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출신의 크리스천 사역자(갈2:3).
그는 바울의 선포로 회심하여 그의 동역자가 되었고(딛1:4; 고후8:23) 안디옥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사역에서 바울과 바나바와 동행하였으며(행15:2; 갈2:1) 후에 고린도에 가서 성공적으로 사역을 완수하였다(고후8:6; 12:18). 그는 드로아에서 바울과 합류하지 않고 빌립보에서 합류하였으며(고후2:12-13; 7:6) 후에 유대의 가난한 크리스천들을 구제하는 일과 관련해서 고린도에서 다시 사역을 시작하였다(고후8:6, 16-17). 그로부터 8-9년 뒤에 그는 크레테에서 그곳의 교회들을 세우는 일을 하였으며(딛1:5) 에베소에 있던 바울로부터 디도서를 받고 니코폴리스로 오라는 부탁을 받았다(딛3:12). 그는 바울이 마지막으로 로마에서 옥에 갇히기 전에 니코폴리스 부근의 달마디아로 갔다(딤후4:10). 그는 디모데처럼 성실한 하나님의 일꾼이었고 디도서는 디모데전후서처럼 목회자를 위한 서신이다.
2009-07-16 02:03:25 | 관리자
그는 여러 부족들과 함께 그돌라오멜과 연합하여 싯딤 골짜기에서 싸웠고 후에 아브람에게 패배를 당하였다(창14:1-6).
2009-07-16 02:02:58 | 관리자
미디안의 지도자인 수르의 딸.
비느하스는 이 여인과 이스라엘의 지도자 시므리가 음행하는 것을 보고 창으로 그들을 찔러 죽였다(민25:6-8, 15, 18).
이것은 하나님의 거룩함을 보여 주는 두려운 실례이다.
2009-07-16 02:00:47 | 관리자
소아시아의 남서쪽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작은 섬. 바울은 예루살렘으로 가면서 이곳을 통과했다(행21:1).
2009-07-16 02:00:16 | 관리자
향기가 있어 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한해살이 식물.
광야에 내린 만나는 이 식물의 씨와 비슷하였다(출16:31; 민11:7). 만나 참조.
2009-07-16 01:59:52 | 관리자
I. 야곱부터 모세에 이르기까지의 이스라엘 자손이 거하던 이집트의 한 지역.
이집트 제국 지도 참조(14). 이곳은 나일 강까지 이른 것으로 보이는데(출1:22; 2:3) 그 까닭은 유대인들이 물고기를 많이 먹었고 또 인공 관개를 했기 때문이다(민11:5; 신11:10). 이곳은 헬리오폴리스와 라암셋 근처에 있었고 또 이집트의 수도에서도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창45:10; 47:11; 출8:1-12:51). 목축을 업으로 삼은 유대인들에게는 이곳이 그 땅의 좋은 부분이었으며(창46:34) 그들은 여기서 크게 번성하여 형통하였고(창47:27) 동시에 후에는 크게 고통을 받고 하나님께 잊혀진 채 지내게 되었다(출8:22; 9:26). 물론 그들 가운데 그리고 그들 주변에는 이집트 사람들도 거주하였다.
II. 유다의 산지 안에 있던 도시와 그 주변(수10:41; 11:16; 15:51).
2009-07-16 01:59:27 | 관리자
아시리아의 디글랏빌레셀과 살만에셀이 포로로 잡은 이스라엘 자손을 쫓아 보낸 지역(왕하17:6; 대상5:26; 사37:12).
2009-07-16 01:58:56 | 관리자
향내 나는 꽃.
이것은 ‘헤너’라고도 하며(아1:14; 4:13) 동방의 여인들은 이 꽃을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손톱과 발 그리고 손에 빨간색 물을 들이곤 하였다.
2009-07-16 01:58:34 | 관리자
구약성경에서 이 말은 주로 사람의 죄를 시인하는 데 쓰였다(레5:5; 욥40:14; 시32:5).
