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405개
  대부분의 경우 heart는 마음으로 번역되었지만 종종 이 단어는 마음과 심장 둘 다를 의미한다. 빵은 심장(혹은 마음)을 강하게 한다(시104:15). 지옥은 땅의 심장부에 즉 한가운데에 있다(마12:40). 마음, 지옥 참조.    
2009-07-19 00:26:50 | 관리자
  원반 두 개를 서로 맞부딪쳐서 리듬을 잡는 금속타악기. 이것은 오케스트라나 취주악에서 주요 타악기 중 하나로 꼽힌다. 이것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이집트나 고대 인도의 유적에서도 발굴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가장자리를 맞부딪치는 소형인 것, 깊은 것, 얕고 대형인 것 등 종류가 많다(대상13:8; 16:5; 시150:5). 음악 참조.        
2009-07-19 00:26:25 | 관리자
  악령을 추구하는 것. 신약성경은 마지막 때에 심령술이 부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심령술은 한 마디로 마귀 숭배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의 부활은 말세의 표적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하나님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마지막 때가 다가오고 있음을 경고해 주신다. 마귀 참조. 딤전4:1-3에 있듯이 심령술에 빠진 자들은 혼인하는 것을 금하며 이혼과 자유분방한 성생활을 부추기고 또 음식을 먹지 말게 하며 가려 먹게 하되 특히 육식을 하지 말고 채식만 하라고 한다. 채식을 하면 육식을 할 때보다 영적인 힘 혹은 에너지에 더 민감하게 되며 그래서 힌두교도들이나 뉴에이지 추종자들은 채식만을 강조한다. 사도 바울의 이 같은 경고를 준 뒤에 7절에서 “하나님의 성품에 이르도록 스스로 훈련하라.”고 명한다. 뉴에이지 시대에 마귀들의 집요한 계략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말씀과 기도와 바른 교회 출석을 통한 영 분별이 있어야 한다.    
2009-07-19 00:25:59 | 관리자
  오벨 언덕 밑에 있던 연못(요9:7, 11). 이곳은 구약의 실로아와 같다(느3:15; 사8:6). 이곳의 물은 달고 깨끗하며 독특한 맛을 지니고 있었고 고대의 성전 밑에 있던 저수지와 시온 산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물은 부드럽게 흘렀으며(사8:6) 사람들은 이곳에서 옷을 빨고(요9:1-11) 짐승을 씻기도 하였다. 실로암의 망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단지 고대의 성벽이 이 연못을 감싼 것으로 보인다. 우리 주님은 실로암 망대 사건을 들면서 이 땅에서의 재난이 결코 어떤 죄 때문에 생기지는 않음을 보여 주셨다(눅13:4-5).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 땅에서 사람이 겪는 가장 큰 고통과 아픔이 예수 믿지 않고 죽은 선한 사람들이 죄로 인해 받을 고통과 아픔에 비해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애3:39).    
2009-07-19 00:24:09 | 관리자
  I. 창49:10에서 이 말은 메시아를 가리킨다. 야곱은 실로에 대하여 “실로가 오실 때까지 홀이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법을 주는 자가 그의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리라.”고 대언하였는데 이것은 그리스도의 때까지 유다의 정부가 끊이지 않을 것을 보여 준다. II. 에브라임에게 속한 유명한 도시. 이곳은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38킬로미터, 세겜에서 남쪽으로 16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 여기서 여호수아는 백성을 모아 가나안 땅을 두 번째 분배하였다. 그들은 가나안 땅에 정착해서 여기에 주님의 성막을 세웠고(수18:1; 19:51) 언약궤와 성막은 주전 1116년경까지 즉 엘리 제사장 시절에 블레셋 사람들이 언약궤를 빼앗을 때까지 약 330년 동안 여기 머물렀다. 언약궤가 거기에 있었으므로 해마다 실로에서 주님의 명절을 지켰으며 이런 명절에 베냐민 지파의 남은 자들이 실로의 딸들을 납치해서 아내로 삼았다(삿21:19-23). 사무엘은 실로에서 대언하기 시작했고(삼상4:1) 아히야 대언자가 여기 거하였다(왕상14:2).    
