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6508개
  아프리카 북부에서 이집트와 카르타고 사이에 있던 지중해 연안의 국가. 여기에는 구레네를 비롯한 다섯 개의 큰 도시가 있었고 그리스도 당시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유대인들이 여기에 살았다. 이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리비아 사람 중에서 유대교로 개종한 이들이 경배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가곤 하였다(행2:10). 리비아는 창10:13의 르하빔에서 나왔으며 매우 호전적인 이곳 사람들은 이집트 왕 시삭과 이디오피아의 세라가 유다를 칠 때에 그들을 도왔다(대하12:3; 14:9; 16:8; 참조 단11:43).    
2009-05-04 01:03:26 | 관리자
  하맛 지역에 있던 시리아의 도시. 이곳은 가나안의 동북부 끝에 있었다(민34:11). 여기에서 이집트의 파라오느고는 여호아하스 왕을 붙잡아 폐위시켰고 바빌론의 느부갓네살은 유다와 싸우면서 여기에 군대 사령부를 두었다(왕하23:33; 25:6, 20-21; 렘39:5; 52:10).    
2009-05-04 01:02:59 | 관리자
  브두엘의 딸. 그녀는 메소포타미아의 라반의 누이로서 이삭의 아내가 되었고 그 뒤 20년이 지나 야곱과 에서의 어머니가 되었다. 그녀가 이삭의 아내가 된 방법은 그 당시 동방의 관습을 잘 보여 준다. 그녀는 야곱을 편애하였고 그 결과 하나님께서 자신의 목적과 약속을 이루어 주신다는 믿음을 보이지 못하고 정당하지 못한 방법을 통해 야곱에게 상속 유업을 물려주려 하였다(창25:22-23). 이런 속임수로 인해 결국 집안에 재난이 닥치고 야곱은 피신하게 되었으며 그가 20년 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돌아왔을 때 그녀는 이미 죽어서 막벨라의 굴에 묻혔다(창24-28; 49:31).    
2009-05-04 01:02:34 | 관리자
  이 말은 자유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나왔다(행6:9). 그러므로 이 말은 한때 종이었으나 자유를 얻은 사람을 뜻하거나 자유인 부모에게서 난 사람을 뜻한다. ‘리베르티 사람들의 회당’이라는 표현이 알렉산드리아와 구레네 같은 아프리카의 도시들과 함께 언급되므로 어떤 이들은 리베르티 사람들 역시 아프리카 출신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은 로마의 포로가 되어 이탈리아로 갔다가 거기서 석방되고 그 이후에 떼를 지어 예루살렘을 방문하고 심지어 회당을 세운 사람들일 가능성이 크다. 그들은 스데반을 대적하는 일을 시작했고 결국 그가 순교하게 하였다. 회당 참조.    
2009-05-04 01:02:05 | 관리자
  야벳의 손자로부터 나온 북방 민족(창10:3; 대상1:6). 러시아의 리페안이라는 산지의 이름이 여기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2009-05-04 01:01:40 | 관리자
  마5:41의 경우 영어는 1마일, 2마일로 되어 있으며 마일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밀리온인데 흠정역 성경은 이것을 우리말인 리로 번역했다.  
2009-05-04 01:00:47 | 관리자
  페르시아 왕의 관원. 그는 성전 재건 때에 사마리아에 있었으며 왕에게 편지를 보내 잠시 동안 그 일이 중지되게 하였다. 그러나 약 2년 뒤에 그 일은 다시 시작되었다(스4:8, 9, 17, 23).  
2009-05-04 00:59:53 | 관리자
  I. 아셀 지파 안에 있던 레위 사람들의 도시(수19:28; 21:31). 이곳은 가나안의 북쪽 경계에 있었으며 벧르홉이라고도 불렸다(민13:21; 삿18:28). 여기에는 오랫동안 자체의 왕이 있었으나(삿1:31) 이곳 사람들은 다윗 시대에 조공을 바쳤다(삼하10:6-19). 어떤 이들은 아셀의 땅에 같은 이름을 가진 도시가 두 개 있었다고 생각한다. II. 시리아의 소바의 왕이던 하닷에셀의 아버지(삼하8:3).    
2009-05-04 00:59:26 | 관리자
  I. 고대 아시리아의 도시(창10:11). II. 그랄과 브엘세바의 남쪽에 있던 광야. 이곳은 이삭이 거기에서 우물을 판 것으로 인해 그렇게 이름이 붙여졌다(창26:22). III. 갈그미스의 남쪽에 있던 유프라테스의 도시(창36:37; 대상1:48).    