솔로몬 왕은 성전을 봉헌하면서 “주의 이름을 시인한다.”는 표현을 사용하는데(왕상8:33-35; 대하6:24-26) 이것은 이스라엘이 주 하나님께만 죄를 지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형벌도 주님으로부터만 나옴을 시인하는 것이다. 한편 신약에서 이 말은 ‘같은 것을 말하다’를 뜻하며 그래서 부인하지 않고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 말은 어떤 사람이 회심한 것을 인정하고 밝히는 의미로도 쓰였다(요12:42; 롬10:9-10; 딤전6:13). 어떤 이들은 요일1:8에 따라 사람이 구원받으면 더 이상 죄의 용서를 구하면 안 되고 단지 죄를 고백하기만 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죄를 인정하는 것은 곧 기술적으로 죄의 용서를 구하는 것이다. 우리가 죄 없다 하면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다(요일1:8). 심지어 구원받은 바울도 여전히 죄를 짓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내가 죄인들 중에 우두머리이다.”라는 현재형 고백을 했다(딤전1:15).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이 주님께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은 관계의 회복이 아니라 교제의 회복을 위한 중요한 것이다. 회개 참조.
2009-07-16 01:58:04 | 관리자
배의 뒤쪽.
예수님은 폭풍우 속에서도 고물에서 주무셨다(막4:38). 이 말은 바울이 탔던 배의 조난과 관련해서도 나온다(행27:29, 41).
2009-07-16 01:57:36 | 관리자
고대에 왕이나 치리자에게 조언을 주던 사람(스4:5; 단3:2-3).
2009-07-16 01:57:09 | 관리자
고대 사해의 남부 지역에 가까운 싯딤의 비옥한 평야 골짜기에 있던 도시들 가운데 하나.
이곳은 사악함으로 인해 소돔과 함께 하나님의 심판을 받고 유황과 불로 소멸되었다(창19:23-25). 소돔 참조.
2009-07-16 01:56:47 | 관리자
I. 야벳의 아들(창10:2-3; 대상1:5; 겔38:6).
그는 아스그나스와 리밧과 도갈마의 아버지였으며 흑해 근처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전 700년경에 그의 후손들의 일부가 소아시아로 이주하였다.
II. 대언자 호세아의 아내.
그는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창녀 고멜과 결혼하였는데 이것은 유대인들에게 그들이 하나님을 떠나 영적으로 간음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여전히 그들을 사랑하므로 회개하고 그분께 돌아갈 것을 촉구하기 위함이었다(호1:1-11).
2009-07-16 01:56:16 | 관리자
아가야 지방의 수도. 에게해 지도 참조(41).
고린도는 육지 쪽으로 조금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고 서쪽과 동쪽에 레카움과 겐그레아라는 항구가 있었다. 고린도는 좋은 위치에 있었으므로 상업적으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고 그래서 동서의 무역상들이 고린도를 통해 무역을 했다. 또한 이곳은 펠로폰네소스의 관문이고 남 그리스와 북 그리스 사이의 연결 도시였으며 그 결과 그리스에서 가장 부유하고 사람이 많은 도시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런 재물로 인해 자만심과 부도덕 그리고 동성연애 등의 사악한 죄악이 이곳에 만연하게 되었고 특별히 이곳의 주민들은 음란한 것을 허용하고 비너스 숭배를 통해 그것을 거룩한 것으로 생각했으며 그 결과 비너스를 위한 창녀들이 공공연히 생겨났다.
고린도는 주전 146년에 로마 사람들에 의해 파괴되었고 카이사르 율리우스는 그곳에 식민지를 세웠다. 이렇게 해서 도시의 영화는 부활했지만 그와 동시에 이전의 악한 일들도 다시 살아났다. 사도 바울은 주후 52년경에 고린도에 도착해서(행18:1)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와 함께 장막을 지으며 거했다. 이렇게 스스로 일하면서 그는 일 년 반 동안 고린도에 머물며 처음에는 유대인들에게, 후에는 이방인들에게 성공적으로 복음을 선포했다. 이 기간에 그는 데살로니가전후서를 기록했고 그 후에 다시 여기를 방문해서 갈라디아서와 로마서를 기록했다. 어떤 이들은 - 성경에 나와 있지 않지만 - 그가 중간에 잠시 이곳을 방문했다고 주장한다(고후13:1과 고후1:15; 2:1; 12:14, 21; 13:2 비교). 아볼로는 고린도에서 바울과 함께 사역했고 아굴라와 소스데네가 초기의 사역자로 일했다(행18:1; 고전1:1; 16:19).
