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2612개
  I. 납달리에 있던 도피 도시. 이곳은 메롬 호수에서 약 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수19:37; 20:7). 이스라엘의 재판관 바락이 여기서 태어났다(삿4:6).   II. 유다의 남부 도시(수15:23). III. 잇사갈의 도시(대상6:72).    
2009-06-06 03:11:38 | 관리자
  이스마엘의 아들(창25:13). 그는 아라비아 사막에 거하던 게달 족속의 조상인데 그들은 수가 많고 힘이 강했지만 좋은 명성을 갖지 못했다(시120:5). 그들의 이름은 아라비아 사막과 그 안에 거하는 거주민들을 나타내었다(사21:16-17; 42:11). 그들의 검은색 낙타털 장막은 멋있는 광경을 만들었다(아1:5).    
2009-06-06 03:11:02 | 관리자
  긴네렛의 변화 형태. 긴네렛 참조. ‘게네사렛 땅’(마14:34; 막6:53)은 갈릴리 바다의 서쪽 해안에 있던 5-6킬로미터 길이의 땅이었다. 이곳은 비옥하고 아름다웠으며 아마도 여기에 주님이 자주 방문한 가버나움과 벳새다가 있었을 것이다.    
2009-06-06 03:10:31 | 관리자
  I. 에노스의 아들, 마할랄레엘의 아버지(창5:9; 대상1:2). II. 아르박삿의 아들, 셀라의 아버지(눅3:36). 이 가이난은 구약의 다른 족보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창10:24; 11:12; 대상1:24 참조).    
2009-06-06 03:10:04 | 관리자
  성경에는 여러 종류의 검 혹은 칼이 나온다. 단검은 50센티미터 정도였고 칼집에 넣어 띠로 묶어 가지고 다녔다(삼상17:39; 삼하20:8). 칼은 상징적으로 전쟁과 살육(레26:25; 사34:5), 하나님의 심판(신32:41; 시17:13; 렘12:12; 계1:16), 권능과 권위(롬13:4) 등을 나타냈으며 그래서 하나님의 말씀이나(엡6:17; 히4:12) 그리스도(사49:2; 계1:16), 하나님의 공의(신32:41; 슥13:7), 하나님의 보호(신33:29), 심한 재난(겔5:2, 17; 14:17; 21:9), 심한 정신적 고통(눅2:35), 사악한 자(시17:13), 그들의 혀(시57:4; 64:3), 그들의 학대하는 영(시37:14), 그들의 종말(잠5:4)의 상징으로 쓰였다. 칼을 뽑는 것은 전쟁과 파멸의 시작을 뜻하였고(레26:33; 겔21:3-5) 칼집에 넣는 것은 평화와 우정을 뜻하였다(렘47:6). 검으로 사는 것은 약탈하는 것을 뜻하며(창27:40) 검이 떠나지 않는 것은 영원한 재앙을 뜻한다(삼하12:10). 무기 참조.    
2009-06-06 03:09:40 | 관리자
  걸려 넘어지게 하는 모든 것 혹은 사람을 죄로 인도하는 것. 이 말은 문자적인 의미로도 쓰이고(레19:14) 상징적인 의미로도 쓰인다(렘6:21; 습1:3). 그리스도는 믿지 않는 유대인들에게 걸림돌이었고 지금도 믿지 않는 모든 사람에게 걸림돌이다(고전1:23). 그리스도인들도 다른 약한 사람들을 희생해서 자기의 자유를 찾으려 하면 걸림돌이 된다(고전8:9). 범죄 혹은 실족 참조.    
2009-06-06 03:08:53 | 관리자
  걷는다는 말은 종종 상징적으로 사람의 생활양식 혹은 영적 성품, 관계 등을 뜻한다(겔11:20). 그래서 사람은 육적인 사람으로 혹은 영적인 사람으로 걸으며(롬8:1) 하나님과 함께 걷기도 하고(창5:22) 무지한 가운데 혹은 알면서 죄 가운데서 걷기도 한다(창5:24; 요일1:6-7). 또 고통의 불 속에서 걷기도 하고(사43:2) 그리스도의 은혜와 빛 가운데서 걷기도 한다(시89:15; 계3:4).    
