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성경교리

  • 성경공부
  • 성경교리

모든 성경 기록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주신 것으로 교리와 책망과 바로잡음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디모데후서 3장 16절)

  • 장군 이야기조회수 : 15995
    • 작성자 : 김용묵
    • 작성일 : 2009년 12월 17일 13시 48분 32초
  • 일상생활에서 별(별을 달다)..이라는 말은 크게 다음과 같은 문맥에서 쓰인다.
    한국어보다는 영어로 통용되긴 하지만 말 그대로 연예인· 유명인사가 돼서 스타덤에 오르는 경우,
    그리고 군대에서 장군이 되는 것.
    이에 덧붙여 ‘별이 주렁주렁한 역전의 용사’ 이럴 때는, 감방 갔다 오는 것도 별에다 비유하는 것 같다. 이 글에서는 군대 용어 문맥에 대해서만 살펴보고자 한다.
     
    ‘하늘의 별 따기’라는 말이 있다. 말 그대로 불가능이나 다름없는 어려운 일을 일컫는다. 그래서 그런 것일까? 군대에서 살인적으로 되기 어렵다는, 가장 높은 장성 계급의 아이콘도 별 모양이다.
    병장 할 때는 단순히 우두머리를 나타내는 어른 長이지만, 소장, 중장 같은 단어는 한자가 다르다. 將이다.
     
    한국군에 장성, 즉 장군 계급은 원스타 준장부터 시작해 포스타(사성) 대장까지 네 개가 존재한다. 오성인 원수 계급은 국군의 규모 문제도 있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다. (백선엽 장군 명예 원수 추대는 성사됐나 무산됐나 모르겠다 -_-) 우리나라의 은인이라는 맥아더 장군은 잘 알다시피 계급이 원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징병제 하에서 그렇게도 인원이 많다는 육군조차 5~60만 명 정도밖에 안 되니 백만대군이 되려고 해도 멀었다.
     
    부사관이나 장교 같은 간부라고 해도 겨우 하사-중사, 소위-중위 제대는 병특이나 별 차이 없는 일시직에 가까우며, 상사(부사관)라든가 최소 대위(장교) 정도는 돼야 처자식까지 군인 월급으로 먹여 살리는 장기 복무 직업 군인에 가깝다. 다른 조직도 마찬가지겠지만 군대는 정말로 사람이 늘 끊임없이 흐르는 집단이다. 나이가 찰수록 점점 피라미드 꼭대기로 올라 진급을 해야만 하며, 지정된 기간 안에 진급을 못 하면 제대하고 나가야 한다.
     
    다이아나 대나무꽃(흔히 무궁화라고 하는)이 하나씩 느는 것은 병사의 작대기가 느는 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힘들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병과 직책으로 쳤을 때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에 이어 연대장까지 가면 대령 계급인데, 여기까지만 해도 무수히 많은 탈락자들은 마치 나이 때문에 은퇴한 운동 선수들처럼 군대를 이미 떠난 상태이다. (코치가 되는 것도 정말 하늘의 별 따기만치 힘들다) 사실, 장군이 아닌 대령 예편만 해도 이미 연금도 나오고 사회에서 상당한 대우를 받는 지위에 와 있다.
     
    그리고 이 대령이 진급해서 장군인 준장이 된다. (맛대령이 진급해서 맛스타... 라는 삼류 쪼크가 생각나네 ㅜ.ㅜ)
    이런 사람들은 군 생활 경력은 이미 20여 년을 넘겨 있다. 몇 년 전의 어느 통계에 따르면, 준장 진급 경쟁률은 육사 출신의 경우 10몇 대 1, 그리고 여타 학군 출신의 경우 무려 50~60몇 대 1이었다고 한다. 사실 우리나라 육해공을 통틀어서 장군 자체가 몇백 명--정확한 숫자는 기억 안 나지만 500은 절대 안 넘음--밖에 안 되니 얼마나 좁은 자리이겠는가? 이 정도로 희소하니 스타인 것이다.
     
    준장으로 진급하는 사람에게는 대위-소령 내지 중령-대령 진급과는 비교가 안 되는 넘사벽 별세계가 펼쳐진다. “장군의 세계에 들어오신 걸 환영합니다.” 국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임명을 받으며, 고급 유니폼, 장군용 권총, 고급 승용차(에쿠스던가?)가 지급된다. 출근할 때는 승용차에다 번호판을 가리고 자기 계급을 나타내는 성판을 달 수 있다. 정말 뽀대 나지 않는가? 예비군 향방작계 훈련 때 안보 강연을 하던 사람이 육사 출신으로 준장 예편한 사람이었는데.. 대단하다. ^^;;
     
    계룡시에 있는 육본처럼 별들이 우글거리는 곳에서는 준장이 하도 많아서 오히려 거기서 초소 근무나 하는 이등병이 더 희귀하고 ‘이등별’이라고 불린다는데... 믿거나 말거나이다. 장군들끼리는 군기가 이등병-병장처럼 존재하나 모르겠다.
     
    소장인 투스타는 잘 알다시피 사단장 직책으로, 말 한마디만 하면 개인 권한으로 병사를 마음대로 휴가를 주거나 영창에 보낼 수도 있다. 이미 수천에서 만 명이 넘는 병사가 이 사람 한 명 관할이다. 박정희가 육군에서 이 계급이었으며, 그 권한은 그 당시 쿠데타를 일으킬 수 있을 정도였던 것이다.
     