2009-07-16 01:55:45 | 관리자
하나님이나 성전에게 아주 바친 거룩한 예물(마23:18).
우리 주님은 유대인들이 자기 부모들에게 드려서 그들이 유용하게 써야 할 것을 고르반으로 지정한 잔인한 죄악을 지적하셨다. 아들은 물품을 필요로 하는 부모에게 “무엇이든 내가 드려 부모님을 유익하게 할 것이 고르반 곧 예물이 되었나이다.”(막7:11)라고 말하면서 그것을 하나님께 아주 바쳤다고 말했다. 유대인 박사들의 이 같은 가르침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이처럼 사악한 서약을 하게 하였고 그 결과 그들이 부모를 위해 어떤 유익한 것도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분명히 이것은 본성과 이성에 맞지 않으며 부모를 공경하라는 하나님의 명령과도 정면으로 부합된다(마15:3-9). 바리새인들과 탈무드를 가르치는 자들은 심지어 채무자가 그 빚을 하나님께 드렸다고 말하게 함으로써 채권자의 권리를 박탈해 버렸고 그 결과 채무자의 재산은 더 이상 그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것이 되어 채권자는 아무 것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2009-07-16 01:55:15 | 관리자
부피 단위로 호멜과 같으며 약 220 리터이다(6.52부셀, 10에바, 10바스).
2009-07-16 01:54:50 | 관리자
페르시아의 캄비세스 왕의 아들.
그는 자기 삼촌인 메대 사람 다리오를 도와 소아시아를 정복했고 후에는 바빌론을 점령하고 아시리아 왕국을 초토화시켰다. 그는 자기의 사촌 누이와 결혼하여 오랫동안 페르시아와 메대의 왕으로 통치하였다. 이사야는 메대 사람 고레스가 유다 백성을 구출하고 회복시킬 것을 대언했으며(사44:28; 45:1-7) 그는 실제로 이것을 성취했고(대하36:22-23; 스1:1-4) 다니엘은 그의 신하 중 하나였다(단6:28).
파사르가대에 있는 고레스의 무덤
2009-07-16 01:54:25 | 관리자
바다에 사는 가장 큰 포유동물(창1:21; 욥7:12).
요나를 삼킨 큰 물고기는 고래였다(욘1:17; 마12:40). 주후 1600년경에는 바다에 사는 생물을 다 fish로 표현하였으며 따라서 고래를 큰 물고기로 표현한 것은 아무 문제가 없다. 요나는 고래 뱃속에서 죽었다가 다시 부활해서 우리 주님의 부활의 예표가 되었다.
2009-07-16 01:53:58 | 관리자
쟁기로 밭에 만든 좁은 도랑.
대언자 호세아는 하나님의 백성의 죄로 인해 하나님의 심판이 밭고랑의 독초같이 일어난다고 경고한다(호10:4). “밭가는 자들이 내 등을 갈아 자기들의 고랑들을 길게 내었다.”(시129:3)는 말씀은 이스라엘의 압제자들이 채찍으로 이스라엘 백성의 등을 터지도록 치는 것을 묘사한다.
2009-07-16 01:53:25 | 관리자
갈릴리의 마을. 이곳은 갈릴리 바다의 북서쪽에 위치했고 가버나움과 벳새다와 가까웠다.
그리스도께서는 이곳 사람들이 회개하지 않고 믿지 않으므로 그들을 크게 책망했다(마11:21; 눅10:13).
2009-07-16 01:52:58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