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안 족속들의 주요 도시(수10:33; 12:12).
이곳은 벧호론과 지중해 사이에 있었으며(수16:3) 후에는 에브라임 지파의 서쪽 경계에 놓였고 레위 사람들에게 배정되었다(수21:21). 오랫동안 가나안 족속들이 여기에 발판을 두었으나(수16:10; 삿1:29) 이곳은 이집트 왕에 의해 정복되었고 솔로몬의 아내가 된 그의 딸에게 주어졌다(왕상9:16).
2009-06-14 01:19:08 | 관리자
베냐민에게 속한 레위사람들의 도시(수21:17; 대상8:6).
이곳은 라마 근처에 있었고(느7:30; 사10:29) 유다의 북쪽 경계에서 멀지 않았으며(왕하23:8; 슥14:10) 예루살렘에서 1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있었다. 게바 근처에서 다윗은 블레셋 사람들을 이겼고(삼하5:25) 아사는 라마를 건축할 때 쓰던 돌과 재목으로 이곳을 다시 세웠다(왕상15:22).
2009-06-14 01:18:38 | 관리자
그리스도께서 베드로에게 주신 시리아 혹은 히브리 이름(요1:42). 베드로 참조.
2009-06-14 01:18:08 | 관리자
모세가 미디안에서 자기 아내 십보라에게서 얻은 두 아들 중 하나.
이 이름은 ‘내가 거기서 나그네가 되었다’는 뜻이다(출2:22; 18:3). 모세는 자기 아들들에게 특별한 지위를 주지 않고 단지 레위 사람의 역할을 하게 하였다(대상23:15). 레위의 맏아들(대상6:16), 비느하스의 아들(스8:2), 므낫세의 아들(삿18:30)의 이름도 게르솜이다. 특별히 레위의 맏아들 게르솜은 종종 게르손이라 불렸다. 게르손 참조.
2009-06-14 01:17:29 | 관리자
레위의 맏아들.
그는 레위 지파의 세 분파 중 하나의 우두머리였다(창46:11; 출6:16). 광야에서 다니는 동안 게르손 자손들은 성막의 서쪽에 진을 쳤고 성막의 커튼과 다른 비품들을 나르는 일을 맡았다(민3:17, 25-26; 4:24-28, 38-41; 10:17). 그들에게는 가나안의 북부 지역에 열세 도시가 배정되었다(수21:6; 대상6:62, 71).
2009-06-14 01:16:58 | 관리자
마8:28에 나오는 사람들. 마가와 누가복음에 같은 내용의 기사가 있다. 가다라 참조.
2009-06-14 01:16:26 | 관리자
욥이 하나님을 만난 후에 건강을 회복하고 얻은 세 딸 중 막내(욥42:14-15). 여미마 참조.
2009-06-14 01:16:00 | 관리자
유대인들이 사용한 가장 작은 단위의 동전 혹은 무게.
이것은 이십분의 일 세겔이었으며(출30:13) 지금의 무게로는 0.57그램이다.
2009-06-14 01:15:32 | 관리자
성경 말씀대로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거듭난 자는 누구나 주님을 받아들인 그 날부터 자기의 구원을 확신할 수 있으며 이것은 신자의 특권이다(눅10:20; 고후5:1, 6-8; 딤후3:14; 요일5:13). 이 확신은 각 사람이 만들어 낸 환상 - 가령 스스로 가치가 있다거나 영원한 구원에 적격한 자라고 생각하는 것 - 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전적으로 기록된 말씀에 근거한 것으로서 하나님의 자녀 된 자의 사랑과 감사와 순종의 발로가 된다(눅22:32; 히10:22).
2009-06-14 01:13:02 | 관리자
범죄로 인하여 진노를 붓는 당사자를 진정시키기 위해 바치는 헌물.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들로 인한 화해 헌물이시다(롬3:25). 오직 그분의 완전한 희생만이 죄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긍휼을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며 율법의 진노를 막는다(요일2:2; 4:10). 구약성경에서 이에 해당하는 말은 속죄(민5:8), 죄 헌물(겔44:27) 그리고 언약궤의 뚜껑 등이 있다(레16:14; 히9:5) 긍휼의 자리 참조.