    삼성장군인 중장은 국군 전체를 통틀어 버스 한 대에 다 타는 인원밖에 없는 걸로 알고 있다. 군단장 직책이 되는데, 군단장이 병사에게 직접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오히려 사단장보다 못하다. 그런 곳까지 간섭하기에는 계급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사관학교 교장이 중장이며, 부대를 통솔하는 중장은 승용차도 잘 타지 않고 보통 헬기를 타고 날아다닌다고 한다. 일반 병사들은 군 복무 기간 내내 쓰리스타 이상급은 얼굴 볼 일도 사실상 없다.
     
    사성장군은 딱 8명인가 9명 있다. 해· 공군에는 참모 총장이 각각 1명씩으로 유일하고 나머지는 육군의 지역별 무슨 사령관 내지 참모 총장이다.
     
    스바르탄 화백의 <060 특수부대> 만화에서 구라-_- 내지 현실성이 없는 설정을 지적하자면 여자 사병을 비롯해 여럿 찾을 수 있는데.. 특히 별에 대한 왜곡 내지 과장이 참 심하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에쿠스 몰고 다니면 될 투스타 아저씨가 웬 시내버스에나 타서, 휴가 나온 사병의 경례를 받는단 말인가? 남편이 대위인데 아내가 준장인 것도 말도 안 되는 설정이다. 그냥 순전히 재미로 웃자고 그리는 만화인 것이다. ^^
     
    ‘성경에 나오는 로마 군인 백부장은 중대장, 대위 뻘 되는 계급의 군인이구나!’ 하는 걸 느끼게 된 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
    사실 군인이라는 게 조국을 지키고 국가를 위해서 목숨까지 바치는 사람이다 보니 나라에서는 응당 군인에게 최고의 예우를 보장해 줘야 한다. 식민지를 거느리는 강대국의 군인이 된다는 건 권력을 등에 업은 출세 행로 중 하나였다. (과거 로마군, 20세기 일본군 등..-_-)
    군수 산업만 해도 국가가 망하지 않는 한 절대 안 망하는 철밥통이다. 그러나 의사나 법조인과 마찬가지로, 군인 역시 돈보다는 정말 명예로 먹고 사는 직업이라는 인식이 서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어느 나라이든 군 복무는 애국심과 충성을 보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해당 국가의 시민권 따는 것에도 엄청난 특혜를 준다. 축구야 유능한 외국인 코치를 영입도 하지만, 군대가 민영화-_-한다거나 능력이 특출난 외국인 장군을 참모진에 영입한다는 얘기는 절대 없다. ㅋㅋ 차라리 시키는 대로 일만 하는 졸병은 용병을 수입해서 쓸 수도 있지만 말이다.. 사관학교를 등록금이 없어서 못 가는 나라도 있을 수가 없다.
     
    그런데 군인이 그런 힘과 특권을 남용해서 정치에 끼어들고, 나라 바깥을 지키는 게 아니라 자꾸 나라 안에서 간섭을 하려 들면 사정이 곤란해진다. 정치 기강이 제대로 자리 잡히지 못한 나라가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이다.
     
    성경에서는 이스보셋과 아브넬 사이가 그러했고(삼하 3:11), 나중에 다윗 왕과 요압 장군 사이의 관계도 그러했다. 요압은 일면 유능한 군인으로서 다윗을 도운 부하였고 건국 공신이었다. 하지만 다윗의 명령을 전적으로 따르지는 않아서 여러 번 항명도 하고, 왕이 죽이지 말라고 한 사람까지 여럿 죽였다. 나라 지키는 데 능력이 저만한 인물이 없으니 짜르지는 못하겠고... 다윗도 어찌 할 도리가 없었기에, 결국 아들 솔로몬에게 요압을 축출하라는 지시를 유언으로 남길 정도였다.
    (구약 성경에서 어정쩡한 아군 노선을 간 대표적인 인물로 예후와 요압이 본인의 기억에 고등학교 시절부터 생생히 남아 있다.)
     
    이스라엘의 건국 초기가 저러했을진대 그 어느 때보다도 정치적으로 불안했던 우리나라의 정부 수립 초기는 더 무슨 말이 필요하리요? 이승만의 부당한 명령에 군인의 양심을 걸고 항명했던 이종찬 참모총장이 괜히 존경 받는 게 아니다. 대통령이 사욕을 이루기 위해 제멋대로 계엄을 선포하여 군대를 끌어들이기도 하고, 반대로 군인들도 장군끼리 뭉쳐서 하극상으로 정권을 뒤집어엎는 게 그때는 가능했다. 군대 조직에 대해서 좀 알고 나니까 역사가 좀더 실감이 간다.
     
    우리나라는 초대 대통령이자 완전 미국물 별종인 이승만을 제외하면, 직업 군인 출신이 아닌 민간인이 정권다운 정권을 잡은 것은 무려 김영삼이 처음이다. 아들 세대가 아닌 본인이 사병 복무만 마치고 대통령이 된 사례는 노무현이 최초이다. 아무쪼록 우리나라도 군대 내지 군인이 좋은 이미지로 남아 갔으면 좋겠다. 군을 천대하는 나라에서는 제대로 된 애국심이 결코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2-07-19 11:02:34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