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성전 근처의 연못.
이곳에는 근처에 건축물이 있거나 혹은 그곳을 덮은 건축물이 있었으며 그래서 아픈 사람들이 물의 효능을 얻으려고 나와서 거기 거했다(요5:2).
2009-06-13 23:58:32 | 관리자
요르단의 동쪽 둑에 있던 마을.
침례자 요한은 여기서 침례를 베풀었는데(요1:28) 아마도 이곳은 삿7:24의 벳바라와 같은 곳일 것이다.
2009-06-13 23:57:57 | 관리자
올리브 산 동쪽 능선에 있던 마을.
신약시대의 땅 지도 참조(39). 이곳은 예루살렘에서 남동쪽으로 3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여리고로 가는 길에 있었으며 예수님께서는 종종 이곳을 방문했다(마21:17; 막11:1, 12; 눅19:29). 마리아와 마르다는 죽은 자들로부터 일어난 자기들의 오라비 나사로와 함께 여기에 살았다(요11:1-57). 여기서 마리아는 주님을 장사지내는 일을 대비하여 그분께 기름을 부었으며(요12:1-50) 그리스도께서는 또한 자신의 제자들이 보는 가운데 이곳 근처에서 승천하셨다(눅24:50).
2009-06-13 23:57:25 | 관리자
시리아 소바의 도시. 다윗은 이곳을 점령했으며 이곳은 디브핫이라 불리기도 했다(삼하8:8; 대상18:8).
2009-06-13 23:56:50 | 관리자
크레테의 남단 부근의 도시.
이곳에는 항구가 있었으며 바울은 가이사랴에서 로마로 항해하면서 여기 근처까지 갔다(행27:12).
2009-06-13 23:56:22 | 관리자
야곱과 라헬의 막내아들(창35:16-18).
라헬은 그를 낳은 뒤 곧바로 죽었고 마지막으로 그를 베노니 즉 슬픔의 아들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야곱은 그를 ‘내 오른손의 아들’이란 뜻을 지닌 베냐민으로 부르고 자기가 사랑하던 아내와 베냐민의 형 요셉으로 인해 그를 매우 사랑했으며 그래서 양식을 사러 이집트로 아들들을 보낼 때에도 베냐민을 보내는 것을 극구 반대했다(창42:38). 처음에 베냐민 지파는 작았으며 재판관들의 시대에는 사악한 행위로 인해 거의 멸절될 뻔했지만(삿20) 그 뒤에 크게 되었다(대하14:8; 17:17). 베냐민은 용맹스러웠으며(창49:27) 주님 곁에 거하면서 사랑을 받았는데(신33:12) 그 이유는 베냐민의 영토가 유다와 닿아서 거룩한 도시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와 베냐민 지파 지도 참조(19, 24). 나중에 북쪽의 열 지파가 반역을 일으켰을 때에 베냐민은 유다 지파에게 붙었고 그 이후로 두 지파는 항상 연합하여 유다는 곧 베냐민을 포함했다(왕상11:13; 12:21; 스4:1; 10:9). 사울 왕과 다소의 사울은 베냐민 지파 출신이다(빌3:5).
2009-06-13 23:55:53 | 관리자
동방 사람들의 응접실의 긴 의자에는 베개들을 두었다.
겔13:18-19에 나오는 사치품 베개들은 안락과 관능미를 부추기는 물건으로서 사람의 양심을 잠들게 하는 물건의 상징이었다.
2009-06-13 23:55:18 | 관리자
르말랴의 아들. 그는 이스라엘 왕 브가히야의 군대 장군이었으나 그를 대적하여 반역하고 사마리아의 궁전에서 그를 죽인 뒤 20년 동안 통치하였다. 통치 후반부에 그는 다마스커스의 시리아 사람들과 연합하여 유다의 아하스 왕을 공격하였고 이에 아하스는 아시리아의 도움을 구하였다. 그 결과 다마스커스는 아시리아의 디글랏빌레셀에게 점령되었고 요르단 동쪽과 갈릴리 바다 북쪽의 이스라엘 땅도 점령되었으며 그 안의 거주민들은 포로로 잡혀갔다. 그 뒤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베가를 대적하며 음모를 꾸며 그를 죽이고 통치하였다(왕하15:25-38; 16:1-9; 사7:1-25; 8:1-9; 17:1-14).
