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을 기념하는 절기(출23:16).
이스라엘 백성은 태양력으로 5월 말에서 6월에 밀 수확이 끝난 것을 기념하여 헌물을 드리고 수확의 감사제를 지켰다(출23:16). 이것은 유월절부터 7주후에 있었기 때문에 칠칠절(출34:22) 혹은 오순절이라 불렸다. 개역성경은 이것을 맥추절이라 한다. 오순절 참조.
2009-07-18 23:24:33 | 관리자
팔레스타인의 남부 지역과 평야의 곡식은 태양력으로 4월 중순 경에 익으며 북부 지역의 곡식은 3-4주 뒤에 익는다.
먼저 유월절과 함께 보리 수확이 시작되었고(레23:9-14; 룻2:23; 삼하21:9-10) 밀 수확이 오순절과 함께 끝에 있었다(창30:14; 출34:22; 레23:16). 유대인들의 달력 선도 참조(67).
수확 때에는 밭의 한 모퉁이를 남겨 두어 가난한 사람들의 양식이 되게 하는 법이 있었다(레19:9; 23:22). 상징적으로 곡물의 수확은 심판(렘51:33; 호6:11; 욜3:13), 은혜의 기간(렘8:20), 많은 사람이 복음을 받는 때(마9:37-38; 요4:35)를 뜻한다. 수확이 농사 계절의 끝을 뜻하므로 우리 주님은 수확하는 때가 세상의 끝이라고 하셨다(마13:39).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가을에 수확물을 거두어들이므로 이 말이 많은 경우 추수로 번역되었으나 팔레스타인 지방에서는 가을에 수확하지 않으므로 성경적으로 추수라는 말은 옳지 않다.
2009-07-18 23:24:04 | 관리자
동방에서는 여인들이 수태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해 애곡하곤 했다(창16:1; 30:1-23; 삼상1:6, 18; 사49:21; 눅1:25).
특히 유대 여인들은 메시아 예언을 기억하면서(창3:15) 그분의 어머니가 되길 바랐으므로 수태하지 못하면 매우 괴로워했다. 또 이러한 고통은 매우 컸으므로 정당하지 못한 수단을 동원해서 이를 해결하려 하기도 하였다(창16:2; 19:31; 38:14; 신25:5-10). 한편 믿음을 고백하면서도 성령의 열매를 맺지 못하고 선한 행위가 없으면 수태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었다(눅13:6-9; 벧후1:8).
2009-07-18 23:23:29 | 관리자
아이를 뱀. 욕심의 경우는 잉태로 표현되었다(약1:15).
2009-07-18 22:09:39 | 관리자
잘못을 깨달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
성경은 사람의 잘못이 공개적으로 드러날 때 수치스럽다고 한다(창2:25; 3:10). 수치는 또한 명예가 상하거나 당황할 때 발생한다(시25:2-3; 잠19:26; 롬1:16). 요셉은 마리아에게 수치를 주지 않기 위해 그녀를 버리려고 마음먹었다(마1:19). 하나님은 어리석은 자들을 택하여 지혜로운 자들을 부끄럽게 하셨다(고전1:18-31).
우리 주님은 십자가에서 하나님의 진노를 받으셨으므로 공개적으로 수치를 당하셨다(고후5:21; 히12:2).
2009-07-18 22:09:10 | 관리자
출20:6에 있듯이 이것은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영어식 표현이다.
참고로 출20:6의 이 구절을 수천 세대로 번역하는 것은 오역이며 신학적으로도 틀리고 원어도 이를 뒷받침하지 않는다.
2009-07-18 22:08:41 | 관리자
수증기는 구름을 형성하여 비를 뿌린다(욥36:27).
이 말은 안개를 뜻하기도 하며(창2:6) 모든 사람은 수증기 같아서 금방 사라진다(약4:14).
2009-07-18 22:08:15 | 관리자
몸 안의 장액 또는 림프액 따위가 조직 사이에 고여서 붓는 병(눅14:2).
2009-07-18 22:07:52 | 관리자
대제사장(high priest)이나 수제사장으로 번역된 그리스 단어는 동일하지만 킹제임스 성경은 이것을 대제사장과 수제사장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한 해에 대제사장이 한 사람뿐이기 때문이다.
대제사장은 위치를 나타내고 수제사장은 기능을 나타내며 대제사장은 수제사장이지만 수제사장은 다 대제사장이 아니다. 마26:3; 막14:53; 행5:24 등은 한 명의 대제사장과 여러 명의 수제사장이 있음을 분명히 보여 주며 왕하25:18; 대하19:11; 행25:2는 수제사장을 대제사장으로 부를 수도 있음을 보여 준다. 제사장 참조.
