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킹제임스 성경을 믿는 사람들은 이단 종파에 속한 자들이 아닙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22>
대답: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은 성경대로 믿고 성경대로 행하는 사람들입니다.
킹제임스 성경 신자들을 이단 종파에 속한 자들로 누명을 씌우는 것은 그들이 성경을 숭배한다고 하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성경 비평 학자들의 좌절감과 악의에서 파생된 동일한 결과입니다. 슬프게도 그들이 사실을 가지고 자신들의 정당성을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자연히 이들의 비난은 인신공격으로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모든 이단 종파가 두 가지의 명백하고도 중요한 특성을 지니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단 종파를 정의하기란 그리 쉽지 않습니다. 첫 번째로 이단 종파의 특성은 모든 신도들에게 결정 사항을 지시하는 중앙 본부가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킹제임스 성경 신자들은 매우 독립적이며 심지어는 자기들끼리도 성경 외에 여타의 교리들에 대해 의견의 일치를 보이지 못합니다. 그들의 중앙 권위는 오로지 성경뿐이며 결코 어떤 특정한 단과대학이나 종합대학이 아닙니다.
두 번째로 대부분의 이단 종파는 자기들의 신도들이 반대편 신앙을 연구하여 그것으로 개종할까 봐 두려워합니다. 그래서 자기들의 교리와 일치하지 않는 재료나 책들을 금지하는 엄격한 규칙을 만듭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모든 진실과 사실들이 흠정역 성경의 편이기에 킹제임스 성경 신자들은 자신들에 대한 비평 연구를 전혀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사실상 이 책도 성경 비평 학자들의 모든 비난에 정정당당히 맞서기 위해 씌었습니다.
자, 이제 우리가 정말 주목해야 할 점은 오늘날 여러 신학대학과 종합대학들이 하나님의 완전한 킹제임스 성경을 지지하는 모든 책을 제거하기 위해 종합/연합 정책을 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사실 이 책도 언젠가는 그들의 목록에 오르겠지요. 이러한 사실은 실제로 누가 ‘이단 종파’이고 누가 아닌가를 보여 주는 깜짝 놀랄 만한 증거입니다.
(*) 이런 일은 미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국내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개신교 신학교에서는 신학생들이 킹제임스 성경을 접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교육을 시키고 있으며 기타 킹제임스 성경 관련 책들을 금서 목록에 올려놓고 있습니다. 바른 것을 가르쳐야 할 신학교들이 자기들의 선조인 로마 카톨릭 교회의 방법을 동원하여 성경을 막는 것을 볼 때 참으로 그들이 얼마나 킹제임스 성경을 무서워하는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다만 킹제임스 성경을 주장하는 사람들 가운데 무식하고 교양 없는 자들이 흙탕물을 튀기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2009-05-11 12:54:54 | 관리자
질문: 킹제임스 성경을 완전한 성경으로 믿는 것은 ‘이단’이 아닙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23>대답: 아닙니다. 그들은 성경에 있는 하나님의 약속에 따라 완전한 성경이 있음을 믿고 그대로 행하는 것뿐입니다.성경의 무오성을 믿는 킹제임스 성경신자들이 ‘성경의 무오성을 믿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되는 것은 재미있긴 하지만 소름끼치는 일입니다. 웹스터 사전에 의하면 ‘이단’(Heresy)이란 ‘진리 혹은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신앙에 반하는 교리나 견해’를 말합니다.
성경이 하나님의 완전한 말씀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사실입니다. 저는 종종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저는 킹제임스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무오한 말씀이라고 믿지 않습니다. 저는 단지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무오한 말씀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그 성경책을 보여 달라고 요구한다면 저는 킹제임스 성경을 보여줄 것입니다.
킹제임스 성경의 비평 학자들도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무오한 말씀임을 믿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들에게 가서 그들이 ‘믿는’ 절대무오한 성경책을 보여 달라고 요청하면 그들은 “절대무오한 성경은 지구상에 없습니다.”라고 말할 것입니다.
실로 우리 킹제임스 성경 신자들은 그들이 믿는다고 주장하는 것을 그대로 믿는 것뿐입니다. 그리고 그것으로 인해 우리는 그들로부터 ‘이단’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사실 ‘이단’이라는 딱지는 험담가들의 느낌을 정직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젊은 신자들에게 겁을 주어 그들이 절대무오한 성경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입니다. 성경 비평 학자들의 의도는 열심 있는 크리스천들에게 ‘이단’의 딱지가 붙으리라는 두려움을 줌으로써 성경 비평 학자들이 믿는다고 주장하는 것을 실제로 믿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입니다.
“성경은 절대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사실이 근본주의자들 가운데 널리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경 비평 학자들는 여러분이 제시하는 모든 성경에서 오류를 찾아낼 수 있다고 말하고 있으니 과연 누가 정말로 이단일까요?
2009-05-11 12:52:29 | 관리자
질문: “전통 공인 본문”의 수호자로 알려진 딘 버건은 어떤 인물입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24>대답: 그는 19세기말 영국에서 성경 문제가 발생했을 때 반대편에 속한 학자들을 꼼짝 못하게 만든 탁월한 성경학자였습니다.버건(John William Burgon, 주후 1813-1888)은 학문에 있어서 앤드류스(Lancelot Andrews, 주후 1555-1626)와 윌슨(Robert Dick Wilson, 주후 1856-1930) 같은 탁월한 사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굉장한 지식인이었습니다. 그는 영국 치체스터 대학의 학장(Dean)으로 있었는데 그것으로 인해 그 이후로 보통 ‘딘 버건’(Dean Burgon)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버건 박사는 알렉산드리아 본문을 채택하여 「영어개역성경」(Revised Version)을 펴낸 웨스트코트(Westcott)와 호르트(Hort)와 동시대인이었습니다. 그는 ‘공인 본문’(Textus Receptus)의 지지자였고 그것을 반대하는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무기력한 논의를 과감하게 응징한 사람이었습니다.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와는 달리 그는 이론이라는 모래 위보다는 사실이라는 탄탄한 기초 위에서 얻은 모든 결론을 믿었습니다. 그는 진리를 탐구하는 데는 돌멩이 하나도 남기지 않았으며 진리를 옹호하는 데 있어서는 잠시도 쉬지 않았습니다.
그는 신중한 학자였으며 재치 있는 위트와 신랄한 혀로 웨스트코트와 호르트 그리고 다른 모든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을 전쟁터에서 몰아냈습니다. 알렉산드리아 본문에 대한 반대 논의, 마가복음의 마지막 12절(16:9-20), 기타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이 문제시하는 부분들에 대한 그의 반박 논문들은 현대 학자들이 그와 동시대에 살았다 하더라도 결코 반박할 수 없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힐스(Hills), 풀러(Fuller) 그리고 럭크맨(Ruckman) 등과 같이 킹제임스 성경 옹호자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흠정역 성경을 대변하는 무적의 용사로 알려졌을 뿐 아니라 그의 작품들은 정직하고 객관적이며 진정한 학자가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범을 보여 줍니다.
2009-05-11 12:51:20 | 관리자
질문: “내가 킹제임스 성경으로 구원받았기 때문에 그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 말이 맞습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8>
대답: 아닙니다. 성경은 사람에 의해 그 완전성이 결정되거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성경은 어떠한 죄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항상 오류가 없고 완벽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 개인의 구세주로 영접함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거저 영생을 주시지만 성경은 우리에게서 아무 영향도 받지 않습니다.
물론 다른 역본들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께로 인도 받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는 언젠가 어떤 사람이 「현대인을 위한 복음」(Good News For Modern Man)을 사용하여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께 인도했으므로 그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무오한 말씀이라고 강력히 주장하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그 말은 틀린 말입니다! 그가 「현대인을 위한 복음」이란 책을 통해 구원을 얻었다는 사실이 그 역본 안에 들어 있는 수많은 오류들 중 하나도 정정해 놓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제 친구 중에 킹제임스 성경이 오류가 없는 완전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믿는 사랑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친구는 「리빙 바이블」(Living Bible)을 사용하는 어떤 사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로 인도되었습니다. 그가 믿었던 그 순간 「리빙 바이블」이 오류가 없는 하나님의 말씀이 되었습니까? 물론 아닙니다. 그 성경은 완전하지 않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만약 「리빙 바이블」을 통해 구원받았기 때문에 그 성경이 완전해졌다면 그가 후에 킹제임스 성경을 선택하게 되면 그 완전함을 잃게 되는 걸까요?
따라서 어떤 사람이 여러분이나 저를 예수 그리스도께 인도하기 위해 어떤 성경을 사용했느냐에 관계없이 킹제임스 성경은 절대무오하고 완전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사실 우리가 전혀 구원을 얻지 못했다 할지라도 킹제임스 성경은 여전히 완전하고 오류가 없는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2009-05-11 12:49:57 | 관리자
질문: 킹제임스 성경을 믿는 사람들은 ‘교회를 분열시키는 자들’입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9>
대답: 그렇지 않습니다. 완전한 성경을 믿는 자들이 아마도 분열시킬 수 있는 유일한 교회는 성경이 완전하다고 믿지 않는 교회들뿐일 것입니다.