2009-06-06 03:08:26 | 관리자
  ‘건물을 짓는다’는 말은 성경에 여러 군데 나오며 상징적으로 하나님은 다음과 같은 일에서 건축자라 불린다.   (1) 민족을 세우는 일(시69:35; 102:16; 렘12:16), (2) 다윗의 왕좌를 세우는 일(시89:4), (3) 예루살렘을 세우는 일(시147:2), (4) 유다 혹은 이스라엘을 다시 세우는 일(사58:12; 61:4; 65:21; 렘31:4, 28; 42:10; 겔36:36; 암9:11), (5) 건축자들이 거부한 모퉁잇돌을 세우는 일(시118:22-23; 마21:42; 막12:10; 눅20:17; 행4:11; 벧전2:7).   신약성경은 하나님이 건축자로서 그리스도라는 유일한 기초 위에 그리스도인들을 세움을 보여 주며(고전3:9, 16; 마16:18; 벧전2:5)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지어진다(엡2:22; 골2:7).    
2009-06-06 03:07:58 | 관리자
  주님은 신자의 얼굴의 건강이며(시42:11; 43:5) 주님을 두려워하는 것과 그분의 말씀들 역시 우리 몸의 건강이다(잠3:8; 4:22). 예수님은 건강한 자를 부르러 오지 않고 병든 자를 부르러 왔다(마9:12; 막2:17). 사도 요한은 신자의 혼이 잘 됨같이 신자가 형통하고 건강하기를 바랐다(요삼2).    
2009-06-06 03:07:14 | 관리자
  법정에서 거짓으로 증언하는 것. 하나님의 율법은 거짓 증언을 엄격히 금하며(출20:16; 신5:20; 마19:18) 주님은 이것을 크게 미워하신다(잠6:19). 거짓 증인은 위증으로 자기가 상대방에게 해를 입히려 한 대로 형벌을 받아야 했다(신19:16-21). 아합의 아내 이세벨은 나봇의 포도원을 빼앗으려고 거짓 증인들을 고용하여 그를 모함하고 살해하였다(왕상21:9-13). 그리스도께서 처형을 당할 때에도 제사장과 공회는 그분을 사형에 처하기 위해 많은 거짓 증인을 구했다(마26:59; 막14:56).    
2009-06-06 03:06:17 | 관리자
  하나님으로부터의 부르심 없이 스스로를 사도로 위장하는 사람(고후11:13). 특히 초대 교회에는 자기를 그리스도의 사도로 가장하여 이득을 보려고 몰래 교회에 기어들어오는 자가 많았다. 현재에는 사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전통이나 영적 선물(은사) 등을 통해 사도 계승권을 주장하는 자들 역시 현대판 거짓 사도라 할 수 있다(계2:2-4).  
