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6508개
  가치를 시험하는 일을 견디지 못하여 버림받은 사람 혹은 물건(렘6:30). 어떤 이들은 육신의 죄와 불신으로 인해 버림받은 자가 되었다(롬1:28; 딤후3:8; 딛1:16).    
2009-05-12 14:09:44 | 관리자
  습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욥40:22; 사44:4). 하나님은 장막절에 좋은 나무의 가지들 특히 시냇가의 버드나무 가지들을 가지고 와서 기뻐하라고 하셨다(레23:40). 포로로 잡혀간 히브리 사람들과 관련된 버드나무는(시137:2) 바빌론에서의 고통과 슬픔을 보여 주며 모압의 남쪽 경계에 있던 버드나무 시내(사15:7)는 사해의 남동부 끝부분으로 흘러들어간다.    
2009-05-12 14:09:21 | 관리자
  헤롯 아그립바 1세의 장녀, 작은 아그립바의 누이(행25:13, 23; 26:30). 그녀는 처음에 자기 삼촌인 칼시스 왕 헤롯과 결혼했으나 그가 죽은 뒤에 자기 오라비 아그립바와의 근친상간 의심을 피하기 위해 길리기아의 폴레몬 왕의 아내가 되었다. 그러나 이 관계가 끝난 뒤에 그녀는 자기 오라비에게 왔다가 베스파시안과 티투스의 정부(情婦)가 되었다.    
2009-05-12 14:08:55 | 관리자
  소아시아의 도시. 에게해 지도 참조(41). 이곳은 에베소 북방 160km, 서머나 북방 100km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주전 5세기에 이미 잘 알려진 도시였다. 알렉산더의 그리스 제국이 붕괴하면서 생긴 셀레우코스 왕조 때 이곳은 그 왕국의 수도였다. 그 후 주전 133년경에 시리아가 로마에 합병되면서 버가모는 아시아 지방의 수도로 불릴 정도로 큰 도시로 발전했다. 또한 이 도시는 문화의 도시로도 잘 알려졌는데 이곳에는 알렉산드리아 다음으로 유명한 도서관이 있었고 20만권 이상의 양피지 두루마리가 소장되어 있었다. 후에는 이 책들이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에게 건네져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비치되었고 그래서 이 도시의 이름은 두루마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페르가메네’에서 나왔다. 한편 이곳은 종교의 중심지로서 주요 신인 제우스를 비롯하여 승리자 아테네, 지도자 디오니수스를 위한 신전이 있었다. 더구나 이곳은 황제 숭배까지 성행한 곳으로 각지에서 오는 순례객들로 언제나 번잡하였다. 그러므로 이곳에 위치한 버가모 교회도 이 도시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즉 교회의 구성원들 중에는 신실한 자도 있었지만 니골라당의 교리에 동조하는 자들도 있었고 우상숭배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우상숭배는 마귀에게서 나온다. 그런데 예수님은 계2:13에서 버가모에 사탄의 자리가 있다고 하시면서 이 도시가 우상숭배의 본거지임을 지적하셨다.    
2009-05-12 14:08:31 | 관리자
  밤빌리아의 가장 큰 도시 중 하나(행13:13; 14:25). 이곳은 해양 도시가 아니라 세스트루스라는 강에 위치한 도시였으며 이 근처의 산에는 다이아나의 신전이 있었다.    
2009-05-12 14:08:06 | 관리자
  히브리 사람들은 뱀을 매우 부정한 것으로 여겼다(레11:10, 41). 성경에는 Adder, Asp, Cockatrice, Viper 등의 이름으로 여러 종류의 독사가 나온다. 민21:1-35; 사14:29; 30:6에 나오는 불 뱀은 독으로 인해 불같이 뜨거운 아픔을 주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의 아라비아 경계에 날개가 달려 날아다니는 뱀들이 있다고 증언하였다. 모세가 놋을 만들어 장대에 단 놋 뱀은 그 자체로 병을 고치는 능력을 갖고 있지는 않았지만 믿음으로 그것을 바라보는 자들의 병을 고쳐 주었고 우리 주님은 친히 그 놋 뱀이 자신의 예표라고 말씀해 주셨다(요3:14-15).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야말로 죄의 치명적인 독에서 혼을 구원하는 유일한 해결책이다. 유대인들은 이 놋 뱀을 우상으로 숭배하였다. 느후스탄 참조. 히스기야는 이 유물을 완전히 멸하였지만 천주교는 지금까지도 거짓 유물들을 만들어 그것들을 숭배하고 있다. 성경은 뱀이 교활하고 간사한 존재임을 보여 준다(창3:1; 마10:16; 23:33). 물론 우리는 뱀이 곧 사탄 마귀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창3:13; 고후11:3; 계12:9). 사탄 참조.    
2009-05-12 14:07:18 | 관리자
  성경에서 크게 칭송을 받는 귀한 상록수(시92:12; 겔31:3-6). 이 나무는 크고 두꺼워서 높이가 30미터, 둘레가 10미터가 넘는 것도 있다. 이 나무는 레바논 산뿐만 아니라 소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도 자라지만 레바논 산의 나무가 가장 품질이 좋았다. 백향목은 가지가 균형을 이루며 멋있게 자라고 윗부분은 원추 모양을 이루며 이 나무의 모든 것은 발삼 향을 내므로 이 나무들이 있는 곳은 향기로 가득했고 그래서 거기서 걷는 일은 대단히 유쾌했다(아4:11; 호14:6). 백향목은 썩거나 벌레가 먹지 않으므로 목재로 적합했고 그래서 뗏목을 만들거나 집을 지을 때 널빤지로 많이 사용되었다. 예루살렘 성전과 솔로몬의 궁전 등은 모두 백향목으로 건축되었으므로 ‘레바논 숲에서 나무를 취해 만든 집’이라는 표현은 이 집을 지을 때 백향목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뜻한다(왕상7:2; 10:17). 한때 레바논 산을 덮었던 백향목은 지금 그리 많지 않다(사2:13; 10:19). 레바논 참조.      
