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03개
안녕하세요?   최근에 ‘단어 대 단어’, 즉 ‘word for word’라는 말이 경우에 따라 형식적 일치(formal equivalence)를 의미할 때도 있고 기계적 일치를 의미할 때도 있음을 보여 드렸습니다. 또한 성경 원어를 번역할 때 그것을 모두 기계적으로 일치시키면 졸역이나 오역이 된다는 것도 아랫글을 통해 보여 드렸습니다.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 즉 일대일 번역의 의미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manus&write_id=52   1. 단어 대 반어 번역의 의미 재확인   이와 관련해서 어떤 분이 영어 킹제임스 성경에 나오는 ‘God forbid’라는 말에 대해 설명해 달라고 해서 잠시 글을 씁니다.        ‘God forbid’는 킹제임스 성경에 구약에 9번, 신약에 16번 나옵니다. 이에 해당하는 단어가 구약은 스트롱 번호 2486, 신약은 3361로 되어 있습니다.   먼저 구약의 예를 보겠습니다.   백성이 사울에게 이르되, 이스라엘 안에서 이 큰 구원을 이룬 요나단이 죽어야 하리이까? 결단코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주}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옵나니 그의 머리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이다. 그가 이 날 [하나님]과 함께 일하였나이다, 하여 백성이 이렇게 요나단을 구출하였으므로 그가 죽지 아니하니라(삼상14:45).   And the people said unto Saul, Shall Jonathan die, who hath wrought this great salvation in Israel? God forbid: [as] the LORD liveth, there shall not one hair of his head fall to the ground; for he hath wrought with God this day. So the people rescued Jonathan, that he died not.   여기서 ‘God forbid’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2486  hl;ylij;   chaliylah  {khaw-lee'-law}  or chalilah  {khaw-lee'-law}또는   chalilah,   하리라;    2490에서 유래한 지시형; 문자적으로‘신성을 더럽히는’것에 관하여 ;(감탄사)‘결단코 아니다!’로 사용 :- 멀리하다, 결코 아니다   일단 이것은 히브리어로 한 단어인데 영어에서는 두 단어로 번역되었습니다. 흠정역은 세 단어로 번역되었습니다(이것은 개역 등도 마찬가지임).   이를 통해 보듯이 형식적 일치란 히브리어/그리스어가 한 단어이면 수용 언어가 꼭 한 단어로 번역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어떤 사람이 원어 한 단어를 반드시 수용 언어 한 단어로 번역하는 것을 일대일 대응 번역, 즉 단어 대 단어 번역이라고 주장한다면 그는 번역의 기초조차 모르는 사람일 겁니다.   물론 대명사, 수동/능동태, 시제 등은 동일하게 번역되어야지요.   신약으로 가서 로마서 6장 15절을 보겠습니다.   그런즉 어찌하리요?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으므로 죄를 지으리요?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What then? shall we sin, because we are not under the law, but under grace? God forbid.   여기서 ‘God forbid’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두 단어로 되어 있습니다.   1. 3361  mhv   me {may}제한된 부정을 나타내는 기본  불변사(반면에 3756은 절대적인 부정을 나타낸다);(부사)‘아니’,(접속사)~않도록, 또한(부정적 대답【반면에 3756은 확실한 것을 기피한다】을 함축하는 의문사로서)‘~인지 아닌지’, 어느, 그러나, 참다,  하나님이 금하다, 결핍하다, ~입다, ~도 아니다, ~없이, 종종 본질적으로 같은 관계에서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3362, 3363, 3364, 3372, 3373, 3375, 3378을 보라. <마1:19;막4:5;눅18:1;요15:2>불. no, not; 2. 1096  givnomai   ginomai  {ghin'-om-ahee}기본동사의 연장형과 중간태;(‘발생하게’)‘되는 원인이 되다’, 즉 (재귀형)‘되다’(‘되기 시작하다’), (문자적으로, 상징적으로, 강조의미로) 아래와 같이 폭넓게 사용됨;일어나다, 모이다, 되다, ~에 일어나다, 스스로 행하다, (지나가기 위해)가져오다, (지나가기 위해)오게 되다, 계속하다, 나뉘다, 되었다, 끌어내다, 끝맺게 되다, 떨어지다, 끝내다, 따르다, 발견되다, 이루어지다, 하나님이 금하시다, 자라다, 일어나다, 가지다, 지키다, 만들다, 결혼하다, 되도록 정해지다, 착수하다, 지나다, 수행되다, 출판되다, 요구하다, 보이다, 취해지다, 변화하다, 사용하다, ~이 되다,~일 것이다, ~할 작정이다, 쓰여졌다 <마5:45;눅1:8;롬3:19>동. to cause to come  being into;   이 두 단어를 영어는 두 단어로, 흠정역과 개역 등은 네 단어와 세 단어로 번역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말이 바뀌면 형식적인 요소는 유지되어도 단어의 수까지 같게 할 수는 없음을 보게 됩니다. 히브리어 및 그리스어의 사례들이 이를 잘 보여 줍니다.   그러면 이것은 옮긴 단어의 개수가 다르니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 방식의 번역이 아닐까요? 아니지요. 당연히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의 번역입니다. “결코 그럴 수 없다”는 원어의 뜻 그대로 형식적 일치를 이루었으니까요. 그러나 기계적으로 단어 수를 맞춘 것은 아닙니다. 왜 그럴까요? 탁월한 번역, 훌륭한 번역을 지향하는 사람은 결코 그런 일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졸역을 지향하는 어리석은 자들이나 하는 일입니다. 그것은 희한한 번역(?)으로 잠시 우리에게 실소(失笑)를 선사하는 구글 번역기 정도나 할 일이지 지혜 있는 사람들이 할 일이 결코 아닙니다.   이를 설명하니 또 다른 분이 이렇게 묻습니다.   “영어에는 ‘God’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데 원어에는 없지 않습니까? ‘God’은 어디에서 왔나요?”   좋은 질문입니다.   맞습니다. God은 성경 원어에는 원래 없습니다. 그러면 왜 들어갔을까요?   일단 ‘God forbid’를 직역하면 “하나님께서 금하시느니라” 혹은 “하나님께서 금하시기를 원하노라”입니다. 이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런즉 어찌하리요?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으므로 죄를 지으리요? “하나님께서 금하시느니라”   하나님께서 어떤 일을 금하시면 결코 일어날 수 없습니다. 즉 영어에서는 ‘God forbid’라는 표현이 가장 강하게 금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이렇게 표현해야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으므로 결단코 죄를 지을 수 없다”는 의미가 최고의 강도로 표현됩니다.   흠정역 역시 이를 잘 표현하였습니다. 그러나 개역(개정)처럼 단순히 “그럴 수 없느니라”로 하면 ‘결코’가 빠지므로(스트롱 3361) 번역한 문장의 힘이 쭉 빠져 본래의 뜻을 온전하게 전달하지 못합니다.   롬6:16를 다른 영어 성경들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KJB: God forbidNKJV: Certainly notNASB: May it never beNIV: By no meansAMP Bible: Certainly notASV: God forbid   다 비슷한 것처럼 보이지만, 가장 강력한 표현은 KJV와 ASV의 God forbid입니다. 다른 것은 다 사람이 할 수 없는 일과 관련된 표현입니다.   우리말 흠정역은 우리말로 가장 강력하게 원어와 영어를 표현하였습니다. 어떤 분들은 이에 대해 “왜 하나님께서 금하시느니라”로 번역하지 않았느냐고 말합니다. 그것은 영어에서는 가장 강력한 표현이지만 우리말에는 그런 용례가 없습니다. 번역 시 번역자는 자기 말을 잘 알고 자국민들의 정서에 가장 부합되게 번역해야 합니다. 영어 킹제임스 성경이 그렇게 했고, 우리말 흠정역도 그렇게 했습니다.   2. 현대 사본학자(서기관들)들을 조심하라.   킹제임스 성경이 기계적 일치 번역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현대 사본학자가 바로 메츠거(메쯔거)입니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였고 마르티니, 알란드 등과 함께 로마 교황청을 위해 일한 사람입니다.   예수회 출신 카톨릭 추기경과 UBS(연합성서공회) 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free&write_id=14614   메츠거가 사용하는 유명한 예가 있는데 그것은 rejoicing과 boasting입니다. 그는 이 두 단어가 동일한 그리스어에서 나왔으므로 기계적으로 동일하게 boasting 혹은 pride로 번역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합니다.       여러 곳에 있지만 현상이 동일하므로 일단 고전15:31, 고후2:12를 보겠습니다.   개역(개정), NIV 등 현대 역본들: 형제들아 내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서 가진 바 너희에 대한 나의 자랑(boasting)을 두고 단언하노니 나는 날마다 죽노라(고전15:31)   흠정역: 내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서 가진바 너희로 인한 기쁨(rejoicing)을 두고 단언하노니 나는 날마다 죽노라.   