2009-06-06 03:05:44 | 관리자
  성경에는 예로부터 거짓말을 가지고 하나님의 백성을 미혹하는 자들이 많았으며 그들은 다 거짓 대언자라 불린다(행13:6; 벧후2:1; 요일4:1). 특별히 신약성경은 말세에 이런 자들이 세상에서 많은 사람들을 거짓으로 인도할 것을 잘 보여 준다. 그들은 양의 옷을 입고 사람들에게 나아오나 속으로는 약탈하는 이리이며(마7:15) 큰 표적과 이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속일 것이다(마24:11, 24). 한편 성경은 7년 환난기에 사탄 마귀와 그의 아들 적그리스도와 함께 ‘사탄의 삼위일체’를 구성하여 수많은 사람을 지옥으로 이끌 거짓 대언자에 대해 말한다. 사탄의 삼위일체 선도 참조(71). 요한은 바다에서 올라오는 짐승을 보고 그것을 묘사한 후 다시 땅속에서 올라오는 다른 짐승을 보았다(계13:11-17). 그것은 양처럼 생긴 짐승이었으며 용처럼 말을 한다. 이 두 번째 짐승의 호칭이 바로 거짓 대언자이다(계16:13; 19:20; 20:10). 사탄과 적그리스도가 인격체인 것처럼 거짓 대언자도 인격체이다. 그가 거짓 대언자라고 불린 것으로 보아 그는 적그리스도가 아니다. 왜냐하면 마24:24에서 그리스도께서는 거짓 그리스도와 거짓 대언자를 구분하셨기 때문이다. 용과 짐승 그리고 거짓 대언자는 하나님의 삼위일체를 흉내 낸 ‘사탄의 삼위일체’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용은 아버지 곧 사탄이고 짐승은 ‘멸망의 아들’인 적그리스도이며 거짓 대언자는 ‘용-아버지’와 ‘용-아들’에게서 나와 용처럼 말하는 ‘대적하는 영’이다. 용은 대적하는 신이고 짐승은 대적하는 그리스도이며 거짓 대언자는 대적하는 영으로서 이 셋이 모두 불 호수에 산채로 던져진다는 사실(계20:10)은 그들이 ‘사탄의 삼위일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거짓 대언자는 왕이 아니며 그는 자기 자신을 높이지 않고 첫 번째 짐승인 적그리스도를 높인다. 그와 첫 번째 짐승과의 관계는 성령님과 그리스도와의 관계와 동일하다. 그는 땅과 그 안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첫 번째 짐승을 숭배하게 하며 생명을 주는 권능을 가지고 성령님을 흉내 낼 것이다. 거짓 대언자는 또한 이적을 행할 것이며 그의 이적 가운데는 하늘에서 불이 내려오게 하는 것도 있을 것이다. 거짓 대언자에게 이 같은 능력을 부여하는 사탄이 이 일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은 욥1:16에서 확실히 드러난다. 또한 거짓 대언자는 짐승의 형상을 만들도록 사람들에게 명령하고 그 뒤 그 짐승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그 짐승으로 하여금 말을 하게 만들며 그 형상에게 경배하지 않는 모든 사람을 죽이도록 할 것이다. 거짓 대언자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그들의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이 표나 그 짐승의 이름이나 그의 이름의 숫자를 지닌 사람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물건을 사거나 팔 수 없게 할 것이다(계13:16-17). 그러나 7년 환난기의 끝에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강림이 있고 이때에 사탄인 용은 끝없이 깊은 구덩이 속으로 떨어지며(계20:1-3) 짐승인 적그리스도와 거짓 대언자는 산채로 불 호수에 던져짐으로 하나님을 대적하는 일을 마감할 것이다(계19:20).    
2009-06-06 03:05:17 | 관리자
  우리의 구원자는 나중에 거짓 메시아가 올 것을 예언했으며(마24:24) 그 말씀은 그대로 성취되었다. 지금도 대부분 이단 종파의 주동자들은 자신을 가리켜 그리스도라고 한다. 그리스도, 적그리스도 참조.  