때때로 오해로 인해 잘못된 고발이 생기곤 합니다. 때로는 새빨간 거짓말에 근거한 경우도 있습니다. 완전한 성경을 믿는 사람들이 ‘교회를 분열시키는 자들’이라는 불합리한 논리는 불행히도 전적으로 악의에 찬 거짓말에 근거한 것입니다. 슬프게도 교회 분열의 충격적 경험을 겪은 크리스천들이 많이 있습니다만, 모든 교회의 분열이 킹제임스 성경이 완전하다고 믿는 사람들 때문에 일어난 것처럼 가장하여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교회 분열은 돈 문제로부터 새 강대상에 어떤 색을 칠할 것인지에 이르기까지 어떤 이유에서든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문제의 실상은 크리스천들이 슬프게도 로마서 14장과 누가복음 17장 1-5절에서 발견되는 은혜가 부족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한 분열은 킹제임스 성경과 아무 관계도 없습니다.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려 드는 것은 전혀 정직하지 않은 것입니다.
2009-05-11 12:05:24 | 관리자
질문: 킹제임스 성경을 믿는 자들은 모두가 이름을 들어가면서 남을 헐뜯는 ‘험담가들’이 아닌가요?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20>
대답: 그렇지 않습니다. 킹제임스 성경의 완전성을 믿는 사람들 중에 유별난 사람들도 있지만 대개는 온유하고 겸손한 사람들입니다.
최근 몇 년 간 완전한 성경에 대한 논의가 피터 럭크맨 박사(Dr. Peter S. Ruckman)에 의해 전문적으로 다루어졌습니다. 럭크맨 박사는 고등교육을 받은 성경 교사이자 목회자이며 안디옥 사본들이 가장 신뢰할 만한 것으로 믿는 분입니다. 그는 성경의 완전성을 받아들이는 안디옥 이데올로기로 성경을 보는 분입니다.
럭크맨 박사의 스타일은 성경의 권위에 관한 한 한 치의 양보도 없으며 따라서 성경 비평 학자들에 대한 그의 태도 역시 매우 단호합니다. 반면에 대부분의 성경 논의들에 대한 그의 접근 방법은 은혜의 방법인데 사실 많은 크리스천들에게 그런 은혜가 부족합니다.
성경의 권위라는 단 하나의 논의를 대할 때 그의 접근 방법은 사도 바울(고후10:10)이나 위대한 영국의 성경 학자 버건(John William Burgon)과 비슷합니다.
그런데 럭크맨 박사와 같은 학자적 자질을 갖추지 못한 채 완전한 성경을 주장하고 지지하던 소수의 무리들은 우선 킹제임스 성경반대자들을 공격하는 그의 신랄한 스타일을 닮아 보려고 노력했지만 결국은 비극적인 종말을 맞았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킹제임스 성경 신자들은 럭크맨 박사의 스타일이 자기들의 본래 스타일이 아니므로 무턱대고 럭크맨 박사의 스타일을 따르지는 않습니다.
(*) 참고로 국내에도 이런 무리들이 있어 큰 골칫거리입니다. 제대로 자격을 갖추지도 못한 채, 비이성적으로 입에 거품을 물고 욕을 해가면서 킹제임스 성경의 최종 권위를 주장하지만 사실 이들은 자기들이 마귀의 종노릇을 하고 있음을 알지 못합니다. 마귀가 그들의 눈을 가렸으므로 그들은 하나님의 일을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 마귀의 일을 합니다.
2009-05-11 12:02:22 | 관리자
질문: 제임스 왕이 킹제임스 성경을 교회들이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번역을 허가하지 않았다면 그 성경은 도대체 누구를 위해 번역된 것입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7>
대답: 킹제임스 성경은 처음부터 평민들을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성경의 완전성 여부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어왔지만 이런 논쟁에서 간과된 한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그것은 완전한 성경이 있어야 하는 첫째가는 이유가 다름 아닌 평민을 위해 성경이 있어야만 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평민들이 없었다면 성경이 굳이 평민의 언어로 존재할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교회 - 이 경우에는 여하한 종교단체라도 포함하여 - 는 항상 성경을 접해 왔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교회가 성경을 갖게 됨으로써 일반적으로 성직 계급자들의 자존심만 커졌고 또 성경 자체가 양떼들을 ‘주관하기’ 위한 용도로 잘못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평민들의 손에 성경을 쥐어 주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말 등에 거지를 태우면 전속력으로 질주한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는 완전한 성경이 주어졌을 때 평민들의 반응을 매우 잘 묘사한 말입니다.
평민은 세계를 움직이는 - 지휘하는 것이 아니라 - 힘입니다. 평민은 군대로부터 교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의 필요를 충원하는 데 필수적 존재입니다. 그는 소비자인데 사실 소비자 없이 생존할 수 없는 식료품점이나 주유소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는 누가 자신의 인생을 지배하는가에 거의 관심이 없이 그저 정부의 말에 고분고분 따릅니다. 그의 에너지는 자기를 통제하는 사람들의 이득을 위해 활용됩니다. 그러나 그에게 정부의 권력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비록 통치할 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투표를 하도록 허락은 받지만 그 자신은 정부 체제 밖에 머물러야 합니다.
그 같은 일은 교회 생활 영역에서도 사실입니다. 그는 자기 교회 목사에게 복종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 누구도 그의 인생에 대한 창조주의 뜻을 그가 알지 못하도록 막을 수 없습니다. 이 분야에 있어서 수세기 동안 가장 큰 폭력을 휘둘러 온 것은 역시 로마 카톨릭 교회였습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오랜 세월 동안 카톨릭 교도와 다른 사람들을 성경에 대한 무지 속에 감금해 왔습니다. 로마 카톨릭 교도들은 일반적으로 사제들로부터 “평신도들은 스스로 성경을 이해할 수 없다.”는 그릇된 가르침을 받습니다. 만일 로마 카톨릭 교회의 교인 하나가 자신의 언어로 된 성경을 가지고서 그것을 자신이 스스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게 되면 그 교회의 신부(神父)가 그에게 얼마나 크게 노할 것인지 여러분은 가히 짐작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의 성경과의 전쟁은 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습니다.
1. 사람들이 성경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통제하여 그들을 무지 속에 감금해 두라.
2. 하나님의 성경을 카톨릭 성경들 중 하나로 대체시켜라.
성경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방법도 두 가지입니다. 첫째, 평민(평신도)은 성경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사제나 사제의 개인적 해석에 복종해야 한다고 설득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이 쓰일 수 없는 비카톨릭 국가에서는 로마 카톨릭 교회를 정부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체로 정착시킨 후 물리적으로 성경의 모든 사본을 몰수해서 파괴해 버립니다. 반대자들은 물론 죽임을 당합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수세기 동안 대단히 성공리에 이 방법으로 평민들이 성경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왔습니다.
성경을 제거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바른 성경을 로마 카톨릭 교회가 만든 다른 것으로 대체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참된 성경을 몰수함으로 생긴 빈 공간을 메우기 위해 자주 사용되곤 합니다.
역사상 이 방법은 여러 차례 수행되었습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가 서기 150년경에 안디옥에서 번역된 「구 라틴 벌게이트」 - 그냥 「벌게이트」(Vulgate)라고도 불리는데 이것은 ‘공통의’, ‘평민의’라는 의미의 라틴어 ‘vulgar’에서 나온 말임 - 의 인기와 위협을 보았을 때 그들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변개된 사본으로부터 번역한 자기들 자신의 라틴어 성경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 작업은 이 일을 별로 내켜하지 않던 로마 카톨릭 학자 제롬에게 억지로 떠맡겨졌으며 신속하고도 파렴치하게 「구 라틴 벌게이트」와 똑 같은 「벌게이트」라는 이름으로 주후 380년에 출판되었습니다. 이 무가치한 책은 근 800년 동안 참 성도들로부터 외면을 당해 왔습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가 원래의 바른 성경인 「구 라틴 벌게이트」를 다 불태워 버림으로 ‘자기들의 경쟁자를 완전히 제거해 버릴 때’까지 말입니다. 물론 「구 라틴어 성경」을 제거한 결과 로마 카톨릭 교회가 전권을 휘두르던 중세 암흑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오늘날 주후 150년경에 만들어진 「구 라틴 벌게이트」에 대한 좋은 평을 듣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이 마치 주후 380년에 만들어진 로마 카톨릭 교회의 「라틴 벌게이트」 즉 제롬이 개조한 것인 줄 착각합니다.
현재 우리가 입수할 수 있는 대부분의 현대 영어 역본들 - 한국의 대부분의 성경들도 - 도 이같이 변개된 로마 카톨릭 필사본에서 나온 것들입니다. 그런데 보통 사람들에게 이 성경들은 아무런 능력도 발휘하지 못합니다.
제임스 왕은, 그가 그것을 알았든지 몰랐든지 간에, 보통 사람들에게 가장 가치 있는 소유물이 된 ‘영어로 된 참 성경’을 되돌려주었습니다. 그러자 위협을 느낀 로마 카톨릭 교회는 1582년 프랑스의 랭스(Rheims)에서 킹제임스 성경에 대항할 자기들 자신의 영어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아무 가치가 없었습니다. 제임스 왕과 그의 번역 위원회는 자신들의 번역이 영국을 벗어나서 세상 끝까지 가리라고는 기대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과 평범한 사람들은 그 성경이 전 세계를 휩쓸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보았습니다.
오늘날 일반인들은 다시 한 번 자신의 완전한 성경을 빼앗길 심상치 않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시도는 물리적으로 킹제임스 성경을 로마 카톨릭 사본에서 번역한 성경들로 대체시키는 것이며 이것은 거의 지난 100년 동안 진행되어 오고 있습니다. 이런 책들은 힘도 없고 가치도 없으나 참 성경을 대체시키는 일에는 적격입니다.
