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계시록 1장 18절 등 아멘 20여 회 삭제
성경에서 "아멘"은 "그대로 이루어지소서"라는 의미로, 기도나 찬양의 끝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확신과 동의를 표현하는 중요한 단어입니다. 그러나 현대 역본들, 특히 개역성경과 NIV(New International Version)에서는 이 "아멘"이 여러 구절에서 삭제되거나 생략되어 있습니다.
아멘의 삭제 사례 1. 요한계시록 1장 18절 흠정역: "나는 살아 있는 자라. 전에 죽었으나, 보라, 내가 영원무궁토록 살아 있노라, 아멘. 또 내가 지옥과 사망의 열쇠들을 가지고 있노라."
개역성경: "곧 산 자라 내가 전에 죽었었노라 볼지어다 이제 세세토록 살아 있어 사망과 음부의 열쇠를 가졌노니"
NIV: "I am the Living One; I was dead, and now look, I am alive for ever and ever! And I hold the keys of death and Hades."
여기서 "아멘"이 삭제되어, 예수님의 부활과 영원한 생명에 대한 확신의 표현이 약화되었습니다.
2. 요한일서 5장 21절 흠정역: "어린 자녀들아, 너희 자신을 지켜 우상들을 멀리하라. 아멘."
개역성경: "자녀들아 너희 자신을 지켜 우상에서 멀리하라"
NIV: "Dear children, keep yourselves from idols."
여기서도 "아멘"이 생략되어, 권면의 마무리에서 신앙적 확신이 줄어들었습니다.
아멘의 전체 사용 현황 성경 전체에서 "아멘"은 약 78회 등장합니다. 그러나 개역성경은 이 중 20회 이상을 생략하여 약 50여 회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NIV와 같은 현대 역본들도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이는 성경의 원래 메시지와 독자의 신앙적 확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
"아멘"은 단순한 종결어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자의 확신과 동의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따라서 성경 번역에서 "아멘"의 생략은 신앙의 본질적인 부분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정확하고 충실한 번역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온전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