2009-07-18 22:07:30 | 관리자
결정형이 뚜렷한 석영.
수정은 보통 무색이나 흰색으로 투명하지만 미량의 불순물이나 결정구조 등에 의해 다른 색깔을 가질 수도 있다(욥28:17; 계4:6; 21:11).
2009-07-18 22:07:00 | 관리자
유대인들의 성전 봉헌절(요10:22). 봉헌, 성전, 마카비 참조.
2009-07-18 22:06:39 | 관리자
곡식을 모아 저장하는 절기(출23:16; 34:22).
2009-07-18 22:06:14 | 관리자
사람이 죽어 염습할 때에 송장에게 입히는 옷.
2009-07-18 22:05:52 | 관리자
히브리 사람들은 빈약한 수염을 흉한 것으로 생각했고 길고 밑에까지 흘러내리는 수염을 아름다움과 위엄의 상징으로 생각했다. 그러므로 수염은 사람의 명예와 연관되어 중요했으며 따라서 말로나 행동으로 그것을 욕되게 하는 것은 위엄을 깎아내리는 위험한 일이었다. 그러므로 오른손으로 그것을 붙잡고 입을 맞추는 것은 가까운 친구들에게만 허락된 존경과 사랑의 표시였고 그래서 누구나 수염을 소중히 간직했다(시133:2). 수염을 자르거나 깎는 것은 큰 슬픔을 의미했고(스9:3; 사15:2; 렘41:5; 48:37) 또 수염을 없애는 것은 불명예와 굴종을 뜻했으며 그래서 그것보다는 죽는 것을 택했다.
이것을 이해하면 다음의 구절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다윗의 대사들이 받은 치욕(삼하10:4-14), 느헤미야의 분노(느13:25), 다윗이 미친 체 한 일(삼상21:12-15), 므비보셋의 슬픔(삼하19:24) 등. 대언자들의 글에도 이런 의미가 들어 있다(사7:20; 50:6; 겔5:1-5).
2009-07-18 22:05:10 | 관리자
아브라함 당시 요르단의 동쪽에 거하던 사람들.
그들은 그돌라오멜과 그의 연합군에 의해 정복을 당하였으며(창14:5) 이 족속은 신2:20의 삼숨 족속이라는 거인 족속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2009-07-18 22:04:36 | 관리자
I. 시60:1-12의 타이틀.
소산님은 복수로서 시45:1-14; 69:1-36의 타이틀에 나오고 악기의 이름인 듯하다. 이 말은 백합을 뜻하며 아마도 이 악기는 백합을 닮은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시편의 아름다움을 뜻하는 멜로디일 수도 있다(시45:1-14).
II. 울래 강변에 있던 엘람 혹은 페르시아의 수도(창14:1; 단8:2).
이곳은 고레스 이후에 페르시아 왕의 겨울 궁전이 되었다(에1:5). 에스더기는 바로 이 도시에서 일어난 사건을 잘 묘사하고 있다. 또한 다니엘은 벨사살 왕의 제3년에 여기에서 숫양과 숫염소의 환상을 보았다(단8:1-27). 느헤미야 또한 유대로 돌아와 예루살렘 성벽을 지으려 할 때에 이곳에 거하면서 아닥사스다 왕의 허가를 받았다(느1:1).
2009-07-18 22:04:10 | 관리자
동방에서 흔한 과일 중 하나.
이것은 특히 팔레스타인에서 심지어 건조한 시기에도 많이 자랐다. 특히 뜨거운 기후에서 수박은 맛있는 과일이었고 그래서 히브리 사람들은 광야에서 수박을 몹시 먹고 싶어 했다(민11:5).
2009-07-18 22:03:36 | 관리자
신33:2와 유14에 나오는 표현. 이처럼 thousand가 복수로 되어 있을 때는 ‘수많은’을 의미한다.
2009-07-18 22:03:10 | 관리자
미디안의 주요 통치자.
그의 딸 고스비는 비느하스에 의해 죽임을 당하였고(민25:15-18) 그도 후에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죽임을 당하였다(수13:21).
2009-07-18 22:02:50 | 관리자
이집트 북동부 경계에 있던 도시(창16:7; 20:1; 25:18; 삼상15:7; 27:8). 이곳과 가나안 사이의 지중해 쪽으로 난 사막은 수르 사막이다(출15:22).
2009-07-18 22:02:22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