슬프게도, 킹제임스 성경은 많은 구원받은 근본주의 성경교사들과 목회자들로부터도 공격을 받았는데 그들은 성경을 ‘정정’할 수 있다는 권위의식 즉 로마 카톨릭 교황과 같은 권위의식에 빠진 것 같은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이 모든 중요한 변화는 교회와 신학교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첫 단계는 ‘진압 단계’로서 그 희생자는 킹제임스 성경을 반대하는 수많은 선전으로 인해 완전한 참 성경을 받아들일 경우 정신적인 압박을 받게 됩니다. 이 방법 때문에 비록 자기 손에 바른 성경을 소유했을지라도 그의 머리속에는 더 이상 참된 성경이 존재하지 못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그는 아직까지 자기의 성경을 물리적으로 빼앗기지는 않았지만 두뇌로부터는 이미 도둑맞았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세뇌 단계’입니다. 이것은 목회자들, 성경교사들, 그리고 특별히 ‘크리스천 매체들’에 의해 수행됩니다. 크리스천 라디오 방송국들은 거의 보편적으로 킹제임스 성경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성경 낭송’, 매일의 암송구절, 그리고 심지어 누가복음 2장의 크리스마스 이야기까지도 킹제임스 성경을 제외한 다른 성경들에서 말씀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듣는 이들의 잠재의식으로부터 참 성경을 빼앗는 일입니다.
참 성경을 버린 수많은 목회자들이 새로운 역본을 가지고 설교할 때 종종 ‘배우지 못하고 무식한’(행4:13) 교인들과 충돌하는 모습을 여러분도 보셨을 것입니다. 비록 그 교인은 새 역본에 대한 목회자의 판매 전술을 이론적으로 논박하진 못해도 “도대체 그것은 성경 같지가 않군요!”라는 말로 목사의 주장을 반박합니다.
이젠 라디오나 TV 혹은 신학교에서조차 끊임없이 다른 역본 성경들만을 들려줌으로써 젊은 크리스천 세대들은 ‘참 성경’이 어떤 것인지를 잠재적으로나마 아는 혜택조차 누리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로마 카톨릭 교회와 근본주의자들 사이에 발견되는 로마 카톨릭 교회의 ‘전체주의 영’(totalitarian spirit) 즉 사탄의 진정한 적은 단지 성경이 아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실로 마귀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평민들의 손에 쥐어진 성경과 평민들 그 자체입니다. 사실 평민들이야말로 마귀가 가장 혐오하며 지옥으로 보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아닙니까?
여러분은 여러분 손에서 성경을 도둑맞았습니까? 여러분의 두뇌로부터는 어떻습니까?
2009-05-11 11:52:12 | 관리자
질문: 듀에랭스 성경은 어떤 성경입니까?
대답: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거의 파산 지경에 이른 카톨릭 교회는 자기들도 성경 중심으로 믿는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성경 번역에 들어갔고 듀에랭스 성경은 카톨릭 교인들을 위한 최초의 영어 성경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창3:15의 ‘여자의 씨’를 ‘여자’로 바꾸어서 마치 마리아가 인류를 구속하는 것으로 만든 악명 높은 성경이 되고 말았습니다.
2009-05-11 11:49:14 | 관리자
질문: 제임스 왕은 영국에 있는 교회들이 사용하도록 자신이 번역을 위임한 킹제임스 성경의 권위를 인가해 주었습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6>
대답: 아닙니다. 번역 자체는 인가했으나 번역 성경의 사용에 대해서는 인가한 적이 없습니다.
20세기의 사람이 특히 미국에 살고 있는 사람이 거의 400년 전의 상황을 추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지금은 크리스천들이 통상 자기 나라말로 된 성경을 한 가지 이상 가지고 있고 성경 이외에도 성구사전이나 다양한 주석 그리고 갖가지 ‘크리스천’ 서적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16세기와 17세기 초의 세계는 지금과 판이하게 달랐습니다. 당시 영국의 일반인들에겐 성경이 없었습니다. 그들이 볼 수 있는 유일한 성경은 교회 제단에 묶여 있었습니다. 1536년에 틴데일(William Tyndale)은 평민의 언어인 영어로 성경을 출판했다는 이유로 화형을 당했습니다. 제임스 왕이 영어 성경 번역을 위해 1603년에 54명의 번역자를 발탁했을 때 그는 곧 출간될 그 역본을 교회들이 사용해야 한다고 명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성경이 사실상 교회를 위해서 번역된 것이 아니었다면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용도는 단 하나만 남게 됩니다. 그 용도는 다름 아닌 평민들에게 그 성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손에 ‘보통 성경’을 든 ‘보통 사람’보다 더 위대한 세력이 이 세상에 없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2009-05-11 11:43:07 | 관리자
질문: 오늘날의 학자들이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보다 더 나은 번역 능력을 구비하지 않았을까요?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5>
대답: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의 학식과 인품은 현대 학자들이 따라갈 수 없습니다.
두 가지 이유에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닙니다.”라고 단호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첫째로, 킹제임스 성경을 번역했던 사람들의 학식은 글자 그대로 오늘날의 학자들이 능가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 대해 잘 설명해 주는 유용한 책 두 권이 있습니다. 이 주제에 관해 진지하게 연구하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들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마라나타 출판사의 맥클루어(Alexander McClure)가 쓴 「부활한 번역자들」(Translators Revived)와 베이커 북하우스(Baker Book House)의 페인(Gustavus Paine)이 쓴 「킹제임스 역본 배후에 있는 사람들」(The Men Behind the King James Version) 등이 그것입니다.
킹제임스 성경 번역 위원들은 전무후무한 능력을 갖춘 학자들이었습니다. 그들의 지적 능력에 대한 약간의 소개가 바로 앞 질문의 답변에 있습니다.
두 번째로, 오늘날의 학자들이 흠정역 성경의 학자들과 동등하다거나 그들을 능가할 수 있다고 믿는 것 자체가 모순이며 어리석은 일입니다. 대부분의 크리스천들은 시간이 흘러갈수록 세상이 타락한다는 사실에 동의합니다. 열역학 제2 법칙에 의해 도덕성도 1611년 이래로 계속 타락했습니다. 심지어 사람이 숨 쉬는 대기마저도 악화되고 있는데 교육만큼은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고 믿어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교육을 숭배하는 자들이나 그런 동화 혹은 신화를 믿는다고 말할 것입니다. 세상의 모든 체제와 함께 교육도 타락해 왔으며 따라서 지금 이 시간에 400년 전의 걸출한 학자들에 필적할 만한 학자들을 배출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2009-05-11 11:41:38 | 관리자
전치사 of의 용례(Usage of preposition ‘of’)
전치사 of는 다음과 같이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I. 소유 - 성도들의 인내(patience of the saints, 계14:12); 믿음의 방패(shield of faith, 엡6:16); 성령의 검(sword of the Spirit, 엡6:17).
II. 기원 - 믿음의 의(righteousness of the faith, 롬4:11); 물들의 위험(perils of waters, 고후11:26); 성령의 열매(fruit of the Spirit, 갈5:22).
III. 동격 - 할례의 표적(sign of circumcision, 롬4:11); 장막 집(house of tabernacle, 고후5:1); 주의 이름(name of the Lord, 롬10:13).
IV. 재료 - 고펠나무로 만든 방주(ark of gopher wood, 창6:14); 쇠막대기(철장)(rod of iron, 시2:9); 금머리, 금으로 된 머리(head of gold, 단2:38).
V. 목적격 : 주님을 두려워하는 것(fear of the LORD, 잠1:7); 영을 괴롭게 하는 것(vexation of spirit, 전1:14); 돈을 사랑하는 것(love of money, 딤전6:10).
이처럼 of의 용례가 다양하므로 of를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강조점이 조금 변하게 되며 신학적인 문제들도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2:16을 보면 ‘works of the law’와 ‘faith of Jesus Christ’가 서로 대비되며 나온다. 이 경우 ‘율법의 행위’와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번역한다. 우리말에서는 ‘그리스도의 믿음’이 혼동을 가져올 소지가 있지만 여기의 of는 기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면 된다. 즉 율법에서 나오는 행위와 믿음의 창시자이신 그리스도에게서 나오는 믿음(히12:2)을 대비해서 이해하면 된다. 혹은 ‘그리스도에게 속한 믿음’으로 보아도 된다. 그러나 이것을 그리스도 자체의 믿음으로 보면 문제가 생길 요소가 크다.
목적격의 of 역시 많은 혼동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창2:9의 ‘tree of knowledge of good and evil’을 ‘선과 악의 지식의 나무’라 하면 초등 번역이 된다. 이런 경우의 of는 목적격으로 쓰여서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로 해야 맞는다. 즉 fear, love, know, vex 등과 같이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의 명사형이 of와 함께 쓰일 때는 많은 경우 목적격으로 해석해야 한다.
계3:14의 ‘하나님의 창조를 시작한 자’(beginning of the creation of God)의 경우 여호와의 증인들은 of를 소유격으로 보아 예수님이 ‘창조의 시작’ 즉 ‘피조물 중에서 처음 지어진 존재’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기의 begin 역시 타동사이므로 ‘하나님의 창조를 시작한 분’으로 보면 예수님이 창조주가 된다. 사실 성경의 전체 구조를 보면 후자가 타당하다(요1:1-3). 골1:15에도 예수님을 가리켜 ‘모든 창조물의 처음 난 자’(firstborn of every creature)라 하므로 여호와의 증인들이 여기의 of 역시 소유격으로 해석하려 하지만 bear도 타동사이므로 ‘모든 창조물을 처음 나게 하신 분’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수님은 창조주가 된다. 그런데 사도 바울은 바로 다음 절에서 15절에 나오는 of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잘 보여 준다. 즉 그는 “모든 것이 그분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함으로써 후자의 용례가 맞음을 확증한다.