2009-06-14 01:12:33 | 관리자
성경에서 이 말은 서로 적대 관계에 있던 두 당사자가 장애물을 제거하고 조화를 회복하는 것을 뜻한다(삼상29:4). 성경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사람의 죄로 인해 둘이 분리되었음을 보여 준다. 하나님은 죄인을 사랑하지만(롬5:8) 그렇다고 해서 죄를 심판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히10:27).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인해 사람의 죄는 용서되고 하나님의 진노는 진정된다. 그래서 반목하던 둘이 다시 화목하고 교제를 나누게 되는 과정을 화해라고 한다. 화해는 사람이 무엇을 하기 전에 하나님이 이루신 완전한 일이며(롬5:8, 10; 골1:22; 고후5:18) 그래서 복음은 화해의 말씀이다(고후5:19). 그리스도는 자기 형제에게 잘못을 범한 사람이 하나님의 제단에 와서 예물을 드리기 전에 먼저 잘못을 고백하고 보상할 것을 보상하며 화해를 이루어 그와 함께 화평을 이루라고 명령하신다(마5:23-24).
2009-06-14 01:12:02 | 관리자
기존 우리말 성경의 화목제. 희생물 참조.
2009-06-14 01:11:37 | 관리자
구약에서 이 말은 사람의 완전한 것, 건전한 것, 복지 등의 의미를 가졌으며 율법을 따를 때에 하나님이 이것을 주셨다(시119:165). 이 말은 또한 안전(사26:3), 형통(시122:6-7), 전쟁이 없는 것(삼상7:14) 등을 뜻했고 ‘샬롬’이라는 유대인들의 전통 인사는 화평을 간구하는 것이었다. 신약에서 이 말은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들이 얻는 평온함을 뜻하며 메시아 예언과 관련이 있다(사9:6-7). 이런 화평은 그리스도의 출생 때에 천사들이 선포한 바 있고(눅2:14) 예수님도 산상설교에서(마5:9) 또 주의 만찬에서 이런 화평을 말씀하셨다(요14:27). 사도 바울은 이런 화평이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말한다(롬5:1). 이 말은 우리말 성경에서 상황에 맞추어 평강, 평안 등으로 번역되었다.
2009-06-14 01:11:08 | 관리자
서로 의좋게 지내는 정분.
2009-06-14 01:10:40 | 관리자
고대 사람들이 사냥을 하거나 싸울 때 사용한 무기.
어떤 경우에 이것은 단순히 갈대를 뾰족하게 해서 만들었으며 깃털을 달기도 하고 독을 묻히기도 했다(욥6:4). 활은 여러 종류의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힘센 용사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시18:34). 화살은 또한 원수의 집에 불을 붙이거나 점을 치는 데도 사용되었다(겔21:21). 이 단어는 상징적으로 아이들을 가리키기도 했고(시127:4-5) 번개(시18:14; 합3:11), 갑작스런 재앙(욥6:4; 시38:2; 91:5; 겔5:16) 혹은 악한 혀에서 나온 쓴 말(시64:3; 120:4)을 가리키기도 했다.
2009-06-14 01:10:17 | 관리자
화평 헌물. 희생물 참조.
2009-06-14 01:09:49 | 관리자
I. 불로 뜨겁게 한 모래.
고대 사람들은 불을 뺀 뒤 반죽을 그 위에 놓고 앞뒤로 돌려가며 빵을 구웠으며 그것을 돌리지 않으면 제대로 구워지지 않았다(호7:8).
II. 위가 트여 있는 1미터 높이의 돌 항아리.
이것은 위에서 밑으로 갈수록 넓게 만들어졌고 각 가정은 이것을 최소한 하나 소유했다(출8:3). 사람들은 나뭇가지나 풀을 써서 화덕을 데우고 안과 밖에 반죽을 올려놓았다.
III. 돌 위에 얹어 놓은 철판(호7:4, 6).
2009-06-14 01:09:22 | 관리자
시나 노래에 서로 응하여 대답함.
2009-06-14 01:08:46 | 관리자
“누구에게 화 있을진저!”라는 표현은 대개 어떤 일을 한 당사자에게 어떤 재난이 내릴 것을 간구하는 경고의 표현이지만 “내게 화가 있도다!”(사6:5) 혹은 “아이 밴 자들과 젖먹이는 자들에게 화가 있도다!”(마24:19)라는 말은 “나의 고통과 고난이 슬프다!” 혹은 “아이 밴 자들과 젖먹이는 자들이 참으로 슬픈 일을 당할 것이다!”라는 것을 암시한다. 보통 성경에서 woe라는 말은 죄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심판을 가리킨다(합2:6, 9, 12, 15, 19; 습3:1).
2009-06-14 01:08:22 | 관리자
온갖 재앙과 액화.
2009-06-14 01:07:57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