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6508개
  유다의 도시 중 하나. 이곳은 후에 시므온에게 주어졌다(수15:32; 대상4:32). 한편 가나안 북부에도 이 이름의 지역이 있었다(민34:11).    
2009-07-10 01:56:52 | 관리자
  아이(창12:8), 아야(느11:31) 혹은 아얏(사10:28)이라고도 불리는 가나안 족속들의 도시. 이곳은 벧엘의 동쪽에 있으며 한때 아브라함은 그 근처에 머물며 제단을 쌓았다(창12:8; 13:3). 아간의 범죄로 인해 여호수아는 이곳에서 패하게 되었고 그 후에 이곳을 정복하였다(수7:2-5; 8:1-29). 이곳은 재건되었고 대언자 이사야가 후에 언급하였다(사10:28).    
2009-07-10 01:55:55 | 관리자
  주전 19년에 통치를 시작한 로마의 황제. 그는 조세 등록을 명령하였고(눅2:1) 이로 인해 요셉과 마리아는 베들레헴으로 가서 메시아 그리스도를 출산했다. 그는 주후 14년에 죽었다.    
2009-07-10 01:55:24 | 관리자
  I. 단 지파의 도시. 이것은 레위 사람들인 고핫의 아들들에게 주어졌으며(수21:24) 딤낫에서 가까운 곳에 있었고 블레셋 사람들은 아하스로부터 이곳을 빼앗았다(대하28:18). 이곳은 기브온 골짜기에서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이곳의 골짜기는 북쪽으로 향했으며 여기에서 여호수아는 해와 달이 멈추어 서라고 명령했고 그것들은 그의 명령대로 멈추어 섰다(수10:12). II. 베냐민의 고을. 이곳은 벧엘에서 5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후에 르호보암은 이곳을 강화했다(대하11:10). III. 스불론 땅의 고을. 이곳은 재판관 엘론의 매장지였다(삿12:12).    
2009-07-10 01:54:47 | 관리자
  유럽 동쪽에 놓인 동방 대륙의 여러 부분 중 하나. 성경이 말하는 아시아는 소아시아로서 흑해와 지중해의 동쪽 지역 사이의 반도를 가리킨다. 예전에는 여기에 브루기아, 길리기아, 밤빌리아, 루시아, 루디아, 무시아, 비두니아, 파플라고니아, 갑바도기아, 갈라디아, 루가오니아, 비시디아 등이 포함되었다. 사도행전과 요세푸스의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신약시대에는 많은 유대인이 이 지역에 퍼져 살았다. 신약성경 기록자들이 아시아를 언급할 때에는 소아시아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고(행19:26-27; 20:4, 16, 18) 총독이 다스리는 아시아 즉 에베소가 수도로 있던 이오니아 지역을 의미하기도 했다(행2:9; 6:9; 16:6; 19:10, 22). 요세푸스 참조. 사도 바울의 1, 2차 선교 여행 지도 참조(42).    
2009-07-10 01:54:14 | 관리자
  고대의 제국. 이 이름은 이 지역에 정착한 셈의 둘째 아들 앗수르에서 나왔다(창10:22). 성경에서 아시리아는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아시리아 제국 지도 참조(34). I. 본래의 아시리아. 이것은 티그리스 강 동쪽에 아르메니아와 수시아나 그리고 메대의 중간에 놓인 왕국으로 고대에 여섯 개의 지방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의 수도는 가장 비옥하고 좋은 곳에 위치한 니느웨였으며 따라서 아시리아는 좁은 의미에서 니느웨가 속한 지방을 뜻했다. II. 대개 아시리아는 바빌론과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하고 유프라테스까지 뻗어나간 아시리아 왕국을 의미했다. 이사야 대언자는 이 왕국을 사용하여 대언의 말씀을 전하였다(사7:20; 8:7). III. 아시리아 제국이 무너진 후에 이 이름은 그 전에 아시리아의 통치를 받던 나라들에게 적용되었다. (a) 바빌론(왕하23:29; 렘2:18), (b) 페르시아(스6:22, 여기서 다리오는 아시리아의 왕이라 불린다). 고대 아시리아의 역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성경을 통해 이 나라가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이스라엘은 재판관들의 시대에 이 나라의 왕들 중 하나에 의해 정복을 당했고 왕들의 시대에 이 나라는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아시리아 왕 불은 므나헴의 통치 기간에 이스라엘을 침범했고 디글랏빌레셀은 아하스를 도와 북쪽의 열 지파와 연합한 시리아 군대를 치게 하였다. 한편 살만에셀은 이스라엘을 침략하여 호세아를 정복하고 그를 봉신으로 삼아 해마다 조공을 바치게 하였지만 호세아는 이 멍에를 벗기 위해 이집트와 연합해서 조공 바치기를 거부했다. 호세아의 계략을 눈치 챈 살만에셀은 다시 이스라엘을 침공하여 사마리아를 멸하고 왕에게 족쇄를 씌우고 그 땅의 백성을 메대로 이주시키면서 북 왕국 이스라엘의 막을 내렸다. 한편 요르단 동쪽에 있던 세 지파는 디글랏빌레셀이 유다의 아하스를 돕기 위해 이스라엘을 침략할 때 이미 포로로 사로잡혀 메대로 끌려갔다. 아시리아의 산헤립은 큰 군대와 함께 히스기야 시대에 유다를 공격했지만 기적적으로 참패를 당하게 되었다. 그의 아들 에살핫돈은 므낫세 왕 시대에 유다를 초토화시켰고 주요 인사들을 묶어서 바빌론으로 데려갔다. 이후에 아시리아는 급격하게 세력을 잃게 되어 마지막 황제인 사르단팔루스 때에 메대 왕국에게 그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민24:22). 이곳의 수도는 유명한 니느웨였다. 니느웨 참조.    