끝으로 느헤미야 8장 10절에 보면 '주의 기쁨이 너희의 힘이니라'라는 유명한 구절이 있다. 영어로는 'The joy of the LORD is your strength.'이다. 이것은 무너진 성벽이 재건된고 율법을 낭독할 때에 바빌론에서 귀환한 백성이 너무 기뻐서 울므로 느헤미야가 울지 말고 기뻐하라고 백성에게 권면하면서 준 말씀이다. 영어로는 '주의 기쁨'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렇게 번역해도 된다. 이런 주장에는 합당한 근거가 있으며 결코 틀린 것이 아니다. 이 경우 of를 소유격으로 보아서 '주님의 기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of를 기원으로 보면 '주님에게서 오는 기쁨'으로 볼 수도 있다. '주의 기쁨'으로 보는 사람들은 대개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의 성령의 열매에 나오는 기쁨(희락)이 바로 이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여기에도 일리가 있다.
한편 주님을 기뻐하는 것은 of를 목적격으로 본 것이다. "너희는 슬퍼하지 말라. 주를 기뻐하는 것이 너희의 힘이다."라고 번역한 것이다. 주석들도 다양하며 어느 것이 정답이라고 말할 수 없다. 주님께서 히브리말과 영어에서 이렇게 다양한 뜻을 갖도록 of를 주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 역시 오역의 문제가 아니라 이역의 문제임을 인정하고 말씀을 가르치는 사람이 여러 뜻을 알려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믿는다.
2009-05-11 11:39:48 | 관리자
전치사 for의 용례
전치사 for는 대개 ‘~을 위하여’, ‘~로 인하여’, ‘~을 대신하여’의 의미를 갖는다. 마26:28의 ‘for the remission of sins’는 죄들의 사면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피가 흘려졌음을 보여 준다. 막1:4; 눅3:3의 ‘baptism of repentance for the remission of sins’는 ‘죄들의 사면을 얻게 하는 회개의 침례’로 번역되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이 구절을 잘못 이해하여 침례가 죄들의 사면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이것은 ‘baptism of repentance which is for the remission of sins’로 보아야 한다. 즉 죄들의 사면을 주는 것은 회개이다.
한편 갈1:4의 “Who gave himself for our sins.”는 “우리의 죄들로 인하여 자신을 주셨다.”로 번역하며 이 경우 ‘죄들을 위하여’로 번역하면 맞지 않는다. 계16:10의 “They gnawed their tongues for pain.”도 “그들이 아픔으로 인해 혀를 깨물었다.”로 번역한다. 한편 욥2:4의 ‘skin for skin’은 “가죽으로 가죽을 대신하다.”는 뜻이며 요1:16의 ‘grace for grace’ 역시 ‘은혜를 대체하는 은혜’ 즉 구약시대의 율법의 은혜보다 더 큰 그리스도의 은혜를 뜻한다. 끝으로 고전15:29의 “Why are they baptized for the dead?”는 ‘순교하며 죽은 자들을 대체해서 계속해서 믿음을 고백하고 침례를 받는 자들’을 뜻하기도 하고 죽은 자들을 대신해서 침례를 받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후자는 몰몬 교도들의 주장인데 과거에 바울 당시에도 이런 관습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실 몰몬 교도들은 이 구절을 근거로 모든 나라에서 포고하면서 족보를 찾아 과거 조상들을 위해 대신 침례를 주며 이것이 조상을 위하는 한국 사람들의 정서에 잘 맞으므로 어느 정도 선교의 열매가 있다.
2009-05-11 11:37:51 | 관리자
질문: 1611년 킹제임스 성경이 나오기 전에는 참 성경이 어디에 있었습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3>
대답: 그 이전에는 안디옥 계열 필사본들에 속한 성경이 있었습니다.
성경의 완전성을 공격하는 비평 학자들은 이 질문이 성경 신자들을 ‘어리벙벙하게’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실상은 그렇지 못합니다. 유사 이래 현존하는 성경 사본들의 절대 다수는 줄곧 안디옥에서 발견된 본문들이었습니다. 이것들은 몇 가지 형태 즉 원래의 그리스어 사본 혹은 주후 150년경의 「구 라틴 벌게이트」(Old Latin Vulgate) - 개악된 「제롬의 벌게이트」(Jerome's Latin Vulgate)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 , 혹은 주후 157년경에 번역된 시리아의 페시타 역본(Peshetta) 등으로 그 당시까지 존재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자료를 한데 모아 일반인들의 손에 쥐어 준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 사실은 하나님께서 이런 자료들을 한데 모아 킹제임스 성경을 번역하시게 되었는지를 설명해 주는 신뢰할 만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2009-05-11 11:33:57 | 관리자
질문: 영적으로 훌륭한 사람들(영적 거장들) 중에 다른 역본을 사용한 사람은 없었나요?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2>
대답: 있었습니다만 그들도 모두 완전한 성경에 굴복하고 있습니다.
공개적으로 혹은 은밀하게 성경이 완전하다는 생각을 경멸하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위대하다’는 평을 듣는 목회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늘 성경을 정정하면서 성경의 절대무오성을 믿는 자들을 공개적으로 공격합니다. 또한 소위 킹제임스 성경의 ‘실수들’이란 것을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크리스천 단과대학이나 종합대학들도 상당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떻게 이런 위대한 사람들과 기관들이 틀릴 수 있으며 또 어떻게 하나님께서 이런 자들/기관들에게 여전히 복을 주시는가?”하는 의문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답 역시 신앙과 실행의 모든 문제에서 우리의 최종 권위가 되는 성경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열왕기하 17장에서 우리는 비참한 상태에 처한 이스라엘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스라엘 민족들은 아시리아에게 정복당하고 포로로 잡혀갔습니다(왕하17:23). 아시리아 왕은 이방인들을 이스라엘 땅에 정착시켰습니다(왕하17:24). 그런데 이 사람들이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므로 그분께서는 사자들(lions)을 그들 가운데 보내사 그들을 죽게 하셨습니다(25절). 그 결과 그들은 유대 제사장들을 불러 ‘그 땅의 하나님’을 어떻게 두려워해야 하는지 자기들에게 가르쳐 달라고 했습니다(왕하17:26-28). 그 결과는 32절과 41절에서 발견됩니다. 성경은 분명하게 “그들이 주도 두려워하고 또한 어디서부터 민족들을 사로잡아 왔든지 그 민족들의 풍속대로 자기 신들도 섬겼더라.”(왕하17:33)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우리의 근본주의 목회자들과 대학들 가운데서도 그대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많은 근본주의 목회자들이 실제로는 성경의 무오성을 믿지 않으면서도 감히 믿지 않는다고 시인하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그들은 “주님을 두려워합니다.” 다시 말해 그들은 강단에 서서 성경을 들고 허공에 대고 외칩니다. “이 책은 오류가 없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말씀입니다.” 라고. 그러나 강단을 내려서면 그들은 ‘자기 신들을 섬기면서’ 성경에서 실수라고 생각되는 점들을 개인적으로 지적하며 자기들이 막 강단에서 말했던 것을 진실로 믿는 사람들을 비웃습니다. 이것이야말로 위선이 아닐 수 없습니다. 두 얼굴을 가진 것으로 여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주님을 두려워하지 않았다면 결코 강단에 서서 성경의 완전성을 믿노라고 말하진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은 만일 누군가가 자기들이 정말로 믿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 알게 될 경우 자기들이 파멸에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거니와 여러분과 저는 그들이 강단에 서서 “저는 이 책이 불완전하게 번역되었고 실수가 많다고 믿으며 이 지구상에는 완전한 역본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없을 것입니다. 만약 자기들이 그런 정직한 고백을 한다면 곧 ‘끝장날’ 것임을 누구보다도 그들이 더 잘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사자들’(lions)은 그들을 완전한 성경 앞에 무릎 꿇게 만듭니다. 물론 그들이 단지 입술로만 주님을 인정할지라도 말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크리스천 단과대학이나 종합대학들도 “우리 학교에 오면 완전한 성경에 대한 여러분의 믿음은 파괴될 것이며 성경이 오류로 가득 차 있음을 보게 될 것입니다.”라고 감히 말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런 식으로 ‘자기의 신들을 섬기게 되면’ 자기들의 캠퍼스 정문 앞으로 하나님께서 보내신 ‘사자들’이 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우리는 성경의 절대적 권위에 대해 확신합니다.”, “우리는 킹제임스 성경만을 사용합니다.”라고 말하면서 자기 학교를 선전할 정도로만 “주님을 두려워합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일단 들어온 후에는 즉 학생들이 그 학교에 자신을 위탁한 후에는 그들은 완전한 성경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교묘히 파괴시키고 “오래되고 좋은 유익한 킹제임스 성경이 오류로 가득 찼다.”고 그들을 세뇌시키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들이 너무나 겁이 나서 ‘그 땅의 하나님’과 그분의 완전한 책인 킹제임스 성경에 무릎을 꿇지 않을 수 없었다는 사실을 하나님께서는 누구보다도 더 잘 알고 계시며 실로 그들 또한 잘 알고 있습니다.
2009-05-11 11:32:27 | 관리자
질문: 저는 킹제임스 성경의 이탤릭체로 기록된 부분이 역자들에 의해 첨가된 것이므로 삭제되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것들을 정말로 삭제해야만 합니까?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11>
대답: 우리가 만일 킹제임스 성경의 이탤릭체 부분들 중에 어느 하나라도 삭제해야 한다면 그것들 모두를 삭제해야 할 것이며,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것들 모두를 성경기록으로 받아들여야만 할 것입니다.
