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2612개
  모세는 호렙 산에서 주님이 나타나신 불타는 떨기나무를 보았다(출3:2; 신33:16; 막12:26; 행7:30, 35). 상징적으로 떨기나무는 다른 고상한 나무들과 비교하여 종종 세상 사람들이 경멸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런 차원에서 불타는 떨기나무는 이집트의 쇠 용광로 즉 고난의 불을 참고 살아남은 이스라엘을 가리킨다(신4:20). 이스라엘은 불 같은 책망을 받았으나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    
2009-07-16 02:13:36 | 관리자
  성경에서 이 단어는 시간이라는 뜻 외에도 해를 가리키기도 한다(단4:16). 특히 예언의 한 해는 360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7:25; 12:7의 ‘한 때와 두 때와 반 때’는 1260일을 가리킨다. 물론 이것은 계11:2-3; 12:6, 14; 13:5 등에서 1260일이요 마흔두 달임이 드러난다.    
2009-07-16 02:12:07 | 관리자
  히브리말과 그리스말에서 이 단어는 지구 전체를 가리키거나 지구의 육지 부분을 가리키므로 앞뒤 문맥을 살펴봄으로써 어떤 뜻으로 이 말이 사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27:45는 “온 지구에 혹은 온 땅(그 지역의 땅)에 어둠이 있었다.”로 번역될 수 있지만 문맥상 후자가 맞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온 땅’(all the earth)이라는 표현은 지구 전체를 가리킬 때도 있고 땅의 큰 부분을 가리킬 때도 있다. 한편 윤리적인 면에서 땅에 속한 것은 하늘에 속한 것, 영적인 것, 거룩한 것과 반대가 된다(요3:31; 고전15:47; 골3:2; 약3:15). ‘땅의 낮은 부분’은 대개 믿지 않고 죽은 자들이 거하는 지옥 혹은 지하 세계를 가리킨다(시63:9; 사44:23; 엡4:9). 지옥 참조.    
2009-07-16 02:11:40 | 관리자
  성경에서 딸은 여러 용례로 쓰였다. 아들과 마찬가지로 딸은 친딸 혹은 양녀의 의미 외에 이복누이, 조카, 혹은 여자 후손을 가리키기도 한다(창20:12; 24:48; 신23:17). 좀 더 보편적으로 이 말은 ‘모압의 딸들’ 혹은 ‘아론의 딸들’ 같은 표현에서 보듯이 가족의 여성 후손 혹은 어떤 사회의 여성 부분을 가리킨다(민25:1; 삼하1:20; 눅1:5). 작은 도시는 큰 도시의 딸로 불리며 그래서 두로는 시돈의 딸이라 불린다(사23:12). 성경에서 도시들은 종종 여인들로 표현되며 그래서 ‘시온의 딸들’, ‘예루살렘의 딸들’ 같은 표현이 등장한다(사37:22). 예수님도 십자가 처형을 당하기 위해 끌려가면서 예루살렘 거주민들을 향해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해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들로 인해 울라.”고 말씀하셨다(눅23:28). 유대 땅에서 젊은 여인들은 양을 지키고 물을 나르고 가사를 돕고 빵을 굽기도 하였다.    
2009-07-16 02:11:13 | 관리자
  유프라테스 강의 서쪽 지역에 있던 중요한 도시. 솔로몬의 통치 때에 이곳은 그의 북동쪽 경계였다(왕상4:24). 이곳의 나루는 유프라테스의 남쪽에서 맨 마지막 것이므로 솔로몬이 동방과 교역을 하기 위해 이것을 소유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였다.    
2009-07-16 02:10:46 | 관리자
  가나안 족속들의 고대 도시(창38:12-14). 이곳은 가나안 정복 이후에 유다와 단의 경계에 있었고(수15:10; 19:43) 오랫동안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 있었다. 삼손의 아내는 딤낫 사람이었으며(삿14:1-5; 대하28:18) 이곳은 딤낫이라고도 불린다.    
2009-07-16 02:09:30 | 관리자
  에서의 아들 엘리바스의 둘째 아내. 이 이름은 이두매아 족속들의 기록에서 반복되어 나온다(창36:12, 22, 40; 대상1:36, 51).    