2009-07-19 00:23:09 | 관리자
  예루살렘의 제자들 중에서 주요 인물(행15:22; 고후1:19). 어떤 이들은 그가 70명의 제자들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한다. 유대인들의 할례 의식을 지키는 문제로 안디옥에서 논쟁이 일어나자 바울과 바나바는 선택되어 예루살렘으로 가서 사도들의 의견을 듣게 되었고 그들은 오는 길에 유다와 실라를 데리고 왔다. 뒤에 바울과 바나바가 갈라진 뒤에 실라는 바울에게 붙었다(행15:37-41). 그는 바울과 함께 시리아와 길리기아의 교회들을 방문하고 루가오니아, 브루기아, 갈라디아, 마케도니아의 마을들을 방문하였다. 그는 그와 함께 빌립보에서 옥에 갇히고 잠시 떨어져 있다가 다시 고린도에서 그를 만나 고후11:9; 빌4:10, 15 등에서 언급되는 기부금을 가져왔다. 그는 또 바울과 함께 예루살렘에 있었다(행16:19, 25; 17:4, 10, 14; 18:5; 살전1:1; 살후1:1). 그는 항상 실실한 형제로 나타났으며 주님의 교회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고후1:19; 벧전5:12). 그는 다른 곳에서 실루아노로 나온다.    
2009-07-19 00:21:58 | 관리자
  성경의 많은 구절에서 이 말은 ‘믿음이 충만한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갈3:9에서 사도 바울은 아브라함이 다른 모든 사람보다 믿음에서 견고하였으므로 성도들이 그와 함께 복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이런 특성은 참된 그리스도인들의 믿음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성격과 믿음직함 등을 표현하는 데도 사용되었다(행16:15; 고전4:17; 엡6:21; 골4:9; 벧전5:12). ‘신실한 말’은 거짓으로 드러날 수 없는 확실한 말을 뜻한다(딤전1:15; 딤후2:11).    
2009-07-19 00:21:27 | 관리자
  사람이 하나님이나 그분의 성격 등에 대해 말하면서 그분에게 해가 되게 하는 것. 또한 자기에게 속하지 않은 하나님의 성품, 특성 등을 자기 것으로 취하는 것도 신성모독이다. 모세의 율법은 신성모독 죄에 대해 사형을 선고했다(레24:12-16). 사람의 경우에도 악한 말로 중상을 당할 때 모독을 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왕상21:10; 행6:11). 성령 모독 죄 참조.    
2009-07-19 00:21:03 | 관리자
  이것은 엄밀하게 말해 비밀 즉 숨겨진 것을 뜻하며 특별히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계시가 없으면 사람이 알 수 없는 진리를 뜻한다. 우리 주님께서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제자들에게 하늘의 왕국의 신비들을 드러내셨으므로 그들이 행복한 자들이라고 말씀하셨다(마11:25; 16:17; 눅10:21-24). 사도 바울은 엡3:1-9에서 이 단어를 설명하며 복음의 신비,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신비, 이전 시대에는 알려지지 않은 그리스도의 신비, 성육신의 신비, 부활의 신비 등에 대해 말한다(롬11:25; 고전2:7-10; 4:1; 13:2; 15:51; 딤전3:9, 16). 이것들이 신비라 불리는 것은 사람의 생각과 이해를 넘는 것이 그 안에 포함되어 있거나 하나님의 아들과 성령님께서 드러내지 않으면 사람이 알 수 없는 일들 즉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계시되지 않은 일들이 그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차원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사도들에게 “거룩한 것을 개들에게 주지 말며 너희의 진주를 돼지들에게 던지지 말라.”고 말씀하셨다(마7:6). 한편 신비는 복음을 집행하는 일에서 즉 그것을 점진적으로 끝까지 드러내는 일에서 보여 주신 하나님의 은밀한 계획을 뜻하기도 한다(계10:7; 11:15). 또한 신비는 풍유를 뜻하는데 이는 어떤 것의 일부분을 드러내어 어느 정도 사실을 알려 주면서도 여전히 다른 부분은 가려서 그것을 전체적으로 알려고 하는 사람들이 완전히 알지 못하게 하는 정보 교환 형식을 뜻한다. 그러므로 계1:20에 나오는 일곱 별의 신비는 일곱 개의 불타는 등잔 상징을 이용하여 아시아에 있던 일곱 교회를 나타내는 풍유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큰 음녀 바빌론의 신비는 영적 바빌론 즉 우상숭배와 음행 등으로 가득한 바빌론을 풍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내가 그 여인의 신비를 네게 말하여 주리라.”(계17:5, 7)는 말은 이 인물의 풍유를 드러내어 보여 준다는 것을 뜻한다.    