킹제임스 성경에서 이탤릭체들을 삭제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1. 어떤 글을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새 언어의 문장 구조를 완성하기 위해 단어들을 보충해야만 한다는 것을 잘 압니다. 모든 번역자들이 성경을 번역하면서 이러한 일을 했습니다. 다만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은 정직한 사람들이었으므로 자기들이 보충한 단어들을 이탤릭체로 표시하였습니다.
보기 #1 :
킹제임스 성경의 시23:1은 “주는 나의 목자시니”(The LORD is my shepherd.)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구절에 있는 ‘is’ 는 역자들이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보충한 것입니다.
신국제역(NIV)의 시23:1도 “주는 나의 목자시니”(The LORD is my shepherd.)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양 쪽 번역자들이 똑같이 문장을 완성하려고 같은 단어를 보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은 독자들로 하여금 그것이 보충되었음을 알려 주기 위해 이탤릭체로 표기하였습니다.
보기 #2 :
킹제임스 성경의 요1:8은 “그는 그 빛이 아니요 그 빛에 대해 증언하도록 보내어진 자더라”(He was not that Light, but was sent to bear witness of that Light.)로 되어 있습니다.
뉴킹제임스역(NKJV)의 요1:8도 “그는 그 빛이 아니요, 그 빛에 대해 증언하도록 보내어진 받은 자더라”(He was not that Light, but was sent to bear witness of that Light.)로 되어 있습니다.
다시 양 역본의 번역자들은 뜻을 통하게 하기 위해 자기들의 번역에 ‘was sent’라는 구를 보충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역시 그 보충 부분을 명시해서 이탤릭체로 기록한 쪽은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킹제임스 성경 역자들은 현대의 ‘자칭’ 학자라 하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는 속임수 혹은 부정직함을 따르지 않았으므로 자기들이 보충한 부분을 이탤릭체로 넣은 정직성과 도덕성으로 인해 오히려 칭찬을 받아야 마땅합니다.
2. 성경 비평 학자들은 - 근본주의자든 그렇지 않든 간에 - 이탤릭체 로 쓰인 부분을 제거할 수 있으나 다 제거할 필요는 없다고 말합니다. 대개 그들은 고린도전서 14장에 있는 ‘unknown’(알지 못하는) 같은 단어가 있는 구절을 보면 난처해합니다. 그들은 이런 구절의 이탤릭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아무 생각 없이 위와 같은 말을 내뱉으면서 문제의 단어를 제거해 버립니다.
그러나 이것은 오히려 상황을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만약 그 이탤릭체 단어가 본문에 속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면, 단지 그 이탤릭체 단어만을 성경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말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탤릭체 단어 모두를 성경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말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성경을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이탤릭체 단어가 모두 삭제된다면 뜻이 통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어떤 이탤릭체는 삭제하고 다른 것들은 그대로 두는 일은 ‘하나님의 거룩한 영감’(Divine inspiration) 즉 어떤 단어들은 없애고 어떤 단어들은 남겨야만 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는 ‘하나님의 영감’을 요구하는 일입니다.
아무리 훌륭한 설교자나 영혼 구령자 혹은 학자라 할지라도 자기가 성경에서 어떤 단어들을 거부해야 하고 또 어떤 단어들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하나님의 거룩한 영감’을 통해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보고 자기들에게 무릎을 꿇으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만약 우리가 너무나 어리석어서 그런 방식으로 한 사람의 의견을 숭배해야 한다면 과연 누구를 숭배해야 하지요?
사실 이 시간에도 ‘거룩하게 영감을 받아 공인 성경 교정자’(Official Divinely Inspired Bible Corrector)가 되려고 수백 명의 성경 비평 학자들이 경합을 벌이고 있습니다. 과연 누가 행운의 사람이 될까요? 우리는 그를 어떻게 뽑아야 할까요? 그리고 모든 크리스천들이 그의 선언에 한 마디 불평 없이 따를 것이라고 순진하게 생각할 사람은 누구일까요? 어쨌든 그의 선언이 없다면 어떤 이탤릭체들이 성경에 속하고 또 어떤 것들이 빠져야 하는지 우리로서는 알 길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즉 문제되는 구절들을 극복하기 위해 골칫덩이 단어들을 조심성 없이 제거해 버릴 게 아니라 오히려 기도하며 성경 읽기를 해야 할 것입니다.
3. 사무엘기하 21장 19절은 이탤릭체가 그대로 보존되어야 할 필요성을 옹호해 주는 전형적인 예들 중에 하나입니다.
다시 곱에서 블레셋 사람들과 싸움이 있더니 거기서 베들레헴 사람 야레오르김의 아들 엘하난이 가드 사람 골리앗의 동생을 죽였는데 그의 창 자루는 베틀 채 같았더라.
And there was again a battle in Gob with the Philistines, where Elhanan the son of Jaare-oregim, a Beth-lehemite, slew the brother of Goliath the Gittite, the staff of whose spear was like a weaver's beam.
여기에서 만일 이탤릭체인 ‘the brother’를 생략해 버린다면 엘하난이 골리앗을 죽인 것이 됩니다. 물론 모든 사람들은 사무엘기상 17장에서 다윗이 골리앗을 죽였음을 알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는 이탤릭체를 제거함으로써 타락한 모든 사람들이 으쓱대며 “성경에 모순이 있다.”고 즐겨 말하게 될 그런 성경을 갖게 될 것입니다.
물론 ‘하나님의 거룩한 영감을 받은 성경 교정자’는 아마 삼하21:19의 이탤릭체는 삭제할 필요가 없다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나타나셔서’ 직접 말씀하시지 않았는데 어떤 단어를 삭제하고 또 어떤 단어를 보존해야 하는지 도대체 누가 안단 말입니까?
4. 하나님께서 자신의 성경을 보존하시기 위해 선택하신 단어들을 손대지 말아야만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 그리고 주 예수 그리스도 그분으로부터 비롯됩니다. 먼저 성경 - 물론 킹제임스 성경이지요 - 을 집어 시16:8을 읽어 보십시오.
내가 주를 항상 내 앞에 모셨나니 그분께서 내 오른편에 계시므로 내가 흔들리지 아니하리로다.
I have set the LORD always before me: because he is at my right hand, I shall not be moved.
아마도 여기에서 여러분은 “그분께서 계시다.”(he is)라는 두 낱말이 이탤릭체라는 사실을 금방 보셨을 것입니다. 자, 그런데 사도 베드로가 신약 성경 사도행전 2장 25절에서 이 구절을 인용한 것을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윗이 그분에 관하여 말하되, 내가 항상 내 얼굴 앞에 계신 주를 미리 보았나니 그분께서 내 오른편에 계시므로 내가 흔들리지 아니하리로다.
For David speaketh concerning him, I foresaw the Lord always before my face, for he is on my right hand, that I should not be moved:
여기서 우리는 사도 베드로가 시16:8에 나오는 이탤릭 부분과 나머지 부분 전체를 다 인용하고 있음을 봅니다! 즉 시16:6의 이탤릭체 ‘he is’가 행2:25에서는 이탤릭체가 아닌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 여러분은 하나님께서 성경에 이탤릭체를 그대로 두기 원하신다는 사실을 믿게 되었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어떤 이들은 베드로는 신학 교육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 학문 없고 무식한 사람(행4:13)이었기에 맹목적으로 성경(킹제임스 성경?)을 하나님의 모든 말씀으로 받아들였다고 지적할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사도 바울과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서도 우리는 똑 같은 현상을 발견합니다.
신약 성경의 또 다른 저자였던 바울은 종종 자기의 글 속에서 구약 성경을 인용했습니다. 그때마다 그는 다른 이들이 직접 히브리어 본문에서 인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구약을 인용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의 인용 구절들 중에 몇몇은 히브리어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는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로마서 10장 20절에서 바울은 이사야서 65장 1절을 인용합니다.
이사야는 매우 담대하여 이르기를, 나를 찾지 아니하던 자들이 나를 발견하였나니 내게 묻지 아니하던 자들에게 내가 나타났노라, 하되
But Esaias is very bold, and saith, I was found of them that sought me not; I was made manifest unto them that asked not after me.
한편 이사야서 65장 1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를 구하지 아니하던 자들이 나를 찾아내었고 나를 찾지 아니하던 자들이 나를 발견하였나니…
I am sought of them that asked not for me; I am found of them that sought me not:…
바울이 이사야서 65장 1절에 있는 것처럼 인용했던 ‘자들에게’(them that)라는 단어는 킹제임스 성경에서만 이탤릭체로 존재합니다.
‘are’ 라는 단어를 번역자들이 보충한 시편 94편 11절 말씀을 인용한 사도 바울의 고린도전서 3장 20절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주께서는 사람의 생각들을 아시며 그것들이 헛된 줄 아시느니라(시94:11).
The LORD knoweth the thoughts of man, that they are vanity.
또 다시, 주께서는 지혜로운 자들의 생각들을 아시며 그것들이 헛된 줄 아시느니라, 하였느니라(고전3:20).
And again, The Lord knoweth the thoughts of the wise, that they are vanity.
그런데 참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은 바울이 고린도전서 9장 9절에서 신명기 25장 4절을 인용한 부분입니다.
모세의 율법에, 너는 곡식을 밟는 소의 입에 마개를 씌우지 말라, 기록되었나니 하나님께서 소들을 위해 염려하시느냐?(고전9:9).
For it is written in the law of Moses, Thou shalt not muzzle the mouth of the ox that treadeth out the corn. Doth God take care of oxen?
너는 소가 곡식을 밟을 때에 소의 입에 마개를 씌우지 말라(신25:4).
Thou shalt not muzzle the ox when he treadeth out the corn.