개역(개정), NIV 등 현대 역본들: 우리가 세상에서 특별히 너희에 대하여 하나님의 거룩함과 진실함으로 행하되 육체의 지혜로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은혜로 행함은 우리 양심이 증언하는 바니 이것이 우리의 자랑(boasting or pride)이라(고후2:12)   흠정역: 우리가 세상에서 생활할 때에 단순함과 하나님께 속한 진실함으로 하였고 육체의 지혜로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은혜로 하였으며 또 너희를 향하여는 더욱더 그리하였노니 이것이 우리의 기쁨(rejoicing)이요 또 우리의 양심이 증언하는 바라.   자, 원어를 보지 않아도 양식 있는 독자라면 바울이 이런 데서 자신을 자랑하고자 했는지, 그들로 인해 기뻐하고자 했는지 금세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어에는 두 뜻이 다 있습니다. 맞습니다. 그러나 그런 뜻 가운데 앞뒤 문맥상 이런 부분은 자랑이 아니라 기쁨이 되어야 하기에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은 기쁨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연이어 나오는 고후1:14를 보시면 명확해질 것입니다.   개역(개정), NIV 등 현대 역본들: 너희가 우리를 부분적으로 알았으나 우리 주 예수의 날에는 너희가 우리의 자랑이 되고 우리가 너희의 자랑이 되는 그것이라   흠정역: [주] 예수님의 날에 너희가 우리의 기쁨이 되는 것 같이 우리도 너희의 기쁨이 되는 것이라.   그리스도의 심판석에서 우리의 형제자매들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어야지 자랑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어떻게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수 있습니까?   히3:6을 보기 바랍니다.   개역(개정), NIV 등 현대 역본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집을 맡은 아들로서 그와 같이 하셨으니 우리가 소망의 확신과 자랑을 끝까지 굳게 잡고 있으면 우리는 그의 집이라   흠정역: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집을 다스리는 아들로서 신실하셨으니 우리가 소망의 확신과 기쁨을 끝까지 굳게 붙들면 우리가 그분의 집이니라.   과연 우리가 끝까지 붙잡을 것이 ‘자랑’일까요? 이 둘은 완전히 다르지 않습니까?   여기에 해당하는 그리스말은 스트롱 번호가 2745나 2746입니다.       스트롱 번호 2745를 가진 고전5:6; 9:15-16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흠정역: 너희가 자랑하는 것이 옳지 아니하도다 적은 누룩이 온 덩어리에 퍼지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고전5:6) 흠정역: 그러나 내가 이런 것들을 하나도 사용하지 아니하였고 또 내게 이같이 해 달라고 이것들을 쓰지 아니하였나니 내가 죽는 것이 누가 나의 자랑하는 것을 헛되게 만드는 것보다 나으리라. 내가 복음을 선포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나니 이는 필연적으로 내가 해야 하기 때문이라. 만일 내가 복음을 선포하지 아니하면 참으로 내게 화가 있으리로다!(고전9:15-16)   이런 데는 당연히 자랑하는 것을 표현하므로 흠정역도 자랑으로 번역하였습니다. 물론 개역, NIV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시 말해 흠정역은 앞뒤 문맥을 신실하게 살피고 같은 단어를 기쁨 혹은 자랑으로 바르게 나누어 번역하였고 다른 역본들은 기계적으로 다 자랑으로 번역하였습니다. 그 결과 다른 역본들은 바울과 성도들을 자기 자랑만 일삼는 교만한 자들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역본을 쓰는 성도들은 자랑하는 자들이 되어야 마땅할까요? 성경의 어느 곳에서는 자랑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했는데, 또 다른 구절에서는 자랑하라고 되어 있으니 이를 어쩌면 좋단 말입니까.   바로 이런 이유 때문데 모든 단어를 기계적으로 일치시키는 것은 번역을 망치고 심지어 성도의 생활에까지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영광인가,칭찬인가?   하나만 더 예를 들겠습니다.   요한복음 12장에는 예수님 당시 지도자들 중에서도 예수님을 인정하고 다르고 싶었으나 하지 못한 사람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흠정역: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두머리 치리자들 가운데서도 많은 사람들이 그분을 믿되 바리새인들로 인해 회당에서 쫓겨날까 염려하여 그분을 시인하지 못하였으니 이는 그들이 사람들의 칭찬(praise)을 [하나님]의 칭찬(praise)보다 더 사랑하였기 때문이더라(요12:42-43).   이들은 사람들에게서 칭찬받는 것을 하나님에게서 칭찬받는 것보다 더 중히 여겼습니다. 그런데 현대 역본들은 이를 달리 표현하였습니다.   개역(개정), NIV 등 현대 역본들: 그러나 관리 중에도 그를 믿는 자가 많되 바리새인들 때문에 드러나게 말하지 못하니 이는 출교를 당할까 두려워함이라 그들은 사람의 영광(glory)을 하나님의 영광(glory)보다 더 사랑하였더라   여기서도 동일한 현상이 생깁니다. 칭찬과 영광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스트롱 번호 1391입니다. 1391  dovxa   doxa {dox'-ah}1380의 어간에서 유래;(매우 ‘분명한’)폭넓은 적용으로(문자적으로 혹은 상징적으로, 목적어 혹은 주어)‘거룩’, 위엄, 거룩(한) 영예, 찬양, 경배 <롬1:23;고후6:8>여명. radiance, glory;   번역자들은 ‘칭찬’과 ‘영광’ 중의 하나를 택해야 합니다. 앞뒤 문맥상 어느 것이 적합할까요? 당연히 ‘칭찬’입니다.   이런 예는 성경에 수천 군데나 나옵니다.   2-3개의 뜻 가운데서 어느 것을 택하느냐에 따라 교리가 변하고 마음가짐과 태도가 변합니다.   해 아래서 하는 일은 바람을 잡는 일인가?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qna&write_id=304 십일조를 3일 만에 드릴까요, 3년 만에 드릴까요?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84>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37   4. 결론   1. 부디 여러분과 가족의 영적 안위를 위하여 번역을 해 보지 않은 자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넘어가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들은 원어 사전으로 세뇌된 채 망상 속에서 본인들도 알지 못하는 말을 쏟아냅니다.   2. 특히 누가 메츠거, 알란드 등을 언급하거나 혹은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주는 글’ 등을 인용하면서 이런 종류의 험담을 옮기거든 이 글을 보여 주고 속히 그들 쳐놓은 영적 올무에서 벗어나기 바랍니다.   속지 말라. 악한 사귐은 선한 습성을 부패시키느니라(고전15:33)   내가 이것을 아노니 곧 내가 떠난 뒤에 사나운 이리들이 너희 가운데로 들어와 양 떼를 아끼지 아니할 것이요, 또 너희 중에서도 제자들을 끌어내어 자기들을 따르게 하려고 왜곡된 것들을 말하는 사람들이 일어나리라. 그러므로 깨어서 내가 삼 년 동안 밤낮 쉬지 않고 눈물로 각 사람을 훈계하던 것을 기억하라. 이제 형제들아, 내가 너희를 [하나님]과 그분의 은혜의 말씀에 맡기노니 이 말씀이 너희를 능히 든든히 세워 거룩히 구별된 모든 자들 가운데서 너희에게 상속 유업을 주리라(행20:29-32).   3. 영어 킹제임스 성경은 오류가 없는 완전한 성경입니다. 창세기 1장부터 계시록 22장까지 하나님의 말씀이 100% 정확하고 순수하게 들어 있습니다. 읽고 비교하고 확신을 갖기 바랍니다.   4. 우리말 흠정역 성경은 영어 킹제임스 성경을 우리말의 테두리 안에서 최대한 성실하게 번역한 성경입니다. 원어와 영어를 몰라도 됩니다. 대부분의 성도들은 이 성경으로 충분합니다.   원어를 과도하게 의지하면 안 되는 이유(원어 소프트웨어)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39 영어를 못하면 성경을 이해하기 어렵다고요?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6&write_id=517   존귀하신 창조자 하나님의 말씀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의 구원자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위로자 성령님의 큰 평안이 임할 줄로 확신합니다.   하늘과 땅은 없어지겠으나 내 말들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마24:35).Heaven and earth shall pass away, but my words shall not pass away.   6 {주}의 말씀들은 순수한 말씀들이니 흙 도가니에서 정제하여 일곱 번 순수하게 만든 은 같도다. 7 오 {주}여,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시12:6-7). 6 The words of the LORD [are] pure words: [as] silver tried in a furnace of earth, purified seven times. 7 Thou shalt keep them, O LORD, thou shalt preserve them from this generation for ever. 