2009-05-04 00:58:57 | 관리자
  암몬 여인 나아마가 솔로몬에게 낳은 아들(왕상12:1-33; 14:21-31; 대하10-12). 그는 41세에 통치하기 시작하여 예루살렘에서 17년 동안 통치하였다. 그의 통치 때에 북쪽의 열 지파가 반역하여 여로보암 밑에서 이스라엘 왕국을 형성하였는데 이런 분열의 원인은 르호보암이 경험 많은 원로들의 권고를 버리고 독재 권력을 행사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곧바로 무력을 사용하여 반역한 지파들을 치려 하였으나 그들과 싸우지 말라는 하나님의 지시를 받고 전쟁을 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적개심은 그 이후로 두 왕국 사이에 지속되었다. 분단 왕국 지도 참조(31). 한편 백성은 우상숭배에 빠져 르호보암의 통치 제5년에 이집트 군대에 의해 징계를 받았는데 이들은 그들에게 무거운 조공을 부과하였다. 시삭 참조. 성경은 르호보암의 죄와 재난이 부분적으로 이방 여인인 그의 어머니에게서 비롯되었음을 보여 준다(대하12:13). 그의 통치 후반부는 평온하게 지나간 것으로 보인다.    
2009-05-04 00:58:25 | 관리자
  야곱과 레아의 맏아들. 르우벤의 어머니는 그를 낳고 “주께서 내 고통을 돌아보셨다.”고 말하였다(창29:32). 르우벤은 자기 아버지의 첩인 빌하와 함께 누워 그녀를 더럽게 하였으므로 장자권과 함께 가족의 수위권을 빼앗겼다. 그래서 왕권은 유다에게 주어졌고 두 배의 축복을 받는 장자권은 요셉에게 주어졌다(창35:22; 48:5; 49:3-10; 대상5:1-2). 그는 다른 형제들처럼 요셉을 시기하였지만 그럼에도 그를 아버지에게 되돌려주기 위해 도단에서 그의 목숨을 구해 내었다(창37:18-30). 또한 그는 창42:37에서도 좋은 제안을 내었다. 그의 지파는 이스라엘에서 강성하지도 않았고 수가 많지도 않았다. 고라와 함께 광야에서 모세에게 반역을 일으킨 다단과 아비람은 르우벤 지파에 속하였다(민26:9).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들어갈 때에 그의 지파는 숫자로 볼 때 아홉 번째였다(민1:21; 26:7). 그들은 요르단 너머 아르논과 길르앗 사이에 아름다운 초장이 있는 곳을 상속 유업으로 받았다(민32:1-42; 수22:1-3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와 르우벤 지파 지도 참조(19, 20). 후에 그들은 태만함으로 인하여 재판관 드보라에게 책망을 받았다(삿5:15-16). 그들은 이스라엘 경계에 있었으므로 동쪽에서 외세의 침입을 자주 받았고(왕하10:33) 주전 720년경 아시리아에 처음으로 포로로 끌려가게 되었다(대상5:26).    
2009-05-04 00:57:16 | 관리자
  다마스커스 시리아의 왕. 그는 이스라엘 왕 베가와 연합하여 유다를 침공하였다(왕하15:1-38, 37; 16:5-10; 사7:1). 그는 예루살렘 앞에서 돌이키면서 남쪽의 엘랏까지 정복하였으나 곧 유다 왕 아하스의 도움 요청을 받고 달려온 아시리아의 디글랏빌레셀에 의해 죽임을 당하였고 그의 백성은 티그리스 강 너머로 포로가 되어 끌려갔다(사8:6; 9:11).    
2009-05-04 00:56:42 | 관리자
  다윗 시대에 시리아 다마스커스에서 한 왕조를 이룬 왕. 그는 소바의 왕이던 하닷에셀의 관원이었으며 한때 솔로몬을 크게 괴롭혔다(왕상11:23-25).    
2009-05-04 00:56:08 | 관리자
  신 광야와 시내 산 사이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진을 친 곳. 여기서 백성이 불평을 터뜨리자 하나님께서 바위에서 물을 주셨다. 또 아말렉이 여기서 그들을 공격하다가 패배를 당하였다(출17:1-16).  
2009-05-04 00:55:38 | 관리자
  르바 족속은 가나안 족속 중의 거인 족속을 모두 지칭하는 말이며 여기에는 몇몇 유명한 가족이 있었다. 아브라함 시대에는 요르단 너머 아스다롯 가르나임에 르바 족속이 있었고 모세의 시대에 살던 바산 왕 옥도 르바 족속의 일부였다. 여호수아 시대에는 가나안 땅에 그들의 후손이 거하였고(수12:4; 17:15) 다윗의 시대에 가드에도 거인들이 있었다(대상20:4-6). 골리앗과 다른 거인들은 르바 족속 혹은 아낙 족속의 후예이다. 성경에는 그들의 키와 힘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그들은 특히 죄와 관련되어 있어서 하나님의 심판의 표적이 되었다. 노아의 홍수 이전에 하나님의 아들들인 천사들이 사람들의 딸들과 결혼하여 거인들을 출산하였다(창6:1-4). 거인, 하나님의 아들들 참조. 거인들에 대하여는 수15:8; 17:15; 18:16과 삼하5:18, 22; 대상14:9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여기서 르바임 골짜기는 거인들의 골짜기를 뜻한다).    
2009-05-04 00:54:49 | 관리자
  여호와께서 꾸며 준 사람) 이스라엘 왕 베가의 아버지(왕하15:25; 사7:4; 8:6). 성경이 베가를 ‘르말랴의 아들’이라고 반복해서 언급하는 것은 그가 비천한 사람임을 보여 주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2009-05-04 00:53:49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