2009-07-16 02:09:02 | 관리자
  초대 교회의 영향력 있는 회원이나 사역자. 그는 시기심에서 나온 야망과 선한 그리스도인들을 격렬히 거부한 것으로 인해 사도 요한에게 혹평을 받았다(요삼9-10).    
2009-07-16 02:08:32 | 관리자
  이스라엘 왕 엘라가 죽은 이후의 3년 동안 이스라엘 왕좌를 차지하기 위해 오므리와 다투던 사람(왕상16:18-23). 그는 싸움에서 져서 죽었고 오므리가 왕권을 차지하였다.    
2009-07-16 02:07:14 | 관리자
  갓 자손의 마을(민32:34). 이곳은 디몬(사15:9), 디본갓(민33:45-46) 등으로 불렸으며 나중에는 르우벤 지파에게 소속되었다(수13:17). 이곳은 아르논 강 북쪽의 평야에 있었으며 이스라엘 자손은 이 강을 넘어 여기서 첫 번째로 진을 쳤고 후에 이곳은 모압 사람들의 손에 넘어가기도 했다(사15:2; 렘48:22).    
2009-07-16 02:06:45 | 관리자
  티베리우스 황제를 기념하기 위해 헤롯 안디바가 세운 갈릴리의 도시. 예전에 같은 자리에는 긴네롯이 있었다. 이곳은 게네사렛 호수의 서쪽 연안에 있었고 그래서 이 호수는 종종 디베랴 호수 혹은 바다라 불린다(요6:1, 23; 21:1). 예루살렘의 멸망 이후에 디베랴는 유대인들의 학교들로 유명하였다.    
2009-07-16 02:06:20 | 관리자
  바울의 제자. 그는 루가오니아의 더베나 루스드라 출신으로(행16:1; 14:6) 그의 아버지는 그리스 사람이며 어머니는 유대인이었다(딤후1:5; 3:15). 그는 자기 할머니와 어머니의 기도와 교육 그리고 루스드라에서의 사도 바울의 선포를 통해 회심하였고 주의 군사로 사역을 시작하였다. 그는 사도 바울의 고난을 목격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그를 아버지처럼 섬겼다(딤전1:2; 딤후3:10-11). 사도 바울이 몇 년 뒤 루스드라에 왔을 때 그곳의 형제들은 그를 높이 평가했으며 이에 사도는 그를 데리고 가기로 하고 유대인들로 인하여 할례를 주었다(행16:3). 디모데는 복음 사역에 전념하면서 바울의 선교 여행에서 그를 섬기며 중요한 일을 감당했다. 바울은 그를 아들로 형제로 불렀고 또 동역자요 하나님의 사람이라고 했으며 그보다 자기에게 더 가까이 연합된 사람이 없다고 말하였다(롬16:21; 고전4:17; 골1:1; 딤전1:2, 18). 그는 바울과 함께 여행을 하면서 로마에서는 함께 옥살이도 하였다(히13:23). 후에 바울은 그를 에베소에 남겨 두어 자기가 시작한 일을 완수하게 하였다(딤전1:3; 3:14). 그는 바울을 확신하고 사랑하였으며 그래서 바울로부터 많은 칭찬을 들었다(행16:1; 17:14-15; 18:5; 19:22; 20:4; 딤후3:10; 4:5).    
2009-07-16 02:05:53 | 관리자
  이디오피아의 왕. 그는 아시리아 왕 산헤립의 공격을 받은 히스기야를 도와주려 하였으나(왕하19:9) 아시리아의 군대는 그가 올라오기 전에 물러갔다(사37:9). 파라오 참조.    
2009-07-16 02:05:21 | 관리자
  가나안 족속들의 도시(아6:4; 수12:24). 후에 이곳은 므낫세나 에브라임의 소유가 되었고 여로보암부터 오므리에 이르기까지 북쪽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그러나 오므리 이후에는 사마리아가 수도가 되었다(왕상15:21, 33; 16:6, 23; 왕하15:14, 16).    
2009-07-16 02:04:23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