확실한 지지대(슥10:4) 혹은 성전에 쓰인 장식용 금 못을 뜻하기도 한다(대하3:9; 전12:11; 사41:7; 렘10:4). 한편 야엘이 시스라를 쳐서 죽일 때 사용한 것도 영어로는 못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장막의 말뚝을 뜻한다(출27:19; 삿 4:21-22).    
2009-06-07 01:17:57 | 관리자
  혼과 영이 거하는 부분(살전5:23). 사람의 세 가지 본질 선도 참조(61). 구원받은 자의 몸에는 성령님이 거하시며(고전6:19; 벧후1:13-14) 이런 몸은 하나님의 소유이므로(고전6:20) 이 몸의 모든 지체는 마땅히 의의 도구로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롬6:13, 19). 사도 바울은 신약 성도들을 그리스도의 몸이라 부른다(엡1:23). 이 몸은 성령님의 침례 사역으로 형성되며(고전12:13) 이를 통해 신자가 그리스도와 또 신자끼리 연합한다(롬6:3-4; 갈3:27). 한편 몸은 그림자와 다르다(골2:17). 그러므로 율법의 의식례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것들의 예표이다. 사도 바울은 본성에 속한 몸과 영에 속한 몸을 말하는데(고전15:44) 후자는 영화로운 몸으로 더 이상 죄나 죽음이나 자연의 법칙에 저촉 받지 않는 몸이다.    
2009-06-07 01:17:31 | 관리자
  아프리카와 아라비아에서 흔하게 자라는 나무의 진액. 여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품질도 각각 달랐으며 가장 좋은 것은 거룩한 기름을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되었다(출30:23). 이것은 향수에도 사용되었고(에2:12; 시45:8; 아4:6; 5:5, 13) 사람이 죽었을 때 부패를 방지하는 데도 사용되었다(요19:39). 동방에서 예수님께 와서 경배 드린 지혜자들은 몰약을 예물로 드렸다(마2:11). 막15:23에는 몰약을 섞은 포도즙이 나오는데 이것은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 전에 그분의 고통을 완화시키려고 준 것으로 추정된다. 히브리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엄청난 고통을 당하며 죽는 사람에게 이 같은 고통 완화제를 주었다(잠31:6). 어떤 이들은 마가복음에 나오는 ‘몰약을 섞은 포도주’가 마27:34에 나오는 ‘쓸개를 섞은 식초’와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몰약을 섞은 포도주’는 그분을 동정하는 차원에서 그분의 고통을 줄여 주기 위해 준 것이라고 생각하며 ‘쓸개를 섞은 식초’는 그분을 잔인하게 다루기 위해 준 것이라고 주장한다. 쓸개 참조.    
2009-06-07 01:16:53 | 관리자
  왕상11:5, 7; 행7:43에 나오는 이교도들의 신. 그들의 왕을 뜻하는 말감(혹은 밀곰) 즉 암몬 족속들이 숭배한 이교도들의 신도 이것과 같은 신으로 볼 수 있다(렘49:1; 암1:15; 습1:5). 이스라엘 사람들은 광야에서 40년간 유랑 생활을 하는 동안 그리고 팔레스타인 땅에 정착한 후에 이 우상숭배를 도입하였다(왕하23:10; 겔20:26, 31). 몰렉에게 바치는 주요 제물은 사람들 중 특히 아이들로서 그들은 그의 형상을 벌겋게 달군 뒤에 아이들을 산 채로 그의 팔에 던졌다. 힌놈 참조(레18:21; 20:2; 신12:31; 시106:37-38; 렘7:31; 19:2-6; 32:35 비교). 어떤 구절을 보면 몰렉은 바알의 또 다른 이름인 듯하다.      
2009-06-07 01:16:24 | 관리자
  아벨은 다른 족장들처럼 양을 지키는 자였다(창4:2). 인구가 불어나면서 사람들은 다른 직업을 갖기 시작했고 라멕의 아들 야발은 가축을 치는 자들의 조상이 되었다(창4:20). 초기의 족장들은 많은 양과 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래서 온 가족이 그것들을 돌보아야 했다. 야곱의 신부 라헬 역시 목자였으며(창29:6) 그의 아들들과 이스라엘 지파의 우두머리는 다 목자였고 다윗 왕도 그러하였다(시78:70-72). 한편 목자들은 성경에서 존귀한 일을 목격하기도 하였다(눅2:8-20). 왕정 시대에 소떼를 관리하는 일은 중요한 직책이었고(삼상21:7; 왕하3:4; 대상27:29-31) 구약성경은 고대 목자들의 생활에 대해 좋은 자료를 많이 제공한다(창14:14-24; 21:22-32; 26:13-16; 30:43; 욥1:3). 하나님은 종종 이스라엘의 목자라는 호칭을 받으며(시80:1; 렘31:10) 왕들도 백성의 목자라는 칭호를 갖는다. 대언자들은 자기들만 먹고 양은 굶게 만들며 또 길을 잃게 만드는 이스라엘의 통치자 즉 왕들을 가리켜 이스라엘의 목자라고 부르면서 책망하였다(겔34:10). 한편 예수 그리스도도 양을 위해 자기 목숨을 내어 주는 선한 목자로 불린다(슥13:7; 요10:11, 14-15). 사도 바울은 그분을 목자들의 목자로 부르며(히13:20) 베드로는 그분을 목자들의 통치자로 부른다(벧전5:4). 그분의 사역자들은 이와 비슷하게 양떼의 목양자 즉 신약시대의 목사라고 불리며 그리스어에서 목자와 목사는 동일하다(렘3:15; 23:2; 엡4:11). 목사 참조. 요10:1-16에서 우리 주님은 “선한 목자가 양들을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리며 그들을 알고 또 그들도 그를 알며 그의 목소리를 듣고 그는 그들 앞에 가며 그들을 이름으로 부르고 아무도 그의 손에서 그들을 빼앗지 못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이것은 실제로 그 지역의 양과 목자와의 관계를 잘 표현한 것이다. 지금도 양들은 이런 식으로 목자에게 보살핌을 받는다. 그러나 삯꾼 혹은 고용된 목자는 양들을 버리고 도망하므로 도둑이 문으로 들어오지 않고 다른 곳으로 들어온다. 양 참조. 성경은 신실한 목자의 뛰어난 점을 보여 주면서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자기의 양 떼를 돌보시는 것을 나타냄을 증명한다. 목자는 자기에게 맡겨진 양 떼의 모든 양을 책임진다(창31:39; 출22:12; 요10:28). 그는 용기와 참을성이 있어야 하고(창31:40; 삼상17:34-35) 약한 자를 부드럽게 돌보며 어린양을 손에 안고 가야 한다(창33:13; 사40:11; 막10:14, 16). 또 그는 잃어버린 양을 찾아서 기근과 사망의 그늘진 곳에서 맑은 물이 흐르는 푸른 초장으로 인도해야 한다(시23:1-6; 눅15:4-7).    