2016-04-21 13:26:17 | 관리자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 즉 일대일 번역의 의미‘형식적 일치’와 ‘기계적 일치’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 한 분이 전도서 3장 10절의 travail에 대해 질문하셔서 잠시 답을 드립니다.   또한 동시에 성경 번역 시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의 일대일 번역의 의미가 무엇인지 즉 ‘형식적 일치’와 ‘기계적 일치’의 뜻이 무언인지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1. 동일 단어 번역 문제   ---------저는 얼마 전부터 흠정역과 영어 KJB를 같이 읽고 있습니다. 흠정역 전도서 3장 10절[하나님]께서 사람들의 아들들에게 해산의 고통을 주사 그 안에서 단련 받게 하신 것을 내가 보았노라. KJB 3장 10절I have seen the travail, which God hath given to the sons of men to be exercised in it. 두 구절을 비교했을 때, 흠정역 성경에 ‘해산의 고통’이라고 번역 되었는데 해산이라는 뜻이 KJB의 어디에 해당하는지 궁금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참고로 지금까지 제가 읽은 ‘그리스도예수안에’의 킹제임스 흠정역 400주년 기념판은 뜻이 정확하고 가장 KJB와 가깝다고 여겨집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수고를 했을까 생각하니 감사의 마음이 절로 밀려옵니다. 번역이라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며 중요한 일인지 알기 때문에 정말 조심스럽게 질의해 봅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모든 사람들이, 사람 앞이 아니라 하나님께 그 수고를 인정받으면 최고의 기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좀 더 성경을 구체적으로 배우고 알아가며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 또한 성도의 본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문의하신 분은 아마도 온화한 성품의 소유자인 것 같습니다.   개역성경(개역개정 포함)은 이를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습니다.   개역: 하나님이 인생들에게 노고를 주사 애쓰게 하신 것을 내가 보았노라   사전을 보니 ‘노고’는 ‘힘들여 수고하고 애씀’을 뜻합니다.   일단 제가 주로 아래아 한글을 쓰므로 거기 내장 사전(도구 항목의 사전 모음)에 있는 travail의 정의를 찾아보았습니다.   ᛜtrav·ail [trǝvéil, trǽveil] n. 산고(產苦), 진통; 고생, 노고; 곤란; (흔히 pl.) 노작(勞作).   travail에 대해 옥스퍼드 사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육체적 정신적 수고 또는 아픔, 고생되는 일, 이런 것들의 결과2. 해산의 고통   라이프성경사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립니다.   travail: 해산의 고통, 아이를 낳을 때 산모가 겪는 고통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97249&cid=50762&categoryId=51387 이것들을 종합해 보면 travail은 ‘노고’도 되고 ‘해산의 고통’도 됩니다.   그러므로 둘 중 하나로 번역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우리는 인생의 쓰라린 고통을 이야기하는 전도서의 관점에서 travail이 그냥 ‘힘들여 수고하고 애씀’보다 해산할 때 산모가 겪는 고통에 가깝다고 생각하여 이렇게 번역하였습니다.   이를 좀 더 잘 설명하기 위하여 전도서 1장 13-14절을 보겠습니다.   13 지혜를 써서 하늘 아래에서 이루어진 모든 일에 관하여 찾아보고 탐구하려고 내 마음을 쏟았는데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아들들에게 이 쓰라린 해산의 고통을 주사 그것으로 단련 받게 하셨느니라. 14 내가 해 아래에서 이루어진 모든 일을 보았는데, 보라, 모든 것이 헛되며 영을 괴롭게 하는 것이로다.   13절의 ‘쓰라린 해산의 고통’(sore travail)과 14절의 ‘영을 괴롭게 하는 것’이 서로 매칭이 되지 않습니까?   그러나 개역성경은 이와는 전혀 문맥이 다릅니다.   13 마음을 다하며 지혜를 써서 하늘 아래서 행하는 모든 일을 궁구하며 살핀즉 이는 괴로운 것이니 하나님이 인생들에게 주사 수고하게 하신 것이라 14 내가 해 아래서 행하는 모든 일을 본즉 다 헛되어 바람을 잡으려는 것이로다   13절의 수고와 14절의 바람을 잡는 것이 무슨 연관이 있습니까?   이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해 아래서 하는 일은 바람을 잡는 일인가?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qna&write_id=304   흠정역은 창38:27, 사23:4, 요16:21 등에서는 travail을 ‘해산의 고통’이라는 의미로 번역하였습니다. 앞뒤 문맥이 아기 낳는 것을 보여 주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출18:8, 민20:14 등에서는 고난으로 번역하였습니다.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은 번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번역이란 창문을 열어 빛이 들어오게 하는 작업이다. 번역은 껍질을 까서 우리가 열매를 먹도록 해주며 휘장을 젖혀서 우리가 지성소를 들여다보게 해준다. 번역은, 야곱이 우물 아귀에서 돌을 굴려내고 물을 길어 그것으로 라반의 양떼들에게 물을 주었던 것처럼(창29:10), 우물의 뚜껑을 열어 우리가 물로 나가게 해 준다. 참으로 보통 사람들의 말로 [성경이] 번역되지 않는다면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두레박이나 물길을 그릇이 없이(요4:12) 야곱의 그 (깊은) 우물 옆에 서 있는 아이들과 같고 이사야서에 언급된 사람, 즉 봉인된 책을 넘겨받아 읽을 것을 요구받는 사람과 같을 것이다. ‘원하건대 이것을 읽으라, 하면 그가 이르기를, 그것이 봉인되었으므로 내가 읽을 수 없노라, 할 것이요’(사29:11).   따라서 어떤 단어를 어떤 단어로 번역하느냐는 문맥에 의해 결정되며 그 결과는 위에 보여 드린 ‘해 아래서 하는 일은 바람을 잡는 일인가?’의 예처럼 판이하게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단어라도 번역자가 문맥을 잘 파악하여 번역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2. 영어 킹제임스 성경은 히브리어 원어 성경을 단어 대 단어로 즉 형식적 일치를 이루도록 번역한 성경이다.   전도서 1장 13절을 보면 ‘sore travail’(쓰라린 해산의 고통)이 나옵니다. 이것은 히브리어 ‘ra’(스트롱 번호 7451)와 ‘inyan’(6045)을 번역한 것입니다. 그런데 개역성경은 이런 것이 잘 드러나지 않게 의역하였습니다. 알 수가 없습니다.   또한 ‘travail’이라는 명사는 전도서에 8번 나옵니다(1:13; 2:23, 26; 3:10; 4:4, 6, 8; 5:14). 흠정역은 이것을 모두 ‘해산의 고통’으로 번역하며 일관성을 유지하였습니다. 반면에 개역성경은 수고, 노고, 재난 등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이 모두 틀린 것은 아니지만 같은 책에서 같은 단어를 일관성 있게 번역해야만 원 저자가 의도한 그 책의 뜻을 더 잘 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데살로니가후서 3장 8절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흠정역: 누구의 빵이든 거저먹지 아니하였으며 너희 중의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수고와 해산의 고통 속에서 밤낮으로 일하였나니   KJB: Neither did we eat any man's bread for nought; but wrought with labour and travail night and day, that we might not be chargeable to any of you:   개역: 누구에게서든지 양식을 값없이 먹지 않고 오직 수고하고 애써 주야로 일함은 너희 아무에게도 누를 끼치지 아니하려 함이니   여기에는 ‘labour and travail’이 나옵니다. 흠정역은 이것을 ‘수고와 해산의 고통’으로 번역하였고 개역은 ‘수고하고 애써’로 번역하였습니다. 역시 둘 다 옳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산의 고통’으로 번역하면 사도 바울의 사역이 산고처럼 힘든 가운데 이루어졌다는 뜻과 함께 그가 사람들을 구원시키는 일이 아이를 낳는 고통을 수반한다는 뜻을 다 포함합니다. 사람을 구원받게 하는 일은 말 그대로 해산의 고통을 통해 다시 태어나게 하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영어 킹제임스 성경의 역자들은 이를 travail로 표현하였습니다.   3. 형식적 일치와 기계적 일치의 큰 차이   번역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 번역을 해 보지 않은 사람들은 모든 단어를 기계적으로 일치시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는 그것이 ‘단어 대 단어’의 일치 번역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는 킹제임스 성경의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주는 글’ 등을 뜻을 왜곡한 채 인용합니다. 즉 그 서문에서 번역자들이 기계적 일치를 하지 않았다고 기술하므로 영어 킹제임스 성경은 단어 대 단어를 번역한 성경이 아니라고 이들은 주장합니다. 이것은 'word for word'라는 영어 말 자체를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무지의 결과입니다.   킹제임스 영어 성경은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본의 모든 단어를 영어로 ‘일대일 대응’이 되게 번역한 성경 즉 형식적 일치를 이룬 성경입니다. 즉 주어, 목적어, 단수, 복수, 수동태, 능동태, 시제 등이 원본과 같습니다. 다만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을 하면 반드시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어서 그런 부분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습니다. 이것을 영어로는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 번역이라고 말합니다. 이런 의미의 ‘단어 대 단어’(word for word)는 형식적 일치를 뜻합니다.   성경 번역 기법: 형식적 일치 vs 동적 일치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84   그런데 이 경우도 히브리어/그리스어의 한 단어가 영어에서는 두 단어로 혹은 히브리어/그리스어의 두 단어가 영어에는 한 단어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원어와 수용 언어가 다르므로 번역에서 당연히 생길 수 있는 일입니다. 즉 히브리어가 5단어라고 해서 영어로 꼭 5개가 되라는 법은 없습니다. 다만 주어, 동사, 목적어, 수동태, 도치 등은 원래대로 유지되며 4개나 6개 혹은 7개 단어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것을 단어 대 단어의 번역 즉 형식적 일치의 번역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킹제임스 성경은 히브리어/그리스어의 같은 단어를 기계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같은 단어를 기계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번역하는 것을 영어로는 ‘word for word equivalence’라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word for word’ 라는 말도 형식적 일치인지 기계적 일치인지 잘 구분해야만 합니다. 기계적 일치는 구글 번역기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는 일이고 그것은 심지어 번역이라 할 수도 없습니다. 한 단어에는 몇 가지 뜻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번역자들은 앞뒤 문맥을 보고 같은 단어라도 달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니, 그래야만 제대로 된 번역을 할 수 있습니다.      킹제임스 성경이 히브리어/그리스어의 같은 단어를 기계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게 번역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위키 백과에도 분명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번역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잠시 후에 예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King_James_Version         위 그림에서 보듯이 명사 travail은 신구약 성경에 총 31회 나옵니다(구약 26회, 신약 5회). 