2009-06-06 03:04:35 | 관리자
  다른 사람을 속이기 위한 말. 대부분의 거짓말의 동기는 상대방에게 해를 끼치거나(창3:1-13) 두려움 혹은 교만으로 인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마26:69-75; 행5:1-11). 성경은 거짓말하는 것을 강조해서 정죄한다(출20:16; 엡4:25). 거짓말은 하나님의 본성에 위배되므로 옳지 않으며(딛1:2; 히6:18) 진실을 이야기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것이다(롬1:25; 요일1:6). 사람이 진리를 말하면서도 남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성경은 그리스도인이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라고 권면한다(엡4:25). 예수님은 마귀가 처음부터 살인자요, 거짓말쟁이이며 거짓의 아비라고 규정하셨다(요8:44). 사도 요한은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심을 부인하는 자가 거짓말하는 자이며(요일2:22) 또 하나님과 사귄다 하고 그리스도를 안다고 하면서 어두운 가운데 걸으며 명령을 지키지 아니하는 자가 거짓말하는 자라고 말한다(요일1:6; 2:4). 구약의 아간과 신약의 아나니야와 삽비라는 성령 하나님께 거짓말했다가 죽임을 당했으며 이것은 모든 성도들을 위한 경고의 본보기이다(수7:22-26; 행5:1-11).    
2009-06-06 03:04:08 | 관리자
  구약성경은 자기를 주인으로 여기고 주 하나님께 교만한 마음을 가지는 것을 근본적인 거짓으로 표현한다(사28:15). 이 경우 거짓은 그 사람의 말뿐만 아니라 그 사람 전체를 포함한다. 이처럼 거짓에 매여 사는 사람은 거짓으로 말미암아 잘못을 범하고(암2:4) 부어 만든 우상을 섬기며(렘10:14) 거짓 꿈을 꾼다(슥10:2). 이들은 또한 자기들의 이득을 위해 주 하나님이 말씀하지 않은 것을 거짓으로 말하며 두 마음을 품고 주의 이름으로 대언하므로 성경은 그들을 거짓 대언자라 부른다(시12:2; 렘29:9). 다시 태어나지 않은 자연인은 본질상 마귀의 자녀로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고 창조주보다 창조물을 더 경배하며 섬긴다(롬1:25). 헛된 것 참조.    
2009-06-06 03:02:55 | 관리자
  노아 시대에는 하나님의 아들들인 천사들과 사람들의 딸들의 불법적인 결합에 의하여 거인들이 생겼으며(창6:1-4) 홍수 이후에도 가나안 땅에 거인들이 있었는데(창14:5; 수17:15) 그들은 모압과 암몬 족속의 땅에 정착해서 살았다(신2:10, 11, 20). 바산 왕 옥 역시 거인 종족이었다(신3:11, 13). 사해의 서쪽 헤브론 근처에는 아낙 족속이라는 거인들이 살았으며(민13:33; 수11:21-22) 후대에는 골리앗과 그의 종족들이 여기에서 나왔다(삼상17:4; 대상20:4-8). 아낙 족속, 골리앗, 천사, 하나님의 아들들 참조.    
2009-06-06 03:01:59 | 관리자
  물건을 비치기 위한 금속.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놋, 금, 은 등을 연마해서 거울로 썼으며 이집트 탈출 때에 이스라엘 여인들은 이런 거울을 가지고 나왔다. 유리 거울은 그 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 개발되었다. 성막에서 제사장들이 손을 씻던 물두멍은 놋 거울로 만들었다(출38:8). 이처럼 잘 연마된 금속 표면은 아주 좋은 거울이었으나 표면이 완전하지 않았으므로 조금은 찌그러진 상을 만들었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바울은 “우리가 지금은 희미하게 본다.”고 말했을지 모른다(고전13:12). 욥37:18은 거울을 하늘에 비하고 있지만 금속 거울은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상이 뚜렷하지 않았다(약1:23).    
2009-06-06 03:01:32 | 관리자
  히브리말에서 반역 혹은 거역은 죄, 불법과 함께 세 가지 주요 사악함 가운데 하나였다(사1:2-4). 특별히 대언서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거역하는 내용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거역 행위로 인하여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인격적 관계가 단절되고 질투하는 하나님은 이런 자들을 심판하신다(겔2:3; 20:8). 구약성경의 이스라엘의 예를 통해 사람이 얼마나 쉽게 하나님을 배반하고 떠나는 악한 존재인지 알 수 있다.    
2009-06-06 03:01:02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