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성경공부

사도행전

  • 성경공부
  • 성경Q/A
  • 사도행전

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 사도행전 13장 42절 문제조회수 : 20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년 5월 21일 11시 56분 34초
  • 사도행전 13장 42절 문제

     

    사도행전 13장 42절은 본문상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의 대조 구조가 뚜렷이 드러나는 구절인데, 킹제임스 성경(KJV)과는 달리 개역성경, NIV 등 현대 역본들은 이 중요한 구조적·신학적 요소를 왜곡하거나 축소하고 있다. 


    1. 본문 비교

    킹제임스 성경 (KJV)

    “유대인들이 회당을 나갈 때에, 이방인들이 다음 안식일에도 이 말씀들을 자기들에게 선포해 줄 것을 간청하더라.”


    개역성경

    “그들이 나갈새 사람들이 청하되 다음 안식일에도 이 말씀을 하라 하더라.”


    NIV

    “As Paul and Barnabas were leaving the synagogue, the people invited them to speak further about these things on the next Sabbath.”


    2. 핵심 차이

    항목 / 킹제임스 성경 / 개역/NIV 등

    누가 회당을 나가는가 / 유대인들 / 바울과 바나바

    누가 요청하는가 / 이방인들 / 사람들(불특정 다수)

    구절의 흐름과 대조 / 유대인 ↔ 이방인 / 대조 불분명

    선포 요청 대상 / 이방인이 다음 안식일에도 듣기 원함 / 단순 요청, 대조 없음


    즉, KJV는 유대인이 회당을 나가고, 그 직후 이방인이 복음을 요청하는 구조를 보여 줍니다. 이는 성경 전체에서 드러나는 주제, 즉 복음이 이방인에게 확장되는 것을 명확히 드러냅니다.


    3. 사본적 증거

    다수 본문 계열(Textus Receptus):


    원문: “ἐξιόντων δὲ τῶν Ἰουδαίων ἐκ τῆς συναγωγῆς...”


    직역: “유대인들이 회당에서 나갈 때...”


    소수 사본(B, Aleph, 일부 알렉산드리아 사본):


    “바울과 바나바가 나갈 때”라는 표현이 암시됨 (이 구절이 변형되었거나 주어가 바뀌었음)


    소수 사본 편집자들(Westcott-Hort, Nestle-Aland 등)은 “τῶν Ἰουδαίων” (유대인들)을 생략하거나 바꾼 사본을 따름


    4. 신학적 의미

    KJV가 보존하는 핵심 메시지:

    유대인들의 거절과 이방인들의 관심을 드러냄

    (→ 복음이 유대인을 지나 이방인에게 전해지는 이정표)


    구속사의 진행 방향을 암시:

    사도행전 13장은 이방인 선교의 분기점

    유대인의 완고함과 이방인의 간청이 대조됨


    현대 역본들의 축소 결과:

    “사람들” 혹은 “바울과 바나바가 나갈 때” 등으로 표현을 바꿈

    복음의 대전환점이 흐릿해짐

    이방인 선교의 역사적 분기점이 희석됨


    5. 결론 및 요약

    KJV는 정확히 “유대인들이 나갈 때”를 기록하여, 이방인의 복음 요청과 구속사적 대조를 강조함


    반면 NIV, 개역성경 등은 ‘바울과 바나바가 나갈 때’ 또는 ‘사람들이 요청했다’는 식으로 구조를 흐림


    이러한 삭제 및 축소는 소수 알렉산드리아 사본들에 기반한 결과이며, 하나님의 말씀이 가지는 선명한 진리 전달 구조를 훼손


    따라서 본문적, 신학적, 사본적 정당성은 KJV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결론:

    사도행전 13장 42절은 유대인의 거절과 이방인의 간청을 명확히 보여 주는 매우 중요한 전환 구절입니다. 이 구조를 유지한 KJV가 원문적, 신학적으로 모두 옳으며, 현대 역본들은 이 구조를 흐려서 복음의 이방인 확장이라는 중요한 성경 주제를 훼손하고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