여기서 맨 오른쪽의 숫자는 스트롱 번호입니다. 구약의 경우 3205, 8513, 60045, 5999, 2342, 2470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다 다른 원어입니다. 그런데 이 원어들에는 다 해산의 고통, 수고, 노고 등의 뜻이 있으므로 번역자들은 그중에서 문맥을 보고 원어는 달라도 다 travail로 번역하였습니다.   이런 것을 두고 킹제임스 성경이 ‘단어 대 단어’의 일대일 번역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억지이거나 알면서도 마치 약점인 것처럼 부각시키려는 의도입니다. 만일 그런 단어들을 삭제했다면 그것은 ‘단어 대 단어’의 일대일 번역을 하지 않은 것입니다. 즉 형식적 일치를 이루지 않는 번역입니다. 하지만 그런 예는 킹제임스 성경에 단 하나도 없습니다. 영어 킹제임스 성경은 이 세상의 모든 성경 중에서 ‘단어 대 단어’의 일대일 번역을 가장 많이 이룬 성경입니다.   전도서만 보더라도 travail에 해당하는 원어는 6045와 5999입니다. 전3;10의 6045의 원어 사전 뜻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6045  @y:nÒ[i   `inyan  {in-yawn'}6031에서 유래;‘노고’, 즉(일반적으로)‘고용’, 또는(특히)‘용무’:-사무, 고생   전4:4의 5999의 원어 사전 뜻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5999  lm;[;   `amal  {aw-mawl'}5998에서 유래;‘수고’, 즉 ‘진저리나는 노력’;따라서(신체적이건 정신적이건)‘걱정하다’:-불만, 통한, 사악, 고역, 과실, 불쌍한, 불행, 고통, 아픈, 완고함, 슬픔, 노고, 고생, 싫증나는, 사악함   보시다시피 이 둘은 다 엄청난 수고와 고통을 뜻합니다. 그래서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은 이것을 해산의 고통과 같은 의미로 보고 ‘travail’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단어 대 단어의 일대일 대응을 기계적 일치로 보면 번역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번역과 반역 사이에서: 기계적 일치 번역은 안 된다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6&write_id=512   4. 단어 대 단어를 기계적 일치로 여기면 번역을 망친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 루아흐(스트롱 번호 7307)를 봅시다. 이것은 영, 바람 등으로 번역됩니다. 창세기 1:2; 6:3 등의 영(靈)이 바로 루아흐입니다. 출10:13, 19에는 동풍과 서풍이 나옵니다.   모세가 이집트 땅 위로 자기 막대기를 내밀매 {주}께서 그 땅에 동풍(東風)을 가져오사 그 온 낮과 그 온밤에 불게 하시니 아침이 되어 동풍이 메뚜기들을 몰아오매   자 이런 부분을 단어 대 단어의 기계적 일치를 위해 동영(東靈), 서영(西靈)이라고 하면 말이 안 되지 않습니까? 모든 영어 성경은 물론 개역성경까지도 이를 다 동풍, 서풍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단어 대 단어의 기계적 일치를 일대일 대응 번역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결코 제대로 된 번역이 아닙니다.   자 그러면 우리말 성경으로 이런 예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spirit은 대개 ‘영’으로 번역됩니다. 그런데 여호수아기 5장 1절의 spirit은 영으로 하면 말이 안 됩니다.   흠정역: 요르단 서쪽에 있던 아모리 족속의 모든 왕과 바닷가의 가나안 족속의 모든 왕이 우리가 건널 때까지 {주}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요르단의 물들을 마르게 하신 것을 들었을 때에 그들의 마음이 녹았고 이스라엘 자손으로 인하여 그들에게 더 이상 정신이 없었더라.   KJB: And it came to pass, when all the kings of the Amorites, which were on the side of Jordan westward, and all the kings of the Canaanites, which were by the sea, heard that the Lord had dried up the waters of Jordan from before the children of Israel, until we were passed over, that their heart melted, neither was there spirit in them any more, because of the children of Israel.   흠정역 맨 끝의 “정신이 없었더라”의 정신은 영어로 spirit(스트롱 번호 7307, 루아흐)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영이 없었더라”라고 번역하면 말이 안 됩니다.   그러므로 영어에서는 spirit이 두 가지 의미를 다 가지고 있으므로 독자가 알아서 판단하면 되지만 우리말에서는 spirit의 또 다른 뜻인 정신으로 번역해야 합니다.   개역성경 역시 이것을 정신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개역: 요단 서편의 아모리 사람의 모든 왕과 해변의 가나안 사람의 모든 왕이 여호와께서 요단 물을 이스라엘 자손들 앞에서 말리시고 우리를 건네셨음을 듣고 마음이 녹았고 이스라엘 자손들의 연고로 정신을 잃었더라  5. 우리말 흠정역 성경은 형식적 일치를 이루려고 노력한 성경이다.   흠정역과 개역은 뜻이 비슷하지만 흠정역은 단어 대 단어의 형식적 일치를 이루었고 개역은 단어를 삭제하였습니다. 영어의 끝 부분은 ‘neither was there spirit in them any more’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any more’를 보기 바랍니다. 이것은 히브리어 오데(스트롱 번호 5750)이며 뜻은 앞의 neither와 합쳐지면서 말 그대로 ‘더 이상’입니다. 이런 단어는 이미 중학교 영어 시간에 다 배우는 말입니다.   단어 대 단어의 형식적 일치를 이루려면 반드시 any more를 표현해야 합니다. 영어 킹제임스 성경은 세심하게 그것을 놓치지 않았고, 우리말 흠정역도 같습니다. 그러나 개역은 그 단어를 삭제함으로써 형식적 일치를 벗어났습니다. 흠정역의 표현은 ‘여리고 사람들이 그 이후로 계속 정신이 없었다’는 뜻(다 죽었으니까요)이고 개역은 ‘그 당시만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었다’는 뜻이 됩니다.   이런 것을 통해 우리는 영어 킹제임스 성경이 단어 대 단어를 일대일 대응이 되게 번역한 성경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한 구절만 그런 것이 아니라 100% 모든 구절이 다 그렇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영어로 완벽히 보존된 성경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흠정역 성경은 이 성경을 우리말의 테두리 안에서 최대로 신실하게 번역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성도들은 원어를 보지 않아도 됩니다. 심지어 대부분의 성도들은 영어를 보지 않아도 됩니다. 저처럼 번역을 하거나 목사로서 설교를 하거나 성경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다른 용례를 살펴보기 위해 원어나 영어를 참조하는 것은 필요한 일입니다.     그런데 이런 일도 이미 컴퓨터로 누구나 다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가장 좋은 도구는 슈퍼바이블입니다. 이것은 영어 킹제임스 성경의 원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딜럭스바이블도 있습니다(아마도 이것은 슈퍼바이블에서 나온 것으로 보임, 형태가 거의 같음). 다만 이것은 몇 년 전에 업데이트를 하면서 소수 본문 원어를 사용하므로 킹제임스 성경과 다른 데가 많습니다. 즉 개역성경이나 NIV와 비슷합니다. 그래도 위에서 제가 보여 드린 것들은 동일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어를 과도하게 의지하면 안 되는 이유(원어 소프트웨어)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39   그래서 심지어 영어에 능통하지 못하더라도 성령님의 도우심이 있다면 우리말 흠정역 성경을 성실히 연구하고 성경 소프트웨어 등을 잘 활용하여 뛰어난 설교자가 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감히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글도 참조해 주십시오.   영어를 못하면 성경을 이해하기 어렵다고요? 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6&write_id=517   6. “이렇게 원전분해가 다 되어 있는데 왜 번역을 해야 할까요?”   원전 분해와 원어 사전은 말 그대로 원어의 뜻을 나열한 것입니다. 이것을 번역자가 앞뒤 문맥을 보고 신학적으로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여 문장으로 만들어야 성경이 나옵니다. 이 일을 이루려면 시적인 감각, 수용 언어(자국어) 실력, 문법, 맞춤법 등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그래서 위클리프 이후로 완벽한 영어 성경이 1611년에 나오기까지 무려 230여 년이 걸린 것입니다(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짐).   알렉산더 스커비가 낭독하는 영어 성경을 들어보기 바랍니다. 말 그대로 웅장함과 시적 아름다움의 극치가 드러나 있습니다.   Alexander Scourby의 영어 킹제임스 성경 낭독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41   그래서 1611년 킹제임스 성경 반포 이후에는 괄목할 만한 다른 역본이 나오지 않았고 1970년까지 약 360년 동안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이 성경으로 구원받고 신학을 정립하고 경건 생활을 하였던 것입니다. 지난 40년 동안 천주교 소수 본문에 근거를 둔 여러 가지 현대 역본들이 나왔지만 여전히 영국, 미국, 캐나다, 아프리카, 중동, 인도 등 영어권에서는 킹제임스 성경이 독보적 성경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글을 마치면서 다시 한 번 우리는 번역의 의미를 살펴봅니다.   번역이란 창문을 열어 빛이 들어오게 하는 작업이다. 번역은 껍질을 까서 우리가 열매를 먹도록 해주며 휘장을 젖혀서 우리가 지성소를 들여다보게 해준다. 번역은, 야곱이 우물 아귀에서 돌을 굴려내고 물을 길어 그것으로 라반의 양떼들에게 물을 주었던 것처럼(창29:10), 우물의 뚜껑을 열어 우리가 물로 나가게 해 준다. 참으로 보통 사람들의 말로 [성경이] 번역되지 않는다면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두레박이나 물길을 그릇이 없이(요4:12) 야곱의 그 (깊은) 우물 옆에 서 있는 아이들과 같고 이사야서에 언급된 사람 즉 봉인된 책을 넘겨받아 읽을 것을 요구받는 사람과 같을 것이다. ‘원하건대 이것을 읽으라, 하면 그가 이르기를, 그것이 봉인되었으므로 내가 읽을 수 없노라, 할 것이요’(사29:11).   그리고 인터넷에 떠도는 유언비어나 한두 사람이 망상 속에서 그런 유언비어들을 모아서 기록한 허접한 책의 부정확한 주장 – 심지어 ‘영어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드리는 글’ 등을 자기들 편의대로 곡해한 말 - 로 영어 킹제임스 성경의 독보적 아름다움을 손상시키려는 사람들의 선동에 넘어가지 마시기 바랍니다.   망상이란 말 그대로 ‘1. 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령된 생각 즉 망념(妄念)이며 2. 근거가 없는 주관적인 신념. 사실의 경험이나 논리에 의하여 정정되지 아니한 믿음으로, 몽상 망상ㆍ체계화 망상ㆍ피해망상ㆍ과대망상 따위가 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르면서 하나님이 존귀하게 보존해주신 말씀을 100% 담고 있는 킹제임스 성경의 놀라운 영광을 폄훼하는 엄청난 실수를 저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400년이 넘는 검증을 거친 킹제임스 성경의 위용은 그러한 산들바람에 조금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존귀하신 창조자 하나님의 말씀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의 구원자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위로자 성령님의 큰 평안이 임할 줄로 확신합니다.   하늘과 땅은 없어지겠으나 내 말들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마24:35).Heaven and earth shall pass away, but my words shall not pass away.   6 {주}의 말씀들은 순수한 말씀들이니 흙 도가니에서 정제하여 일곱 번 순수하게 만든 은 같도다. 7 오 {주}여,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시12:6-7). 6 The words of the LORD [are] pure words: [as] silver tried in a furnace of earth, purified seven times. 7 Thou shalt keep them, O LORD, thou shalt preserve them from this generation for ever.   