2009-07-19 00:20:37 | 관리자
  대부분의 동방 사람들이 흔히 신던 신발은 가죽이나 나무로 된 바닥과 끈으로 구성되었다(막6:9). 신발 바닥에는 가죽이나 옷감 등을 입히기도 하였으며 신발 끈과 신 자체는 값이 많이 나가지 않았고(창14:23; 암2:6; 8:6) 여인들의 신발에는 장식이 달려 있었다(아7:1; 겔16:10). 동방에서는 집안에서 신을 신지 않았으며 그래서 집이나 성전 혹은 거룩한 곳에서는 신을 벗었다. 따라서 “신을 벗으라.”는 표현은 그곳이 거룩한 장소임을 보여 준다(출3:5; 신25:9; 수5:15).      신발 끈을 매는 것은 여행 준비를 뜻하며(출12:11; 행12:8) 대개 종들이 끈을 매고 또 엎드려서 풀고 필요할 때에 신발을 나르고 하였다. 새로 구입한 노예가 처음 하는 일은 주인의 신발 끈을 풀러 주고 원하는 곳에 신발을 가져가는 것이었다. 그래서 침례자 요한은 자기가 그리스도의 신발 끈을 풀거나 신발을 나를 자격이 없다고 고백하였다(마3:11; 막1:7). 물론 가난한 사람들은 맨발로 다녔다. 죽은 형의 아내를 취하는 일을 거부하는 사람의 신발 끈을 풀고 그의 얼굴에 침을 뱉는 것은 유대인들의 법에 명시된 규칙이었다(신25:7-10; 룻4:7-11).    
2009-07-19 00:19:36 | 관리자
  기독교의 믿음은 믿음의 대상이신 예수님을 굳게 믿고 신뢰하는 것이다. 마귀들도 하나님이 있다고 믿지만(약2:19) 그분을 신뢰하지 않으며 성경은 이것을 가리켜 ‘죽은 믿음’이라고 부른다. 골리앗을 죽인 다윗은 하나님을 신뢰한 본이 된다. 그는 작고 힘이 많지 않았으나 만군의 주 하나님을 신뢰하고 구원이 오직 하나님에게서만 나오는 줄을 확신하며 하나님의 힘을 의지하여 그를 죽일 수 있었다(삼상17:45-47). 성도들의 믿음의 삶은 순종과 신뢰의 삶이라 할 수 있다. 하나님은 신뢰의 유일한 대상이시며(시65:5) 성도들은 그분을 두려워함으로 그분을 신뢰할 수 있다(잠14:26). 우리는 온 마음을 다해 어려서부터 하나님의 영존하는 힘과(사26:4) 그분의 선하심과(나1:7) 인자하심과(시36:7) 풍성한 은혜와(딤전6:17) 보살핌과(벧전5:7) 건져 주심을(시9:10; 고후1:10) 신뢰하여야 한다(잠3:5; 시71:5). 그러면 그분께서 성도들의 길을 인도하실 것이며 이것이 믿음의 삶이다. 순종, 믿음 참조.    
2009-07-19 00:19:06 | 관리자
  신(god) 혹은 신들(gods)에 해당하는 히브리말 엘로힘(Elohim)은 성경에서 여러 차례 천사나 치리자 같은 창조된 존재의 능력과 직무와 뛰어남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고(출22:20, 28; 시86:8; 97:7-9; 요10:34-35) 이교도들의 거짓 신들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되었다. 아담과 이브를 유혹할 때에 뱀은 그들이 금단의 열매를 먹으면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신들과 같이 될 것이라고 말하여 이미 그때에 이런 거짓 신들이 존재함을 알려 주었다(창3:5). 이런 거짓 신들은 수도 없이 많으며 헛된 것, 거짓 등을 나타내는 여러 용어로 표현되었다. 이교도 세상에서는 해와 달과 별들이 신으로서 경배의 대상이 되었고 짐승과 죽은 사람, 성인 혹은 두려움이나 욕망이나 저주 등과 관련된 대상들이 경배의 우상이 되었다. 천주교의 마리아나 성인들 역시 하나님을 대신하여 경배를 받고 있다.    
2009-07-19 00:18:09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