여기서 우리는 바울이 단지 흠정역 성경에서만 이탤릭체로 발견되는 ‘the corn’이란 단어를 마치 히브리어 원문에 있었던 것같이 인용하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만일 사도 바울이 히브리어 원문을 번역한 것이라 추정되는 가상적인 「70인역」을 인용했다고 감히 누가 주장한다면 우리의 딜레마는 더 커집니다. 왜냐하면 우리를 난감하게 만드는 두 가지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입니다.
첫째, 만일 그런 그리스어 역본이 존재했다면(역사 문헌으로 입증된 적이 없다!) 도대체 어떤 권위로 번역자들이 이 단어들을 삽입할 수 있었단 말인가?
둘째, 만약 그것들이 번역자들에 의해 첨가된 것이라면 바울의 인용 자체가 그것들이 영감된 것임을 확증해 준단 말인가?
여러분이 이런 중요한 문제를 놓고 심사숙고하시는 동안 저는 예수님께서도 킹제임스 성경으로 보이는 성경으로부터 구약을 인용하셨다는 것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우리는 그분께서 자필 원본에 들어 있지 않은 단어를 인용하셨음을 보게 되는데 사실 그것은 킹제임스 성경의 이탤릭체에서만 발견되는 단어입니다. 다음의 신명기 8장 3절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분께서 너를 낮추시며 주리게 하시고 또 너도 알지 못하며 네 조상들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네게 먹이신 것은 사람이 빵으로만 살지 아니하고 주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네가 알게 하려 하심이니라.
And he humbled thee, and suffered thee to hunger, and fed thee with manna, which thou knewest not, neither did thy fathers know; that he might make thee know that man doth not live by bread only, but by every word that proceedeth out of the mouth of the LORD doth man live.
여러분은 이탤릭체로 된 ‘word’라는 단어가 히브리어 원문에 있지 않다는 데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히브리어 원문 신명기 8장 3절을 검토해 보아도 ‘word’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dabar’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예수님께서 사탄과 싸우실 때 신명기 8장 3절 말씀을 마태복음 4장 4절에서 인용하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분께서 응답하여 이르시되, 기록된바, 사람이 빵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 하였느니라, 하시더라.
But he answered and said, It is written, Man shall not live by bread alone, but by every word that proceedeth out of the mouth of God.
신명기 8장 3절을 인용하실 때 예수님께서는 킹제임스 성경이 이탤릭체로 표시한 단어를 포함한 구절 전체를 인용하고 계십니다! 아멘! 어떤 아마추어 학자라도 그리스어 신약 성경에서 ‘word’에 해당되는 그리스어 단어 ‘rama’의 한 형태인 ‘ramati’를 쉽게 찾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성경 비평 학자들이 “글쎄 킹제임스 성경을 사도 바울이 인정한다면 나도 인정하지요.”라고 농담 삼아 이야기하기 좋아하는 것처럼, 진정한 성경신자라면 “물론이지요. 킹제임스 성경을 사도 베드로와 바울과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정하신 이상 저도 당연히 인정할 것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해 성경의 이탤릭체에 대해서는 세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
(1) 그것들 모두를 삭제해라.
(2) 근본주의 성경 비평가들 중 한 명을 ‘하나님의 거룩한 영감을 받은 공인 성경 교정자’로 임명하고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께 드려야 할 충성과 사랑과 헌신을 다 그에게 주어라.
(3) 우리의 거룩하게 영감 받은 성경에만 있는 모든 단어들을 있는 그대로 두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틀림없이 정확하실 것이라고 신뢰하라.
이제 우리는 이 셋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야만 합니다.
2009-05-11 11:30:38 | 관리자
안녕하세요?
본 사이트에서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실명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본 공간에서 교제하기 원하는 외국 교포들과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외국인들에게는 요청에 따라 특별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발급해 드립니다.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정보를 webmaster@keepbible.com으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이름(한글, 영문):생년월일:거주국가(외국인의 경우 출신 국가):원하는 아이디: 영문원하는 비밀번호: 영문e-mail 주소:전화 번호간단한 자기 소개 감사합니다.
2009-05-11 11:16:48 | 관리자
안녕하세요?
본 사이트에서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실명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본 공간에서 교제하기 원하는 외국 교포들과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외국인들에게는 요청에 따라 특별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발급해 드립니다.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정보를 webmaster@keepbible.com으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이름(한글, 영문):생년월일:거주국가(외국인의 경우 출신 국가):원하는 아이디: 영문원하는 비밀번호: 영문e-mail 주소:전화 번호간단한 자기 소개 감사합니다.
2009-05-11 11:16:48 | 관리자
안녕하세요?
본 사이트에 가입하면 누구나 준회원이 됩니다. 준회원의 경우 사이트의 모든 자료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이트의 모든 자료를 보기 원하면 등급 업그레이드(등업) 요청 e-mail을 보내 주셔야 합니다.
등업 요청 e-mail 보낼 곳: webmaster@keepbible.com
등업 요청을 받으면 하루 이틀 안에 등급을 상향 조정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05-11 11:07:33 | 관리자
안녕하세요?
본 사이트에 가입하면 누구나 준회원이 됩니다. 준회원의 경우 사이트의 모든 자료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이트의 모든 자료를 보기 원하면 등급 업그레이드(등업) 요청 e-mail을 보내 주셔야 합니다.
등업 요청 e-mail 보낼 곳: webmaster@keepbible.com
등업 요청을 받으면 하루 이틀 안에 등급을 상향 조정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05-11 11:07:33 | 관리자
질문: 처음의 자필 원본에서 복사된 성경 사본들의 출처는 어디인가요?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질문 8>
대답: 현존하는 성경 사본의 대부분은 두 개의 계열 혹은 군(群)으로 나뉩니다. 이 계열들은 일반적으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의 안디옥이라는 도시들에 의해 대표됩니다.
이 세상에는 단지 두 개의 성경 즉 하나님의 성경과 마귀가 변개시킨 성경이 존재합니다. 성경에 대한 견해도 단지 두 가지뿐입니다. 전적으로 완전하다는 견해든지 혹은 불완전하다는 견해든지 둘 중 하나입니다. 사본들의 형태와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볼 때 이 두 성경은 중동 지역의 매우 다른 장소들에서 나오며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의 안디옥이 그 두 장소입니다.
어떤 장소가 우리에게 완전한 성경과 정확한 이데올로기를 주며 또 어떤 장소가 우리에게 마귀의 성경과 부정확한 이데올로기를 주는가를 식별하는 것은 아주 쉬운 일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사실 이러한 연구는 성경이라는 한 가지 원천 때문에 아주 쉽게 이루어집니다.
이미 여러 번 언급했지만 우리는 신앙과 실행의 모든 문제에서 성경을 우리의 최종 권위로 받아들입니다. 그러하기에 누구나 먼저 해야 할 일은 성경을 연구하여 하나님께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를 어떻게 생각하시며 시리아의 안디옥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를 발견해 내는 것입니다.
성경을 연구할 때 우리가 따라야 할 기본 규칙은 보통 ‘첫 번째 언급의 법칙’이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대체로 어떤 사람이나 장소 혹은 단어가 성경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부분의 문맥이 그 사람이나 장소 혹은 단어에 대한 성경의 관점을 정해 준다는 것입니다.
알렉산드리아와 안디옥에 관한 우리의 연구에 있어서 우리는 이집트에 대해 성경이 취하는 태도를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알게 됩니다.
이집트(애굽, Egypt)
(1) 성경에서 이집트는 창12:10-12에서 제일 먼저 언급됩니다.
그 땅에 기근이 있으므로 아브람이 이집트로 내려가 거기 머물려 하더니 이는 그 땅에 기근이 심하였기 때문이라. 그가 이집트에 가까이 이르러 들어가려 할 때에 자기 아내 사래에게 이르되, 이제, 보라, 당신은 보기에 아름다운 여인임을 내가 아노라. 그러므로 이집트 사람들이 당신을 볼 때에 이르기를, 이 여인은 그의 아내라, 하고 나는 죽이되 당신은 살려 두리니
창12:1-3에서 우리는 아브라함에게 소위 ‘아브라함의 언약’이라고 알려진 언약이 주어짐을 봅니다. 문자 그대로 그 언약은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들에게 이 세상을 그들의 소유로서 양도해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이었습니다. 창12:10에서 아브라함은 자신의 고국에 있던 기근을 피해 이집트로 내려갑니다. 12절에는 이집트 사람들이 자기를 죽이고 자기의 아내 사래를 강탈할지도 모른다는 아브라함의 두려움이 나타납니다. 분명히 긍정적인 문맥이 아니지요? 우리는 성경이 이집트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는 부분이 매우 부정적임을 봅니다.
(2) 출1:11-14에서 우리는 유대인들이 이집트에서 노예였음을 발견합니다.
그러므로 그들이 작업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주어 그들을 괴롭게 하더니 그들이 파라오를 위하여 저장 도시 곧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니라. 그러나 그들이 그들을 괴롭게 할수록 그들이 더욱 번성하고 증가하므로 그들이 이스라엘 자손으로 인하여 근심하니라. 이에 이집트 사람들이 이스라엘 자손으로 하여금 더 엄격히 섬기게 하고 고된 노예생활로 회반죽 이기는 일과 벽돌 굽는 일과 들에서의 온갖 섬기는 일에서 그들의 삶을 괴롭게 하니라. 그들이 이스라엘 자손으로 하여금 섬기게 한 일이 다 엄격하였더라.
사실상 이집트의 통치자였던 파라오(바로)는 15-16절에서 유대의 모든 남자 아기들을 죽이라고 포고합니다.