2016-04-19 15:57:28 | 관리자
번역하신 고정은 자매님에게 감사합니다 맨 밑에 음영진 목사님 글은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문법 들먹이며 하나님 말씀 보존을 거부 하는것이 얼마나 어리석은것인지 명쾌하게 설명해 주십니다 "성경 속에 있는 현상(The Biblical Phenomenon)"에 대해서 "히브리어 단어 ‘법’(Law, 토라), ‘증언’(Testimony), ‘명령’(Commandment), ‘법규’(Statute), 그리고 ‘말씀’(Word)은 히브리어 문법상 여성형이다. 히브리 문법의 패턴은 선행명사와 그것을 받는 대명사는 성(性)과 수(數)가 일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남성형 단수(m.s.) 명사는 남성형 단수 대명사를 취하고, 남성형 복수(m.p.) 명사는 남성형 복수 대명사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성경 기록자는 어떤 특별한 진리들을 강조하려는 신학적인 목적을 위하여 이와 같은 통상적인 문법의 틀에서 벗어나서 기록하였다(The biblical writers deviated from this "grammatical norm" for theological purposes, emphasizing specific truths.). 성경을 기록할 때 사용된 언어들(히브리어, 아람어 그리고 헬라어)의 유일한 권위는 영감으로 기록된 성경기록이다! 이와 같은 성경 속의 히브리어의 한 현상 곧 신학적인 목적에 따라 성(性)의 불일치 현상을 밝혀주는 실례들이 구약성경을 구성하는 세 파트인 율법서, 성문서, 시가서 모두에 나와 있다. "
2016-04-18 22:59:23 | 김종설
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저는 ‘성경 사본학과 학식의 깊이’라는 글을 썼습니다. 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83   여기서 저는 다음을 언급하였습니다. ---------- 영국 런던에서 사역하시는 무어맨 박사님은 수용 본문(TR)과 네슬레-알란드 본문의 모든 단어를 한 장 한 장 넘기며 비교하고 다 세어 보았습니다. 그 결과 네슬레-알란드 본문의 단어가 수용 본문보다 무려 2,886개나 부족한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것은 웨스트코트‐호르트 본문이 삭제한 단어보다 934개가 더 많음을 뜻합니다. 삭제된 2,886개의 그리스어 단어들을 영어 단어로 환산하면 베드로전후서와 맞먹는 분량이 됩니다.   무어맨 박사님의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2002년에 <8,000개의 차이>라는 제목의 책(524쪽)으로 출판되었습니다. http://www.amazon.com/Differences-Between-Greek-Modern-Versions/dp/1568480547/ref=sr_1_1?s=books&ie=UTF8&qid=1459413487&sr=1-1&keywords=8000+differences 무어맨 박사님의 치열한 노력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보여 드리기 위해 마태복음이 시작되는 1쪽과 계시록 마지막 장을 보여드리겠습니다.       ---------   오늘은 이 귀한 책 전체를 무료 PDF 파일로 올립니다.   성경이 얼마나 다른지 눈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희가 출간한 <박사성경>은 이 8,000개 차이의 많은 부분을 킹제임스 흠정역 신약 성경 본문에 표기하였습니다. 이것 역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6_02&write_id=11   존귀하신 창조자 하나님의 말씀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의 구원자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위로자 성령님의 큰 평안이 임할 줄로 확신합니다.   하늘과 땅은 없어지겠으나 내 말들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마24:35).Heaven and earth shall pass away, but my words shall not pass away.   {주}의 말씀들은 순수한 말씀들이니 흙 도가니에서 정제하여 일곱 번 순수하게 만든 은 같도다. 오 {주}여,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시12:6-7). The words of the LORD [are] pure words: [as] silver tried in a furnace of earth, purified seven times. Thou shalt keep them, O LORD, thou shalt preserve them from this generation for ever. 
2016-04-18 14:27:36 | 관리자
안녕하세요?    이 글은 한마음 미션의 고정인 자매님께서 다음 글을 번역해 주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샬롬 패스터   Is Psalm 12:7 a promise that God would preserve his words? http://www.kjvtoday.com/home/does-the-second-them-in-psalm-127-refer-to-gods-words   ---------- 시편 12편 6-7절 말씀은 하나님께서 말씀들을 보존해 주시겠다는 약속입니까?   네. 그렇습니다.   6  {주}의 말씀들은 순수한 말씀들이니 흙 도가니에서 정제하여 일곱 번 순수하게 만든 은 같도다.  7 오 {주}여,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 (시편 12:6-7 킹제임스 흠정역)   시편 12편 6-7절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분 자신의 말씀들(단어들)을 영원히 보존하시겠다는 놀라운 약속을 제공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현대 번역본들은 이 놀라운 약속은 감히 누락시켰습니다. 같은 구절이 ESV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6 The words of the LORD are pure words, like silver refined in a furnace on the ground, purified seven times. 7 You, O LORD, will keep them; you will guard us from this generation forever. (6 여호와의 말씀은 순결함이여 흙 도가니에 일곱 번 단련한 은 같도다. 7 여호와여 그들을 지키사 이 세대로부터 영원까지 보존하시리이다.)   NIV와 NLT 역시 ‘그들’ (5절에 언급된 학대받는 자들)을 하나님께서 보호 (보존)해 주시는  대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영어에서 남성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인간을 가리킵니다. 그래서 (히브리어의 경우는 아니지만) NASB는 인간을 선행사로 나타내는 ‘him’을 사용했습니다. 문제는 7절에 나오는 2인칭 대명사가 ‘them’(그것들)이어야 하는지, 그리고 ‘them’ (그것들)이 ‘words of the LORD’(주의 말씀들)을 가리키는지의 여부입니다.   사전적인 분석 단어 ‘지키다’ (שׁמר)와 ‘보존하다’ (נצר)는 성경의 다른 부분들에서 사람과 말씀 둘 다 관련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지키다’ (שׁמר)는 신명기 17장 19절, 시편 119장 57절, 그리고 잠언 7장 1절에서 말씀과 관련되어 사용되었고, ‘보존하다’ (נצר)는 (‘지키다’로도 번역 됨) 시편 105장 45절, 시편 119장 33-34절, 그리고 잠언 3장 1절에서 말씀과 관련되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단어의 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한 이론이 다른 이론보다 옳다는 것을 증명하지는 않습니다.   주제 분석시편 12장의 주제는 사람들의 헛된 말과 하나님의 지속되는 말씀의 대비에 관한 것입니다. 킹제임스 성경의 시편 12장 전체 구절들을 ‘말씀’ 혹은 ‘말’과 관련된 부분들에 밑줄을 그어  아래에 인용해 보겠습니다.   1 (스미닛에 맞추어 악장에게 준 다윗의 시) {주}여, 도우소서. 하나님을 따르는 사람이 끊어지고 신실한 자들이 사람들의 자녀들 가운데서 없어지나이다.2 그들이 저마다 자기 이웃과 더불어 헛것을 말하며 아첨하는 입술과 두 마음으로 말하나이다.3 {주}께서 아첨하는 모든 입술과 교만한 것들을 말하는 혀를 끊으시리니4 그들이 말하기를, 우리가 우리 혀로 이기리라. 우리 입술은 우리 것이니 누가 우리를 주관하리요? 하였도다.5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가난한 자의 학대받는 것과 궁핍한 자의 탄식하는 것으로 인하여 이제 내가 일어나 그를 향해 우쭐대는 자로부터 그를 떼 내어 안전하게 두리라, 하시는도다.6 {주}의 말씀들은 순수한 말씀들이니 흙 도가니에서 정제하여 일곱 번 순수하게 만든 은 같도다.7 오 {주}여,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8 가장 비열한 자들이 높여질 때에는 사악한 자들이 사방에서 활보하는도다.   7절은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대명사 ‘them’ (그것들) (대명사가 ‘them’ (그것들)이어야 한다고 잠시 가정해 보았을 때)은 6절에 나와 있는 ‘주의 말씀들’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시편 12편이 주의 ‘말씀들’의 우수성에 초점을 두기 때문입니다. 일부 비평가들의 말들과는 달리 이 시편의 주요 초점은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보호하신다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보호하신다는 내용이 중요한 이슈이기는 하지만, 주제는 아닙니다. 시편 12편의 진정한 주제는 ‘말씀’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짓는 죄가 ‘말씀’과 관련된 행동에 제한된다는 점을 보면 명백해집니다. 만약 주제가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보호하시는 것이라면, 신체적 폭력과 같은 경건하지 않은 또 다른 악덕들도 언급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것들은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시편 12편은 의도적으로 오로지 언어적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편의 주제는 인간의 헛된 말들에 대한 하나님의 영원한 말씀들의 승리입니다.   구문 분석문장구성을 보면 7절에 나온 ‘them’이 ‘the words of the LORD’ (주의 말씀들)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함을 보여 줍니다. ‘the words of the LORD’ (주의 말씀들) 혹은 비유로 제시된 ‘silver’ (은)는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명사이고 그렇기 때문에 선행사일 가능성이 큽니다. ‘가난한 자’와 ‘궁핍한 자’는 멀리 떨어진 곳에 있으므로 선행사가 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논리적 분석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주의 말씀들’의 귀중함을 은에 비유한 후 그것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논제에서 벗어난 것입니다. 