2009-06-13 23:54:48 | 관리자
반 세겔(출38:26). 20세 이상으로 계수된 이스라엘 사람들은 성전 봉사를 위해 반 세겔의 세금을 냈다.
2009-06-13 23:54:16 | 관리자
하나님의 판단에 의한 공의와 정의의 표현.
우리말 성경에서 이것은 율법과 법규 그리고 명령 등과 함께 쓰일 때 법도로 번역되었으나(신4:1; 5:1; 6:1) 많은 경우 원래의 뜻을 반영하여 판단 혹은 심판으로 번역되었다. 이것은 말이나(신5:1) 행동(출6:6; 계16:7) 혹은 널리 알릴 결정(시36:6) 등에 의해 하나님의 판단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것이다.
2009-06-13 23:53:49 | 관리자
치리자나 정부가 내는 법이나 명령.
성경에서 이 말은 특히 초자연적인 치리자이신 주 하나님의 법과 명령을 포함하는 용어이다(신4:1; 5:1; 6:1; 7:11).
2009-06-13 23:53:20 | 관리자
원어에서 이 말은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법을 어기는 것 즉 범법이고(롬5:15, 17) 다른 하나는 걸려 넘어지게 하는 것 즉 실족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마5:29; 18:6-9). 후자의 경우 죄 지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마15:12; 요6:61; 롬9:33; 갈5:11).
2009-06-13 23:52:49 | 관리자
기존 우리말 성경의 속건제. 희생물 참조.
2009-06-13 23:52:13 | 관리자
바닥없는 구덩이 참조.
2009-06-07 01:24:24 | 관리자
이롭거나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없음.
2009-06-07 01:24:00 | 관리자
이것은 헛된 꿈을 꾸는 것과는 다르며 병으로 인해 혹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을 때에 몸의 감각들이 소진되어 영과 거의 분리되는 상태를 뜻하고 성경에는 이에 대한 사례가 여럿 있다. 구약시대의 발람(민24:4, 16), 베드로와 바울(행10:10; 22:17; 고후12:1-4)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창2:21-24; 15:12-21; 욥4:13-21 비교).
2009-06-07 01:23:36 | 관리자
소아시아의 북서부 지방. 이곳의 동서남북에는 비두니아, 에게 해, 프로폰티스, 루디아가 있었다.
사도 바울은 유럽으로 1차 선교 여행을 떠날 때 여기서 복음을 선포하였다(행16:7-8).
2009-06-07 01:23:11 | 관리자
이름이 나지 않음.
2009-06-07 01:22:43 | 관리자
무릎을 꿇는 것은 몸을 굽히고 엎디어 하나님의 복을 구하는 것을 뜻하며(대하6:13; 시95:6; 단6:10; 마17:14) 그래서 이것은 종종 복 받는 것을 말한다(창27:4-10; 레9:22-23; 민24:1; 신33:1). 낙타로 하여금 무릎을 꿇게 하는 것은 낙타가 쉬게 하는 것이다(창24:11). 또한 무릎 꿇는 것은 경배의 행위이다(왕상19:18). 무릎 꿇고 기도하는 것은 오래 전부터 있던 관습이다(대하6:13; 시95:6; 단6:10; 눅22:41; 행7:60; 21:5; 엡3:15). 무릎은 상징적으로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욥4:4; 히12:12). 공포에 사로잡히면 무릎이 떨린다(나2:10).
2009-06-07 01:22:07 | 관리자
루기아의 마을. 바울은 여기서 알렉산드리아의 배를 타고 떠나 로마로 향하였다(행27:5).
사도 바울의 로마 이송 지도 참조(44).
2009-06-07 01:21:35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