2009-05-12 14:06:49 | 관리자
  팔레스타인에는 여러 종류의 백합이 있으며 이것들은 여행하는 자들에게 기쁨과 향기를 주었다. 백합은 봄에 거의 모든 지방에서 피며 성전을 장식하는 데도 사용되었다(왕상7:19-26; 대하4:5). 백합은 아가서에서 특히 사랑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흔하게 신부와 신부의 아름다움을 뜻하였다(아2:1-2). 골짜기에서 자라는 백합으로 표현된 신부가 말하면(아2:1) 신랑이 답하고(아2:2) 신부가 다시 답했다(아2:3). 신랑의 입술은 백합으로 표현되었으며(아5:13) 그는 특히 백합 사이에서 먹이를 주는 것으로 표현되었는데(아2:16; 6:3)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백성에게 은혜를 주시는 일을 기뻐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 주님은 들의 백합이 어떻게 자라는가 살펴보라고 하시면서 영광 중에 있던 솔로몬도 그 꽃들 중 하나와 같지 못했다고 하시고 하늘 아버지께서 우리를 먹이심을 분명히 보여 주시면서 염려하지 말라고 하셨다(마6:28).    
2009-05-12 14:06:24 | 관리자
  백 명의 군인을 다스리던 로마의 장교. 신약성경에는 여러 명의 백부장이 나오며(막15:39; 눅7:1-10) 특히 백부장 고넬료는 이방인 중에서 첫 열매가 된 사람이었다(행10:1-48).    
2009-05-12 14:06:00 | 관리자
  솔로몬 성전과 그의 왕궁의 기둥들을 짓기 위해 히람이 오빌에서 가져온 나무(왕상10:11; 대하2:8). 이 나무는 또한 악기를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이것은 견고해서 캐비닛 작업을 하는 데 적합했고 아름다운 붉은 색 염료를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2009-05-12 14:05:10 | 관리자
  잘못한 것을 회복시키는 것(욥20:10, 18). 성경은 범법자가 잘못 취한 것을 주인에게 되돌려줄 것을 강조하는데 실로 이것이야말로 참된 회개의 증거이다(출22:1-15; 느5:1-13; 눅19:8). 이렇게 회복시키는 일은 완전하고 공정해야 하며 잘못 취한 것과 더불어 이자도 배상해야 한다(레6:1-6; 24:21). Restitution은 ‘모든 것을 회복하시는 때’(행3:21)라는 구절에도 나오는데 이때는 그리스도께서 영광 중에 나타나서 성경에 예언된 대로 이 땅에 자신의 왕국 즉 1000년 왕국을 세우시는 때로서 마19:28의 ‘다시 나게 하는 때’와 같다.    
2009-05-12 14:04:44 | 관리자
  고대의 배는 지금의 배와 달리 부족한 것이 많았다. 항해사들은 별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해나 별을 보고 길을 가야 했다. 그래서 사도 바울 당시에 팔레스타인에서 이탈리아로 가는 배는 목적지로 가면서 적당한 곳에 들러 겨울을 나야 했다(행27:12; 28:11). 고대에는 대부분의 배가 작았으며 앞과 뒤에 장식을 해서 사람들이 쉽게 구별하게 하였고 또 노를 저어서 혹은 바람을 이용해서 항해하였다. 대언자 에스겔이 묘사한 것처럼 페니키아 사람들은 배와 무역 등으로 유명하였다(겔27:1-36). 비록 욥바와 그리스도 당시의 가이사랴가 항구이기는 했지만(대하2:16; 욘1:3) 유대인들은 해양 민족이 아니었으며 그들의 외국 항해는 페니키아 사람들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왕상9:26; 10:22; 22:49-50). 바울의 일지는 고대 항해의 여러 면을 그림처럼 잘 묘사하고 있다(행27:1-44). 다시스 참조.      
2009-05-12 14:04:19 | 관리자
  하나님은 종종 자신의 백성의 방패로 불리며(창15:1; 시5:12; 84:11) 통치자나 위대한 사람들도 그렇게 불린다(삼하1:21; 시47:9).  
2009-05-12 14:03:54 | 관리자
  우리야의 아내. 그녀는 아마도 아히도벨의 손녀였을 것이다. 다윗은 먼저 그녀와 간음한 뒤 그녀의 남편을 죽이게 하고 그녀를 취해 아내로 삼았다. 그러나 이런 죄악들이 주님을 기쁘게 하지 않았으므로 그분께서는 대언자 나단을 보내사 어린 암양 비유로 그의 죄를 보여 주셨고(삼하12:1-14) 이에 다윗은 철저히 회개하고 벌을 받았다(삼하12:11-14). 밧세바는 다윗의 뒤를 이은 솔로몬을 낳았고 그 이후에 아도니야 사건을 통해 다시 한 번 성경에 언급되었고(왕상2:13) 시편 51편의 타이틀과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에 그녀의 이름이 나온다(마1:6).    
2009-05-12 14:01:08 | 관리자
  사도 요한이 도미티안 황제에 의해 유배되어 간 곳(계1:9). 에게해 지도 참조(41). 이곳은 바위로 된 섬으로 둘레가 45킬로미터이며 로마 사람들에 의해 죄수들을 추방시키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이곳은 밀레도의 곶에서 64킬로미터 떨어졌으며 현재는 소수의 그리스 사람들이 살고 있다.  
2009-05-12 14:00:21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