주께서 백성들을 보존해 주신다고 강조하기 위해 주의 말씀들의 귀중함에 대해 굳이 언급할 필요가 있을까요? 주의 말씀들의 귀중함과 백성들을 보존하심은 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주의 말씀들의 귀중함과 하나님께서 귀중한 그것들을 보호해 주시려는 의도는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학적 분석시편은 시이기 때문에 비유적인 언어가 자유롭게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자적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문자적으로 읽어보면, 하나님께서 억압받는 자들을 영원히 보존하시겠다는 해석보다 그분의 말씀들을 보존해 주시겠다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신학적으로 더 말이 되고 의미가 있습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주의 말씀들이 영원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 기록 어디에서도 하나님께서 억압받는 자들을 영원히 보존해 주시겠다는 약속이나 증거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어떤 이들은 하나님께서 구원을 통해 영원한 생명을 주신 혼들을 보존해 주시겠다는 비유적인 생각까지 고려하여 ‘억압받는 자들’이 그저 아무런 억압 받는 자들이 아니라 믿는 자들이라고 추정하기도 합니다. ‘them’을 억압받는 자들과 연관시키는 해석은 훨씬 더 많은 추측할 거리들을 남깁니다.   문법적 분석비평가들은 시편 12장 7절에 나오는 ‘보존하다’의 대명사가 ‘them’으로 번역되었지만, 히브리어 문법을 따르면 그것은 ‘them’이 아니라 3인칭 남성단수여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SB 같은 번역본들은 그 구절을 "You will preserve him from this generation forever."라고 번역하였습니다. 그런데 히브리어가 남성단수대명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킹제임스 성경 번역가들이 남긴 난외주에는, ‘히브리어:  그(he). 즉  그것들 각각 모두’ (KJV 1611)라고 쓰여 있습니다. 그래서 킹제임스 성경 난외주를 참고하면 성경 원어인 히브리어가 정확히 어떤 의미와 용법으로 쓰였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단수는 복수를 참조하여 배분적으로 사용됩니다. 번역가들은 그 대명사가 문법적으로 단수여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알았습니다. 하지만, 문법적으로 단수 대명사인 이 단어는 의미적으로는 복수를 뜻합니다. 영어에도 그러한 대명사가 존재합니다. ‘everyone’이라는 영어 단어는 문법적으로는 단수이지만 뜻은 복수입니다.   “I love everyone. I love them.”   ‘Everyone’은 문법적으로는 단수인 단어입니다. 우리는 “Everyone is here”이라고 말하지, “Everyone are here.”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everyone’이라는 단어를 지칭하는 대명사는 복수 대명사인 ‘them’입니다. ‘Everyone’은 복수의 뜻을 가지고 있는 문법적 단수 단어 입니다.   마찬가지로 시편 12장 7절에 쓰인 히브리어 대명사가 문법적으로는 단수의 형태를 띤다고 해도, 그 의미는 복수입니다. 복수 ‘them’ (…keep them…)과 distributive singular (복수의 관념을 개별적으로 배분하여 가리키는 단수형) ‘him’ (…preserve them…)의 조합은 ‘each and every’ 즉 각각 그리고 모든 단어가 유지되고 보존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확실하게 해 줍니다. 번역 과정에서 ‘him’을 ‘them’으로 변환시키는 것은 영어단어 ‘silver’나 ‘words’가 남성 인칭대명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유재량적이며 용인됩니다.   성별의 일치에 관하여 남성 대명사 접미사 ‘them’ (תשׁמרם)/’him’ (תצרנו)"과 여성 대명사 접미사인 ‘words’ (אמרות)의 문법적 성별 불일치는 남성적 형태인 ‘אמר’ (emer)로 종종 쓰이는 ‘words’가 남성 의미론적 방향을 가지는 걸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시편 12장 6절에서 construct state (성별과 관련하여 아프로아시아어에서 발생하는 명사 형태)로 쓰인 ‘אמרות יהוה ‘(words of the LORD)에서의 ‘words’는 남성적 특성을 띠기 때문에 ‘words는 의미론적으로 남성적 방향을 나타냅니다.   캠벨 모르간의 증언 시편 노트: 시편 12편 기자는 6-7절에서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들에 탄성을 지르며 여호와 하나님께서 그것들을 지키시고 보존해 주실 것을 선포한다. 7절의 ‘them’은 6절의 ‘말씀들’ 즉 주님의 입에서 나온 단어들이다. 전 세계적인 부흥이나 개혁이 일어나 전 성도들이 보존되는 약속은 성경에 없다. 여호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것은 소수의 남은 자들의 구원과 자신의 말씀들의 보존이다.   http://prophets-see-all.tripod.com/46587.htmDr. G. Campbell Morgan agreed with the rendering found in the King James Bible. He writes, "The psalmist breaks out into praise of the purity of His words, and declares that Jehovah will keep them and preserve them. The them here refers to the words. There is no promise made of widespread revival or renewal. It is the salvation of a remnant and the preservation of His own words which Jehovah promises." (Notes on the Psalms, Revell Comp., p.32).   요한 웨슬리의 증언 다음 링크에는 요한 웨슬리 목사님의 시편 12;7 노트가 있는데 그분도 분명히 6-7절은 말씀 보존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biblehub.com/commentaries/wes/psalms/12.htm 끝으로 시편 12편에 대해서는 음영진 목사님께서 가장 자세히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게 잘 설명하셨으므로 다음 링크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http://firstbaptist.or.kr/default/product/01.php?com_board_basic=read_form&com_board_idx=15&top=3&sub=0&&com_board_search_code=&com_board_search_value1=&com_board_search_value2=&com_board_page=&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6-04-20 11:20:06 KJB 사본학_old에서 이동 됨]
2016-04-18 10:23:13 | 관리자
'13번'(난외주)와 '3번'(번역자들이 독자들에게 드리는글), 그리고 특히 '11번'(외경)'이 하나님의 영감을 받아 지어진 책들이 아님을 논리적으로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정도로 명백한 증거가 입증되면 이를 수긍하는 것이 일반적인 태도일진대,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진리를 연구한다는 학자들이 오히려 이를 부인하고 비방하며 반대편에 서서 하나님을 대적하는 일들을 보면서 우리 자신도 늘 깨어 있지 않으면 언제, 어떻게 (하나님의 일을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마귀를 돕는 일을 할 지도 모른다는 두려운 마음도 듭니다. 마귀는 언제든, 특히 우리가 잘 될 때, 교만해진 빈 틈을 교묘히 파고드는 무서운 존재임을 염두에 두고 항시 진리의 말씀으로 무장해야 하겠습니다.
2016-04-07 12:56:26 | 한원규
이렇게 방대한 자료를 보면서 킹제임스성경에 대한 저의 믿음이 더욱더 확고해지니 얼마나 감사한지요. 정말로 바라기는 이런 귀한 자료를 보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들, 곧 사람들의 불확실한 그럴듯한 논리에 귀를 기울이는 자들이 깨닫고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신뢰를 가지고 확신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2016-04-07 12:12:59 | 김영익
하나님께서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라 약속하신 말씀이 정확히 구약과 신약의 본문이라는 것이 다시 한 번 확실하게 정리가 되니 명쾌합니다. 얼마전에 저도 필요에 의해 잠깐 동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요.. 내용이 어설프고 억지가 드러나 어이가 없더군요. 킹제임스 성경과 정목사님을 비방하는 자들이 반대 진영이 아닌 킹제임스 성경을 안다는 사람들이라는게 아이러니 할 뿐입니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는 우리의 속담이 생각 나네요. 연구를 하면 바르게 해야할 것이며 비방을 하려면 제대로 알고나 해야지 왜곡되고 서투른 지식으로 하나님을 대적하는 일을 하다니 정말 용기가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잠잠히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이 자유로운 행로를 가지고 널리 알려지기를 기도하며 확신가운데 우리의 믿음을 조용히 지켜왔는데.. 본의 아니게 성경에 대한 믿음과 확신이 더욱 견고해지며 활발히 전파함으로 핍박으로 인한 개인의 믿음과 결속력이 강해지는 계기가 됨을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게 되네요.
2016-04-07 03:49:36 | 김상희
귀한 글 감사드립니다. 요즘 일어나고 있는 사악한 일들로 쓸데 없는 소모전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킹제임스 성경의 완전성과 유일성에 대하여 더욱더 믿음을 공고히하게 되었습니다. 킹제임스 성경을 흠잡으려는 자들을 통하여 하나님은 오히려 킹제임스 성경의 우수성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계기가 되게 하시는 줄 믿습니다. 목사님의 아끼지않는 수고가 많은 사람에게 유익을 주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목사님을 귀히 사용하는 도구임을 실감합니다. 목사님! 힘내세요! 하나님이 함께하고 계십니다. 샬롬!