이집트 왕이 히브리 산파들에게 말하더니 그들 중 하나의 이름은 십브라요, 다른 하나의 이름은 부아더라. 그가 이르되, 너희가 히브리 여인들을 위하여 산파의 직무를 행할 때에 해산대 위의 여인들을 살펴보아 그것이 아들이거든 죽이고 딸이거든 살릴지니라, 하였으나
이 구절도 명백히 이집트에 대해 부정적인 것을 암시하지 않습니까?
(3) 이집트 땅에서 자신의 자녀들을 인도하여 내신 후 출애굽기 20장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이 이집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말씀하십니다. 2절에서 그분께서는 이집트를 ‘속박의 집’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나는 너를 이집트 땅 곧 속박의 집에서 데리고 나온 주 네 하나님이라.
이것 역시 이집트에 대한 또 한 번의 부정적인 언급인데 이번에는 이것이 직접 하나님의 입에서 나왔음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4) 신4:20에서 모세는 이집트를 ‘쇠 용광로’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주께서 너희를 취하시고 너희를 쇠 용광로 곧 이집트에서 데리고 나오사 이 날의 너희와 같이 자신을 위하여 상속 백성으로 삼으셨느니라.
(5) 신17:16에서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해 미래에 이스라엘이 왕을 갖게 될 때 그 왕이 이집트와 상업적인 거래를 해서는 안 된다고 명령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기를 위해 말을 많이 늘리지 말며 말을 많이 늘리려고 백성을 이집트로 돌아가게 하지 말지니 주께서 너희에게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이후로는 그 길로 다시 돌아가지 말라, 하셨느니라.
(6) 그리고 마지막으로 계11:8에서 하나님께서는 예루살렘을 비난하시면서 그곳을 소돔과 이집트에 비유하십니다.
그들의 죽은 몸이 그 큰 도시의 거리에 놓이리니 그 도시는 영적으로 소돔과 이집트라고 하며 그곳은 또한 우리 주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곳이니라.
이상과 같은 간략한 연구는 대부분의 크리스천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살펴 본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성경이 이집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우리는 성경에서 알렉산드리아가 단지 네 번 언급되며 네 번 모두 나쁜 의미로 언급되었음을 알게 됩니다.
(1) 알렉산드리아는 행6:9에서 처음으로 언급됩니다.
그때에 리베르티 사람과 구레네 사람과 알렉산드리아 사람과 길리기아와 아시아에서 온 자들의 회당이라 하는 회당에서 어떤 자들이 일어나 스데반과 논쟁을 벌이더니
스데반과 변론하며 실제 그를 죽였던 무리들 가운데는 알렉산드리아로부터 온 유대인들이 있었습니다.
(2) 알렉산드리아에 대한 두 번째 언급은 행18:24에 있습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난 아볼로라 하는 어떤 유대인이 에베소에 이르니 그는 말을 잘하고 성경 기록들에 능통하더라.
여기서 우리는 영적으로 매우 열심이 있었으나 복음에 관해 잘못 알고 있었던 아볼로라는 이름의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난 유대인을 발견하게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진정한 복음을 알지 못한 채 그는 에베소에서 침례자 요한의 침례에 대해서만 가르쳤습니다(행18:25, 19:3). 아볼로는 그때까지도 [신약시대의] 구원을 받지 못했으며 그가 개종시킨 자들도 역시 그러했습니다. 후에 아볼로는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에 의해 그리스도에게로 인도되었으며(26절) 그 이후에야 비로소 그의 메시지가 완전해졌습니다(28절). 그러나 이처럼 두 번째 언급된 곳에서도 알렉산드리아는 여전히 ‘잘못된 성경 가르침’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3) 알렉산드리아에 대한 세 번째와 네 번째 언급 역시 매우 비슷합니다. 사도행전 21장에서 체포되고 카이사르에게 변론을 요구한 후 바울은 알렉산드리아 배를 타고 결국 죽음에 이르는 로마로 보내집니다(행27:6).
거기서 백부장이 이탈리아로 항해 중인 알렉산드리아의 배를 만나 우리를 거기에 태우니라.
(4) 로마로 항해하는 도중 바울이 탄 배는 폭풍우로 인해 가라앉게 됩니다. 멜리데라 하는 섬에서 석 달을 보낸 후 그는 또 다른 배를 타고 죽음을 향한 길로 보내집니다. 바울을 죽음으로 몰고 갈 이 두 번째 배는 어디서 왔을까요?
석 달 뒤에 우리가 그 섬에서 겨울을 난 알렉산드리아의 배를 타고 떠나니 그 배의 기호는 카스토르와 폴룩스더라(행28:11).
위에서 우리는 알렉산드리아에 대한 언급하고 있는 성경의 네 군데가 다 알렉산드리아에 대해 부정적임을 알았습니다. 정직한 사람이라면 알렉산드리아에 대한 성경의 판결이 좋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100년경에 아테네로부터 철학과 교육을 받아 들였고(행17:16) 그 이후에 세상 철학과 학문의 중심지로 알려졌음에 주목해야 합니다(골2:8). 거기에는 철학자 판테누스(Pantaenus)가 설립한 성경 학교가 있었습니다. 판테누스는 성경을 모두 철학적으로 그리고 알레고리 즉 비유로 해석했습니다. 철학적이라 함은 그가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 진리를 믿었다는 것입니다. 그는 성경에 오류가 없다는 것을 믿지 못했습니다. 또한 성경을 알레고리(비유)적으로 봄으로써 그는 아담, 노아, 모세, 다윗 같은 사람들은 단지 유대인들의 시(詩)에나 존재하는 인물이고 실제 역사적 인물이 아니라고 믿었습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와 후에 오리겐(Origen)에 의해 그 학파의 우두머리로 칭송받게 되었습니다. 클레멘트와 오리겐은 그의 회의론을 공유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성경의 ‘순수한 복사본들’을 받는 즉시 자기의 뒤틀린 사상과 병행하도록 성경 사본을 개조한 사람은 교육과 철학이라는 두 개의 마취제에 미혹된 오리겐이었습니다. 그는 모든 성경 비평 학자들의 아버지이며 눅24:40, 행8:37과 요일5:7 같은 구절들을 삭제해 버린 필사본들을 만든 장본인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성경은 완전하며 오류가 없다.”고 단숨에 말한 뒤에 곧바로 “성경에는 실수들과 오역들이 있다.”고 진술하는 알렉산드리아 철학 즉 지금 이 시간에도 많은 근본주의 학자들이 앵무새처럼 되풀이되는 부패된 철학의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부패한 알렉산드리아 사본들에다 맨 처음 생명을 불어넣은 것이 바로 이 실성한 이데올로기입니다. 따라서 우리 성경 신자들은 알렉산드리아 사본들이 부패되었으므로 마땅히 폐기처분시켜야 하며 또 “성경에 오류가 있으므로 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알렉산드리아 철학 역시 매우 교활하고 위험하기 짝이 없는 인본주의 산물이므로 마땅히 배격해야 합니다.
안디옥(Antioch)
참으로 아이러니컬하게 안디옥은 알렉산드리아가 처음 언급되는 사도행전 6장에서 처음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알렉산드리아와는 전혀 다른 맥락으로 나타납니다.
(1) 사도들은 오늘날 우리가 흔히 ‘집사’(deacons)로 알고 있는 ‘사역을 돕는 자들’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고 어떤 사람들이 그 직분을 맡아야 하는가에 대해 3절에서 이렇게 가르쳤습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너희는 너희 가운데서 정직하다는 평판이 있고 성령님과 지혜가 충만한 사람 일곱을 찾아내라. 우리가 이 일을 그들에게 맡기고 오직 우리는 계속해서 기도와 말씀 사역에 전념하리라, 하니라.
그 뒤 행6:5에서 일곱 사람이 선택됩니다.
온 무리가 이 말을 기쁘게 여기고 믿음과 성령님이 충만한 사람 스데반과 빌립과 브로고로와 니가노르와 디몬과 바메나와 안디옥 출신의 유대교 개종자 니골라를 택하여
첫 번째 집사들 가운데 한 명인 니골라가 안디옥 사람이었음에 주목하십시오. 이것이 단순한 일치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그 집사들 가운데 유일하게 니골라만 그 고향이 제시되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또한 안디옥이 성경에서 처음 언급된 곳에 알렉산드리아가 언급된 것도 절대로 우연이 아닙니다. 그리고 같은 구절에서 안디옥은 긍정적인 견지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알렉산드리아는 부정적인 견지에서 처음 언급되었음을 아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안디옥에 대한 몇 개의 적절한 보기들은 하나님께서 신약 교회의 중심지로 안디옥을 선택하셨음을 증거해 주는데 이것들은 물방울 같은 증언으로 시작해서 대홍수 같은 증언으로 그 끝을 맺습니다.
(2) 안디옥은 행11:19-21에 나타납니다.
이제 스데반으로 인하여 일어난 핍박으로 말미암아 널리 흩어진 자들이 멀리 베니게와 키프러스와 안디옥까지 여행하며 오직 유대인들에게만 말씀을 선포하더니 그들 가운데 키프러스와 구레네 출신의 몇 사람이 안디옥에 이르러 그리스말 하는 사람들에게 말하여 주 예수님을 선포하매 주의 손이 그들과 함께하므로 많은 수의 사람들이 믿고 주께로 돌아오더라.
여기에서 우리는 핍박을 피해 도피한 크리스천들 중 한 무리가 자기들이 도피한 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하는 모습을 봅니다. 안디옥에 도달했을 때 그들은 사도행전 10장의 베드로가 이방인들에게 복음의 문을 연 사건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그리스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21절은 하나님의 영께서 안디옥에서 힘있게 일하셔서 상당수가 구원받았음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최초의 이방인 대각성 운동이 바로 안디옥에서 일어났음을 보게 됩니다.