2009-07-10 01:53:07 | 관리자
  창14:5에 나오는 한 지역의 이름. 이곳은 요르단 너머의 바산 왕 옥이 소유한 도시로서 단순히 아스다롯이라 불리기도 하였다(신1:4). 이 이름은 초승달이나 뿔들을 지닌 모습으로 우상화된 아스타르테(아스다롯) 여신에서 유래되었다. 가나안 정복 후 이곳은 레위 사람들의 도시로 므낫세 반 지파의 경계 안에 있었고(수13:31; 대상6:71) 또 브에스드라라 불리기도 하였다(수21:27).    
2009-07-10 01:51:45 | 관리자
  블레셋의 다섯 개 주요 도시 중 하나. 이곳은 유다에게 지정되었으니 그들은 그곳을 정복하지 못했다(수13:3; 15:47; 삼상5:1; 6:17; 느4:7). 여기에 다곤의 전이 있었으며 에벤에셀에서의 싸움 이후에 여기로 하나님의 궤가 들어왔다(삼상5:1). 그리스 사람들은 이곳을 아소도라 불렀으며 그리스도 시대에 이곳은 유대에 속했다. 여기서 전도자 빌립은 복음을 선포했다(행8:40). 아소도 참조.    
2009-07-10 01:51:13 | 관리자
  페니키아 사람들이 숭배하던 여신(왕하23:13). 그리스 사람들은 이 여신을 아스타르테라고 불렀으며 이스라엘과 블레셋에도 이 여신을 숭배하는 것이 도입되었는데(왕상11:5, 33; 삼상7:3; 31:10) 보통 이 여신은 바알과 함께 언급된다(삿2:13; 10:6; 삼상7:4; 12:10). 아스다롯 여신 숭배에는 음탕한 행위가 동반되었으며 남자들 중에서 몸을 파는 자들과 창녀 등이 이 여신을 위해 거룩히 구분된 것으로 여겨졌다(왕하23:7; 참조 레19:29; 신23:18). 동방의 신화에서 바알이나 벨이 남성으로 재물의 별이나 주피터를 의미하듯이 아스다롯은 여성으로서 재물의 별이나 비너스를 의미했다. 또한 바알은 태양신을, 아스다롯은 달 신을 의미했다. 바알 참조(렘7:18; 11:13; 44:17-18; 겔16:1-63). 하늘의 여왕 참조.    
2009-07-10 01:50:49 | 관리자
  이집트의 도시 온의 제사장 보디발의 딸. 파라오는 그녀를 요셉에게 주어 그의 직무에 영광과 존귀를 더해 주었으며 그녀는 에브라임과 므낫세를 낳았다(창41:45; 46:20).    
2009-07-10 01:50:23 | 관리자
  아시리아 왕. 그는 북 왕국 이스라엘의 열 지파의 땅에 유프라테스 너머에 살던 사람들을 이주시켰다(왕하17:24; 스4:10). 후자의 말씀에서 에스라는 그를 ‘위대하고 존귀한 자’라고 묘사했다.    
2009-07-10 01:49:54 | 관리자
  블레셋의 도시. 이곳은 아스돗과 가자 사이의 지중해 연안 도시였다. 여호수아가 죽은 이후에 유다가 이곳을 점령했지만 그 뒤 이곳은 블레셋 사람들에게 속한 다섯 개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삿1:18; 삼상6:17). 스가랴 대언자의 말씀 즉 “가자에서는 왕이 사라지고 아스글론에는 사람이 거주하지 아니하리라.”(슥9:5)는 예언에 따라 여기에는 더 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다.    
2009-07-10 01:49:29 | 관리자
  고멜의 아들, 야벳의 손자(창10:3). 그의 후손이 살던 지역도 아르메니아의 민니와 아라랏과 함께 같은 이름으로 불렸는데(렘51:27) 아마도 이곳은 흑해 쪽을 향한 지역일 것이다.    
2009-07-10 01:49:06 | 관리자
  전도자 빌립이 사막에서 이집트 내시에게 복음을 선포한 뒤 성령님께서는 그를 들어 올려서 기적적으로 아소도로 데려가셨다(행8:39-40). 아스돗 참조.    
2009-07-10 01:48:13 | 관리자
  야곱의 여덟 번째 아들. 그는 실바의 둘째 아들이었다(창30:13; 35:26). 가나안에 들어갈 때 아셀 지파는 순서 상 다섯 번째였으며 그 수는 53,500명이었다. 아셀의 몫은 해안을 따라 있었으며 북쪽에는 레바논과 시돈, 남쪽에는 갈멜과 잇사갈 지파, 동쪽에는 스불론과 납달리 지파를 경계로 두었고 그들의 땅은 곡식, 포도즙, 기름, 광물 등이 풍부하였다(창49:20; 신33:24-25).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와 아셀 지파 지도 참조(19, 26).  이들의 영토에 페니키아의 해안이 얼마나 포함되었는지는 잘 모르지만(수19:25, 28) 아셀 지파 사람들은 가나안 족속을 정복하지 못했고 부분적으로 그들 가운데 살았다(삿1:31-32). 그들은 다윗과 히스기야 왕의 역사에서 명예롭게 기록되어 있다(대상12:36; 대하30:11).    
2009-07-10 01:47:46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