2016-04-07 00:03:25 | 이재신
난외주와 외경으로 킹제임스 성경을 공격하는 사람들로부터 훌륭하게 킹제임스성경을 변호해주신 글을 올려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 글을 읽게 되니, 새삼스럽게 400년 전에 킹제임스 성경을 번역해주신 50여명의 번역자들의 수고와 겸손함에 마음이 숙연해집니다. 최근 킹제임스 성경을 20년간 봐왔다고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킹제임스 성경을 공격하고 있는데, 그 사람들의 행태를 보니 위에 있는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주는 말'에서 언급한 것이 사사실임을 보게 됩니다. 즉 한글 성경 번역을 통해 공동의 선을 위해 존경받아 마땅한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일들을 시기하는 사람들은 수고의 말 대신 냉대하는 태도와 의심의 눈총으로 트집을 잡으려 하고, 지탄받을 위험에까지 빠뜨린다는 것이 400년 전이나 오늘 날이나 한 치의 다름이 없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과거에 불신자들 중에서 어떤 사람들은 성경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성경을 보다가 오히려 하나님을 믿게 되었다는 일화도 있었다고 하는데, 킹제임스 성경이 오류덩이라고 주장하고 싶은 사람들이 킹제임스 무슨 연구소까지 설립해 놓고 킹제임스 성경의 우수성을 알리기는커녕 당장 비방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역사적인 자료에 대한 수집의 부족은 말할 것도 없고 논리적인 신뢰도나 타당성이 결여된 채 설파하고 협박까지 하는 것을 보니, 인간의 시기와 질투 그리고 무모한 용기가 얼마나 자기 자신을 위태롭게 하는지를 절실히 알게 됩니다. 하나님의 완벽한 말씀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알리고 싶은 그들의 무모함과 왜곡된 믿음, 열정적인 영웅심에 안타까움을 표하며, 하나님의 긍휼이 그들에게도 함께하길 간절히 바랄뿐입니다. 아울러 그들의 열정이 올바른 곳에 사용되길 기도합니다.
2016-04-06 23:29:57 | 김상진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천마디 말보다 한번 보는것이 낫다. 캐나다 속담인데요. 천번을 듣는것보다 이 한 페이지에 모든것을 다 보여주는 명확한 자료이군요^^ 사과를 한번도 보지 못한 사람과 어찌 사과에 대해 대화를 나눌 수 있겠습니까? 또한 사과 겉만 본 사람과 먹어서 사과 맛을 아는 사람이 어찌 같은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내 돈 주고 사와서라도 먹이고 난 후 그 맛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어지듯이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을 모르는 자들에게 할수만 있다면 가서 직접 그들의 눈의 비늘을 제거해주고 꿀보다 단 하나님의 말씀을 맛보여주고 싶네요. 예수님을 믿는다면 세상천지에 바르고 바른 하나님 말씀이 여기있네요~~~라는 말이 가장 흥분되고 설레고 기쁜 말일텐데 왜 화가날까요?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주는 글이 이미 이런 상황이 올것을 마치 알았다는 듯 모든것을 대변해주네요. 또한 그들도 이 어려운 상황을 똑같이 겪은듯하여 슬프지만 위로가 됩니다.
2016-04-06 22:58:35 | 김남희
애초에 생각의 출발점과 그 달려가는 방향이 다른 사람들끼리 어떻게 대화가 되겠습니까. 킹제임스 성경의 완전성과 유일성을 믿는 사람과 그렇지 않다고 의지적으로 강하게 믿는 사람과는 사실 대화도 타협도 불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추호의 의구심도 없었으나 킹제임스 성경 난외주나 서문의 논란을 일거에 잠재울 명쾌한 논증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이 귀한 글로 많은 사람의 마음에 평안함이 찾아오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2016-04-06 22:32:28 | 김대용
킹제임스 성경의 서문과 난외주와 관련해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는 좋은 글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역자들의 서문을 강조하는 분들의 그 서문 번역을 보면서 여러 번을 읽어야 될 정도로 잘 이해가 안 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인간의 기록물인 킹제임스 성경 서문을 읽어보며 "이것이 역사 속에서 자연스럽게 빠지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라는 믿음의 판단도 해 보게 되었습니다. 최근의 모든 악한 일들로 인해 오히려 더욱 킹제임스 성경을 사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2016-04-06 22:22:29 | 장용철
안녕하세요?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을 처음 접한 분들이 가끔 제게 묻습니다.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을 샀는데 앞표지부터 뒤표지까지 모두 다 하나님이 보존해 주셨나요?”   아마도 다음과 같은 글에서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을 읽고 뜻이 너무나 명확하기에 이 성경을 깊이 사랑하다 보니 이렇게 순진하게 질문하는 분들이 있어 한영대역 성경을 가지고 답을 드립니다.   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free&write_id=14519   킹제임스 흠정역 한영 대역 성경을 펴면 맨 앞에 ‘성경전서 타이틀’, ‘독자들에게 드리는 글’, ‘제임스 왕께 드리는 글’, ‘성경 개관’, ‘성경전서목차’ 그리고 ‘일러두기’까지 총 16쪽이 나옵니다. 이것들은 모두 사람의 글이므로 당연히 하나님이 보존하지 않습니다.   그 뒤에 창세기를 펴면 맨 위에 창세기 요약 표가 나옵니다. 이것도 역시 모두 사람의 글입니다. ‘제1장’, ‘하나님의 6일 특별 창조(창2:4-9; 욥38:4-11)’ 등의 제목도 다 사람의 것입니다. 1절 에 보면 ‘처음에’에 관주 a가 붙어 있습니다. 이런 관주도 다 사람의 것입니다.   출애굽기 등도 다 이런 식으로 구분하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1397쪽으로 가면 말라기 4장 끝 부분이 나옵니다. 거기에 ‘대언서들의 끝’, ‘The End of The Prophets’가 나오는데 이것들도 다 사람의 것입니다. 그 밑의 그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다음 장에 가면 <구약과 신약 사이의 400년>이라는 2쪽짜리 글이 나옵니다. 이것은 말 그대로 그 400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요약해서 알려주는 유익한 정보이지만 역시 사람의 글입니다.   그 다음에 ‘신약전서 타이틀’이 나오는데 이것도 사람의 것입니다.   마태복음부터 계시록까지는 위에서 설명한 창세기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서신서로 넘어가면 맨 끝에 추신 즉 편지 끝에 덧붙여 말한 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1쪽의 로마서 16장 끝에는 ‘로마 사람들에게 고린도에서 써서 겐그레아에 있 교회의 종 뵈베 편에 보내다’가 나오는데 이것 역시 사람의 것입니다.   481쪽은 계시록의 끝입니다. 여기에 있는 ‘끝’과 ‘Finis’ 그리고 그림도 다 사람의 것입니다.   그 이후에 나오는 부록의 모든 글과 지도 등도 다 사람의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영원토록 보존해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하나님의 말씀들(단어들)은 창세기 1장 1절부터 계시록 22장 21절까지의 1,189장, 31,102절의 단어들뿐입니다. 이 외에는 심지어 장 번호 및 절 번호도 다 사람의 것이므로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 보존 약속에 의해 영원토록 보존되는 부분은 아닙니다.   이것은 영어 킹제임스 성경에 대해서도 동일합니다.   1611년 오리지널 영어 킹제임스 성경을 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 1504쪽으로 구성된 오리지널 킹제임스 성경은 다음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 모든 페이지를 한 장 한 장 볼 수 있도록 편리하게 되어 있으니 유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originalbibles.com/the-original-king-james-bible-1611-pdf/  1. 구약성경 타이틀(1쪽)2. 왕께 드리는 헌사(3쪽)3. 역자들이 독자들에게 드리는 글(11쪽)4. 달력(12쪽)5. 39년의 연감(1쪽)6. 이스터를 찾는 방법(1쪽)7. 아침과 저녁 기도에서 읽을 시편과 교훈들(4쪽)8. 구약과 신약의 책 이름들(1쪽)9. 성경 인물들의 족보(약40쪽): 1-9까지가 총 76쪽임 10. 구약 성경(77쪽부터 1004쪽까지 총 928쪽)11. 외경(1005쪽부터 1216쪽까지 총 212쪽)12. 신약성경(1217쪽부터 1504쪽까지 총288쪽)13. 한 쪽에 5개 정도씩 들어 있는 난외주(밑의 그림 참조)14. 관주(9,000여 개, 밑의 그림 참조) 15. 장 요약(밑의 그림 참조)   1-15번까지의 목록에서 하나님께서 보존해 주시는 ‘말씀들’(단어들)은 오직 10번의 구약성경과 12번의 신약성경뿐입니다(파란색). 이외의 모든 것은 다 사람의 것으로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는 있으나 신뢰할 필요도 없고 영원히 보존되지도 않는 것들입니다.         또한 15번 즉 성경의 각 장마다 맨 위에 있는 몇 줄의 장 요약(설명)도 마찬가지로 사람의 것입니다.         11번의 외경은 우리말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에 있는 <구약과 신약 사이의 400년>이라는 글과 마찬가지로 100% 사람의 글이므로 역사적 상황을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쓸 수 있다는 점 외에는 다른 가치가 없는 글입니다. 여기에 다른 의미를 두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킹제임스 성경은 외경이 들어 있어서 건전하지 못한 성경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 역시 괜한 트집을 잡으려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은 분명하게 오리지널 성경에서 총 212쪽을 차지하는 외경의 모든 페이지에 ‘외경’(Apocrypha)라고 아주 크게 표시해 두었습니다. 즉 그들은 이것이 지도와 같은 참조 자료(사람의 글)이지 성경이 아님을 확실하게 하였던 것입니다.   “킹제임스 성경의 번역자들도 거룩한 성경 기록을 존중하듯이 외경을 존중하지 않았다. 