2009-06-07 01:15:52 | 관리자
  목자. 이것은 그리스도의 양 떼를 먹이고 보호하는 직무를 가진 사람으로 감독과 장로와 같은 사람이다(엡4:11; 벧전5:2). 목자, 감독, 장로 참조. 신약성경에서 목사에 해당하는 그리스말은 ‘포이멘’이며 이것은 18군데에서 모두 목자로 번역되었다(마9:36; 막6:34; 눅2:8; 요10:11; 히13:20; 벧전2:25 등).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는 승천하시면서 자신의 교회를 위해 목사 즉 지역 교회의 목자라는 선물을 주셨다(엡4:11). 목사는 감독으로 교회를 감독하며(빌1:1) 장로로 위엄 있게 치리하고(딛1:5) 목자로 꼴을 먹이는 의무를 수행한다(엡4:11). 예수 그리스도는 선한 목자(요10:11), 큰 목자(히13:20), 우리 혼의 목자와 감독(벧전2:25), 목자장(벧전5:4)이시며 따라서 목사는 하늘에 계신 그분을 대신해서 땅의 성도들을 먹이는 작은 목자 혹은 보호자를 뜻한다. 목사의 자격은 딤전3:1-7과 딛1:6-9에 나와 있다. 어떤 이들은 엡4:11을 잘못 해석해서 목사, 교사 등이 직분이 아니라 선물(은사)이라고 주장하지만 이것은 성경의 문맥을 벗어난 자의적 해석이다. 성경은 그 부분에서 분명하게 교회에게 목사, 교사 등의 선물을 주셨음을 말하며 결코 개인의 선물(은사)을 말하지 않는다. 목사는 집사와 더불어 하나님께서 유일하게 교회에게 주신 직분(office)이다(딤전3:1-7). 목사는 권위를 가지고 모범을 보이면서 감독하며 지역 교회의 양들을 이끌고(히13:7, 17; 딤전5:17; 살전5:12) 먹이며(엡4:11-16) 양들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교회는 목사를 존경하고 신뢰하며 사랑하고 후하게 대우하며 기도해 주고 격려하며 감사히 여기고 그의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한다. 한편 구약성경에서도 pastor는 목자이며 또 다른 목자를 나타내는 shepherd와 구분하기 위해 목양자로 번역되었다(렘2:8; 3:15; 10:21; 23:1-2). 목자 참조.    
2009-06-07 01:15:14 | 관리자
  “목을 굳게 하다.”(잠29:1) 혹은 “목이 뻣뻣하다.”는 표현은 고집 센 죄인들이 하나님의 교훈과 바른 것을 외면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고대의 통치자들은 다른 왕을 정복할 때 그의 목을 눌러서 자기가 그를 점령했음을 표시하였다(수10:24; 시18:40).  
2009-06-07 01:14:12 | 관리자
  건물의 모퉁이에 위치한 굉장히 큰 돌(렘51:26). 이것은 기초와는 다르며 건물의 두 벽이 만나서 힘을 받으며 붙게 하는 역할을 했다. 신약성경에서 우리 주님은 세 가지 관점에서 모퉁잇돌로 비교된다. 먼저는 이 돌이 기초에 있으면서 건물을 지지하고 힘을 받게 하듯이 그리스도 나 그분의 가르침도 모퉁잇돌이라 불리는데(엡2:20) 그 이유는 그분의 가르침이 진리의 체계요 사람의 혼을 구원하며 살아 있는 권능을 가진 기독교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또한 모퉁잇돌이 건물에서 중요하고 뛰어난 위치를 차지하듯이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에게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보자라는 위치 즉 이 세상의 어느 누구도 차치할 수 없는 특별한 위치를 주셨기 때문에 그분은 모퉁잇돌로 비교된다(벧전2:6).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불쑥 튀어나온 모퉁잇돌에 걸려 넘어지듯이 그리스도의 복음이 그것을 거부하는 사람을 걸려 넘어지게 하므로 그분은 이런 의미에서 모퉁잇돌로 비교된다(마21:42).    
2009-06-07 01:12:31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