(3) 행11:22-24에서 우리는 ‘위로의 아들’인 바나바(행4:36)가 안디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알아보기 위해 안디옥에 파견됨을 보게 됩니다.
그때에 이 일들에 관한 소식이 예루살렘에 있던 교회의 귀에 들어가매 그들이 바나바를 보내며 그가 멀리 안디옥까지 가게 하니라. 그가 이르러 하나님의 은혜를 보고 즐거워하며 모든 사람에게 권면하여 그들이 마음에 작정을 하고 주께 붙어 있으라고 하니라. 바나바는 선한 사람이요, 성령님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더라. 많은 사람들이 주께 더해지더라.
(4) 행11:25-26에서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이 드러납니다.
그때에 바나바가 사울을 찾으러 다소로 떠나서 그를 만나매 안디옥으로 그를 데려오니라. 그들이 만 일 년 동안 그 교회와 함께 모이며 많은 사람들을 가르치더니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 불리니라.
첫 번째로 우리는 바나바가 젊은 개심자 사울을 찾으러 다소에 가는 것을 발견합니다. 행9:26-27에서 의심하는 제자들에게 바울의 개종을 변호해 주었던 이가 바로 바나바였습니다. 의심할 바 없이 그는 열심 있는 한 젊은 개종자가 다소에 가서(행9:30)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혀져 가는 것을 보고 슬퍼하였습니다. 사울을 찾아낸 뒤 바나바는 그를 예루살렘으로 다시 데려오지 않았습니다. 물론 알렉산드리아로 데려간 것도 아닙니다. 그는 신약 교회의 영적 수도인 안디옥으로 그를 데려갔습니다. 사실 바울이 위대한 바울이 된 것은 다 이 경건한 노성도의 친절한 행동 덕분이었습니다.
(5) 행11:26에서 우리는 거듭난 신자들이 안디옥에서 처음으로 ‘크리스천’이라 불리는 것을 보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 믿는 자들이 스스로를 ‘크리스천’이라 부를 때마다 안디옥의 우리 영적 선조들과 영적인 연대감을 갖게 됩니다. 안디옥과 크리스천의 관계는 플리머스록과 미국인의 관계와 비슷합니다.
(6) 27-28절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대언자들을 북쪽에 있는 안디옥으로 보내시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 무렵에 대언자들이 예루살렘에서 안디옥에 이르렀는데 그 중의 한 사람 곧 아가보라 하는 사람이 일어나 성령을 통해 온 세상에 두루 큰 흉년이 들 것을 표적으로 보여 주더니 카이사르 클라우디우스 시대에 그 일이 이루어지니라.
유대인들의 중심지 예루살렘은 이제 영적으로 버림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이 있기 몇 해 전에 행1:8에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그들의 고향인 그곳을 떠나라는 명령을 주셨습니다.
(7) 행11:29-30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복을 주신 안디옥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흉년을 당하게 한 예루살렘 성도들에게 재정적인 도움을 보내는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에 제자들이 저마다 자기 능력대로 유대에 거하던 형제들에게 구호금을 보내기로 결정하고 또 그것을 실행하여 구호금을 바나바와 사울의 손에 맡겨 장로들에게 보내니라.
그러나 이 구절이 하나님의 신약 교회의 본거지에 대해 성경이 마지막으로 언급하는 곳은 아닙니다.
(8) 복음 선포를 위해 온 세계로 선교사를 파송하고자 결심하셨을 때 하나님께서는 예루살렘 쪽으로는 눈길조차 주지 않으셨습니다(물론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그분께서는 예루살렘 대신 안디옥에서 자신의 충성스런 종들을 찾으셨습니다.
이제 안디옥에 있던 교회에 어떤 대언자들과 교사들이 있었으니 곧 바나바와 니게르라 하는 시므온과 구레네의 루기오와 사분영주 헤롯과 함께 양육받은 마나엔과 사울이라. 그들이 주를 섬기며 금식할 때에 성령님께서 이르시되, 내가 바나바와 사울을 불러서 시킬 일을 위해 그들을 내게로 구별하라, 하시니 그들이 금식하며 기도하고 두 사람에게 안수한 뒤 그들을 보내니라(행13:1-3).
따라서 ‘크리스천’이라는 명칭이 안디옥에서 유래된 것같이 성경에 언급된 첫 번째 전도 여행 또한 안디옥에서 나왔음이 명백합니다. 이 위대한 임무를 완수하고 나서 어느 누구도 예루살렘에 보고서를 보내거나 그 도시를 관광하는 것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단지 안디옥으로 되돌아왔을 뿐입니다.
[그들이] 말씀을 버가에서 선포하고 앗달리아로 내려가 거기서 배 타고 안디옥을 향해 떠나니 이곳은 그들이 이룬 그 일을 위하여 전에 하나님의 은혜에 그들을 맡겼던 곳이더라. 그들이 도착하여 교회를 함께 모아 하나님께서 자기들과 함께 행하신 모든 일과 또 그분께서 이방인들에게 믿음의 문을 열어 주신 것을 되풀이하여 말하고 거기서 제자들과 함께 오랫동안 머무니라(행14:25-28).
안디옥에 대한 성경의 마지막 두 번의 언급을 살펴보면 안디옥에 거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 가운데 거하는 것임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9) 행15:23-27에서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들은 이방인 신자들에 관한 결정 사항을 통지하기 위해 두 명의 대표를 안디옥에 보내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들이 그들 편에 이같이 편지하니라. 사도들과 장로들과 형제들은 안디옥과 시리아와 길리기아에 있는 이방인들에 속한 형제들에게 문안하노라. 우리가 들은즉 우리에게서 나간 어떤 자들이 말로 너희를 혼란에 빠뜨리고 너희 혼을 뒤엎으며 이르되, 너희가 반드시 할례를 받고 율법을 지켜야 한다, 하나 우리는 그들에게 그런 명령을 준 적이 없으므로 한 마음으로 모여서 우리가 사랑하는 바나바와 바울과 함께 택한 사람들을 너희에게로 보내는 것을 좋게 여겼나니 그들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하여 생명의 위험을 무릅쓴 자들이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유다와 실라를 보내었으니 그들도 너희에게 같은 것들을 입으로 전하리라(행15:23-27).
임무를 마친 후에 유다는 예루살렘으로 돌아갔고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성경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라는 안디옥에 남기로 하였고 바울의 두 번째 전도여행의 선교 동역자로서 성경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됩니다.
(10) 물론 두 번째 전도여행도 예루살렘에서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행15:40이 설명해 주는 대로 선교사를 파송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던 안디옥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안디옥의 어떤 매력적인 점으로 인해 하나님께서 신약 교회의 중심부로 그곳을 선택하셨을까요? 안디옥은 로마, 아테네 그리고 알렉산드리아처럼 문화의 중심지였지만 그 스스로를 이방종교, 이방학문과 이방철학에 빠지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안디옥이 위에서 언급된 도시들이나 심지어 예루살렘과도 달리 그 당시 사람들이 알고 있던 세계의 거의 정확한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고 동서 무역로의 교차 지점에 세워졌다는 점에도 비중이 주어졌을 것입니다. 심지어 안디옥은 오론테스 강을 경유한 항구도시임을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기독교의 본거지로서의 활발한 기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속성들입니다. 아마도 바울 서신들의 자필 원본들의 대부분이 안디옥에서 기록되었을 것입니다.
2세기에 루시안(Lucian)이라는 한 제자가 안디옥에서 성경학교를 세웠습니다. 루시안은 이교도 철학을 불신하기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그의 학파는 성경의 신성과 권위를 찬미했으며 성경을 알렉산드리아의 철학자들이 가르쳤던 것처럼 상징적 비유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이러므로 안디옥은 성경 필사본의 바른 계열의 기원 도시일 뿐 아니라 성경을 문자 그대로 그리고 완전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이데올로기의 근원지이기도 합니다.
오늘날 마음은 선하나 ‘알렉산드리아식’ 교육을 받은 수많은 목회자들이 안디옥 성경인 킹제임스 성경을 높이고는 있지만 마음속으로는 여전히 “성경이 완전할 수 없다.”는 알렉산드리아식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상 이러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식 확신 때문에 그들은 시편 12:6-7에 나타난 하나님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지구상에 완전한 성경이란 있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옳지 못한 태도로 옳은 책(성경)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그들의 이집트 선조들이 행했던 것과 똑같은 실수들과 개악들을 되풀이할 수밖에 없도록 예정되었음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누가 성경의 충고를 무시하고도 실패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웠던 사람 솔로몬은 이집트를 멀리하고 말(horse)을 늘리려고 이집트에 내려가지 말라(신17:16)는 성경의 충고를 무시했습니다. 왕상3:1에서 그는 이집트 왕 파라오의 딸과 혼인했습니다. 왕상10:28에서 그는 이집트에서 말을 사왔습니다.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습니까? 왕상11:3-4에서 우리는 그의 마음이 하나님을 따르는 것으로부터 돌아섬을 보게 됩니다. 5-8절에서 그는 다른 신들을 숭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9-43절에서 하나님께서 그에 대한 심판을 선포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이 말을 사기 위해 이집트에 내려가기를 원치 않으셨다면 우리가 어찌 감히 그곳에 내려갈 수 있겠습니까?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웠던 솔로몬도 이집트에 대한 성경의 관점을 무시하고서는 일들을 잘 해나갈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떻겠습니까? 여러분이 솔로몬보다 더 지혜롭습니까?
2009-05-09 16:17:58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