번역자들이 상대적으로 외경을 경시한 것은 제네바 성경에서처럼 명백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이것은 1611년도에 발행된 초판에서 번역자들이 보여 준 방법에서 잘 드러난다. 그들은 천주교회의 성경들처럼 외경을 구약성경 안에 넣지 않고 대신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사이에 넣었고 표제지에 전혀 외경을 언급하지 않았다. 표제지는 간단하게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포함하는 거룩한 성경’이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목차에서도 그것들은 단지 ‘외경이라 불리는 책들’이라 기록되었고 그것들을 아예 구약과 신약성경에서 떼어 놓았다.   게다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은 시작하는 첫 페이지에 정교한 조각 그림을 가지고 있지만 외경은 그렇지 않다. 정경에는 각 페이지의 내용을 요약하는 부분이 윗부분에 난외 표제로 있었지만 - 예를 들어 창세기, ‘인간의 창조’, ‘첫째 안식일’, ‘결혼 관습’ 등 - 외경에는 처음 페이지부터 끝까지 단지 ‘외경’이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더 나아가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은 자기들이 외경에서 했던 방식으로 정경의 성경책들을 헐뜯지 않았다. 예를 들어 외경 에스드라 전서(1 Esdras) 5장 5절을 보면 성경의 어느 곳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말 즉 ‘이곳은 부패되었다’는 것과 같은 말이 난외 공간에 기록되어 있다. 에스더기의 경우 천주교회의 것은 지금 구약성경에 있는 9장 말고 몇 장이 더 첨가되어 있다. 킹제임스 성경의 외경 부분에서 이 장들의 제목에는 ‘에스더기의 부가적인 이 장들은 히브리어나 갈대아어로 발견되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킹제임스 성경의 영광, 토마스 홀랜드 지음, 73-74쪽)   <킹제임스 성경의 영광 무료 PDF>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6_02&write_id=14&page=5   13번 난외주도 마찬가지입니다(첫번째 그림 참조). 하나님은 한 번도 난외주를 인정하신 적이 없으며 그 안의 단어들을 보존해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적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보존해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것은 난외주가 아니라 지난 400년 동안 온 세상 사람들이 손에 들고 읽은 킹제임스 성경 본문입니다. 그래서 난외주는 1611년 성경이 출간된 이후 곧바로 사라져서 아무도 여기에 가치를 두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정확하게 판단해서 알아야 할 것은 난외주란 소수의 다른 견해가 있었다는 정황을 정직하게 알리는 것이 목적일 뿐 난외주 자체가 본문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에 대해 20세기 최고의 본문 비평 학자로 알려진 에드워드 F. 힐즈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번역자들이 킹제임스 성경에 첨가한 난외주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의 수고를 섭리[돌보심]로 인도하셨음을 보여 준다. 스크리브너(1884)는 외경이 포함된 1611년 판 킹제임스 성경에 8,422개의 난외주가 있었다고 말한다. 스크리브너는 구약성경의 난외주들 가운데 4,111개는 히브리어나 아람어 원문에 좀 더 문자적인 의미를 제공해 주며 2,156개는 달리 번역할 수 있는 예들이고 67개는 이문들이라고 말한다. 또한 신약성경의 난외주들 가운데 112개는 그리스어의 문자적 번역을 제공해 주며 582개는 달리 번역할 수 있는 예들이고 37개는 이문들이다. 이러한 난외주들은 번역자들이 그들의 사고 과정 속에서, 모든 가능성을 가늠하면서 자기들이 보기에 가장 최상의 것으로 보이는 번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하나님의] 섭리로 인도를 받았음을 보여 준다. <킹제임스 성경 변호 213쪽> <킹제임스 성경 변호 무료 PDF>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6_02&write_id=13&page=5 이분은 곧 번역자들은 자신들의 부족함과 연약함으로 인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다 살펴보았음을 난외주에 표기하였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겸손함을 보시고 섭리 즉 돌보심으로 그들이 본문의 단어들 - 난외주가 아니라 - 을 선택하는 것을 인도해 주셨다고 말합니다. 이들의 겸손함에 대해 힐즈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난외주들이 보여 주듯이,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은 자신들의 작품인 그 성경을 완전한 것 혹은 영감을 받은 것으로 간주하지 않았고 다만 그 성경이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들을 신뢰할 만하게 재현한 것으로 여겼으며 그리스도인 독자들에게도 그것을 그렇게 추천했다. (214쪽) 그리고 힐즈는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주는 글>의 마지막을 소개합니다. "우리가 이미 서문의 분량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다른 많은 것들을 온유한 독자인 당신에게 경고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우리가 구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더 확실히 세울 수 있는 하나님에게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의 영에게 당신을 맡기는 일만 남았다. 그분은 우리의 눈에서 비늘을, 우리의 마음에서 베일을 벗기신다. 또 우리가 자신의 말씀을 이해하도록 우리의 지혜를 열어 주시고 우리의 마음을 넓히시며 참으로 우리의 성정을 고치신다. 그 결과 우리는 금과 은보다 더 그것[말씀]을 사랑할 수 있으며 참으로 끝까지 그것을 사랑할 수 있다.… 살아 계신 하나님의 손 안으로 떨어지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실 때에 귀를 기울이는 것, 그분께서 우리 앞에 자신의 말씀을 놓으실 때에 그것을 읽는 것, 그분께서 자신의 손을 뻗으시고 부르실 때에 ‘오 하나님이여, 내가 여기 있나이다. 우리는 당신의 뜻을 행하기 위해 여기 있습니다.’라고 대답하는 것, [바로] 그것은 복된 일이며 우리를 결국 영존하는 복으로 인도할 것이다. 우리가 주님을 알고 그분을 섬기도록 주님께서 돌보심과 내적 의식으로 우리 안에서 일하실 것을 구한다. 이로써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 우리는 그분께 인정을 받을 것이다. 성령님과 더불어 그분께 모든 찬양과 감사가 있기를 원한다. 아멘." <번역자들이 독자에게 주는 글> 만약 난외주가 하나님의 말씀이면 하나님께서 그것들을 본문으로 넣으셨을 것입니다. 난외주는 역자들이 자신들도 실수할 수 있는 사람임을 인정하면서 소수 의견을 존중하기 위해 집어넣은 사람의 글입니다. 하나님은 이런 겸손한 사람들을 들어서 완전한 성경을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이것은 마치 모세나 다윗, 솔로몬 같은 불완전한 사람을 써서 완전한 성경을 기록하게 하신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그러므로 난외주를 성경의 본문 수준으로 승격시켜야 한다거나 난외주의 번역이 맞는다는 주장은 억지이며 역사가 인정하지 않는 무지의 소산입니다. 지난 400년 동안 모든 신학과 교회 교리는 다 킹제임스 성경 본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난외주와 외경 등은 고려할 가치가 없는 ‘인간의 산물’입니다.   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64   어떤 사람들은 또한 3번 즉 ‘번역자들이 독자들에게 주는 글’에 무궁무진한 보화가 숨겨져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저를 비롯해서 킹제임스 성경 유일주의를 고수하는 자들이 일부러 진실을 숨기고 있다고 대담하게 말합니다.   그러나 3번 역시 역자들이 독자들에게 알리고 싶은 것들을 요약한 것으로 100% 사람의 글입니다. 3번은 킹제임스 성경의 본문과는 달리 일반 대중이 알 수 없는, 1611년경의 최고 지성인들만 알 수 있는 현학적 형태로 기술되었습니다. 따라서 3번은 현시대의 영문학을 전공한 사람들도 읽기가 심히 난해한 글입니다.   보통 사람들에게 성경을 주시려는 하나님께서 과연 그토록 진귀한 보물을 소수의 학자들만 볼 수 있도록 감추어 놓았을까요? 성경의 하나님께서 이렇게 일하시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불필요한 것으로 여기고 일찌감치 사문(死文)으로 만들어 폐기처분하신 것으로 본문을 뒤집으려고 하는 것은 언감생심(焉敢生心)입니다. 심지어 킹제임스 성경 반대 진영의 학자들도 이런 일은 안 합니다. 우스갯거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글을 통해 우리는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 50여 명의 학식과 깊이를 가늠해 볼 수 있고 이런 놀라운 학식과 지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킹제임스 성경을 가장 간결하면서도 우아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번역해 준 것에 대해 감사해야 합니다.         참고로 우리가 3번 즉 ‘번역자들이 독자들에게 주는 글’과 같이 진귀한 보배를 나쁜 의도를 가지고 몰래 숨기고 있다고 말하는 분들이 더러 있나 봅니다. 그런데 3번은 이미 오래 전에 – 아마도 10여 년 전에 – 윤여성이라는 분이 영어(왼쪽)와 한글(오른쪽) 대역으로 80쪽 분량의 소책자로 완역했기에 킹제임스 성경 진영에서 성경에 관심 있는 분들은 대개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은 이미 숨기려야 숨길 수도 없는 것입니다. 급한 마음으로 무엇을 지적하고 비판하기 전에 먼저 사실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으로서 기본적인 양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추후에 정리해서 글을 올릴 것입니다.   샬롬   패스터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6-04-19 14:54:55 KJB 문서에서 복사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6-04-20 11:20:06 KJB 사본학_old에서 이동 됨]
2016-04-06 19:28:53 | 관리자
First Prev Back 1 2 3 4 5 6 Forward Next L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