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집의 지붕을 두른 난간.
이것은 평평했으며 상쾌한 바람 때문에 낮에는 쉬는 곳으로 밤에는 잠자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모세의 법은 모든 집에 난간을 둘 것을 명한다(신22:8). 집 참조.
2009-04-23 22:50:00 | 관리자
자원 헌물 참조.
2009-04-23 22:49:30 | 관리자
I. 유다 지파 여분네의 아들.
그는 열두 지파에서 나온 열두 명의 정탐꾼 중 하나로 모세의 명령을 받고 약속의 땅을 정탐하고 돌아왔다(민13:1-33; 14:1-45). 그 열두 명 중에서 여호수아와 갈렙만 담대하게 그 땅을 차지하자고 말했고 나머지는 이스라엘 백성을 낙담시키는 말을 하여 심판을 받고 죽었으며 그 결과 이스라엘의 성인 남자 중에서 이 두 사람만 가나안 땅에 들어갈 수 있었다(민14:6-24, 38; 26:65). 갈렙은 정복한 땅을 지파들 가운데 나누는 일을 수행한 통치자 중 하나였으며(민34:19) 그의 충성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약속에 따라 헤브론이 그에게 주어졌다(신1:36; 수14:1-15). 광야에서의 40년 동안의 유랑 이후에 그는 85세였지만 여전히 강건하여 자기의 영토에서 아낙 자손을 몰아내었고 드빌 땅을 정복한 옷니엘에게 시집가는 자기 딸 악사에게 선물을 주었다(수15:13-19; 21:12). 그가 차지한 지역은 오랫동안 그의 이름으로 불렸다(삼상30:14). 가나안 정복 후에 그와 여호수아는 유다와 에브라임의 우두머리로서 민족을 다스렸고 이 두 지파 사이에는 늘 경쟁심이 있었으며 왕정 시대 역시 그들의 후손인 유다와 에브라임이 주축이 된 남 왕국과 북 왕국의 대립을 잘 보여 준다.
II. 훌의 아들.
이 사람의 후손은 베들레헴 지역에 살았다(대상2:50-55).
2009-04-23 22:47:42 | 관리자
소아시아의 한 지방.
이곳은 비두니아의 남쪽, 본도의 서쪽, 갑바도기아의 북서쪽, 루가오니아와 브루기아의 북동쪽에 위치하였다. 사도 바울의 1, 2차 선교 여행 지도 참조(42). 이 이름은 ‘갈리아 사람들’(Gauls)에서 유래되었다. 갈라디아는 땅이 비옥하고 무역이 성행한 지역이었으며 여러 민족에서 나온 식민지 사람들이 많이 거한 곳으로 유대인들도 여기에 많이 거하였다. 바울은 이 모든 사람들로부터 많은 회심자를 얻었음이 분명하다(고전16:1). 그는 주후 51-52년에 처음으로 그곳을 방문했고(행16:6) 그 후에 두 번째로 방문했으며(행18:23) 몇 년 뒤에 갈라디아서를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 방문했을 때 그는 아팠지만 그들은 그를 ‘하나님의 천사’로 받아들이고 기쁘게 복음을 수용했다. 그런데 4-5년이 지나서 예수를 믿는다고 주장하는 유대인 교사들이 그들에게 나타나 바울의 사도적 권위를 부인하고 율법의 행위를 높이며 유대교의 의식과 기독교를 혼합시키기 시작했다. 이런 것을 알게 된 바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갈라디아서를 기록하였다. 그는 그들이 갑자기 진리를 버리고 떠난 것을 책망하고 자기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권위와 사도직을 받았음을 보여 주면서 자기의 사도됨을 변호하고 사람이 율법의 행위와 상관없이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된다는 기독교의 기본 진리를 제시했다. 이런 면에서 갈라디아서는 기본적인 골격이 로마서와 같다.
2009-04-23 22:47:00 | 관리자
앗수르 혹은 니므롯이 세운 아시리아의 도시(창10:11-12).
이곳은 니느웨로부터 좀 떨어진 곳에 있었고 여기와 니느웨 사이에 레센이 있었다.
2009-04-23 22:46:25 | 관리자
I. 갈대아 나라의 사람들 혹은 그 제국의 신하들.
II. 철학자 혹은 점쟁이들. 그들은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별자리를 이용해서 사람의 운명을 예측했다고 전해진다.갈대아 사람들은 호전적인 사람들로서 처음에 아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에 거주했으나(렘50:17) 아시리아 제국이 북쪽으로 확장되면서 그 나라 사람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 결과 이 거친 사람들은 정복자들의 영향 하에서 새로운 성격을 갖게 되어 문화 시민들로 바뀌게 되었다. 하박국 대언자는 갈대아 사람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침범하던 때의 모습을 그리면서 그들의 성격 등을 자세히 묘사한다(합1:6-11). 주전 713년경 히스기야의 통치 때에 처음으로 바빌론 왕이 언급되며 성경에서는 니므롯과 아므라벨이 바빌론의 처음 왕으로 나타난다(창10:8-10; 14:1-2). 히스기야 이후 100년이 지나서 갈대아 사람들은 바빌론 왕국을 차지했는데 이때의 왕은 나보폴라살이었고 그의 아들 느부갓네살이 예레미야와 하박국의 예언대로 팔레스타인을 침공했으며(스5:12; 렘39:5) 그 후에 그의 아들 에빌므로닥이 통치하였다(왕하25:27; 렘52:31). 그 뒤 벨사살의 통치 때에 메대 페르시아가 바빌론을 멸망시켰으므로 갈대아-바빌론 왕조의 통치는 채 100년을 넘기지 못했다.
2009-04-23 22:45:50 | 관리자
바빌론을 수도로 둔 아시아의 국가.
처음에 이 나라는 규모가 작았지만 그 후에 확장이 되어서 좀 더 큰 의미로 바빌로니아를 의미했다. 바빌로니아 참조.
2009-04-23 22:45:11 | 관리자
보통 갈대는 늪에서 자라는 식물을 가리키지만(욥40:21; 사19:6) 어떤 때에는 그냥 우슬초 같은 식물의 줄기를 가리키기도 한다(마27:48; 요19:29). 갈대는 가냘프고 연약하므로 보통 연약함의 상징으로(왕하18:21; 사36:6; 겔29:6), 불안정의 상징으로 쓰였다(마11:7). 한편 상한 갈대는(사42:3; 마12:20) 죄로 인해 멸망으로 들어갈 처지에 있는 부서진 혼을 가리킨다. 바로 이런 혼에게 주님은 은혜롭게 생명을 주시고 살 길을 주신다. 고대에는 갈대를 글 쓰는 도구와 측량 도구로 사용하였다(겔40:5; 42:16).
2009-04-23 22:44:40 | 관리자
니므롯의 도시 중 하나(창10:10).
이곳은 갈노(사10:9), 간네(겔27:23) 등으로도 언급되었으며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 남단 32킬로미터에 위치했다.
2009-04-23 22:44:04 | 관리자
유프라테스 서쪽의 강한 도시. 사10:9에서 이곳은 아시리아의 강한 왕에 의해 점령당한 것으로 나온다.
요시야의 통치 말년에 이집트의 파라오느고는 이곳을 공격했지만(대하35:20) 그 후 5년이 지나 느부갓네살에게 패배 당했다(렘46:1-12).
2009-04-23 22:43:35 | 관리자
I. 휘장을 다는 기둥들에 달린 물건(출26:32, 37; 27:10).
II. 욥기에는 리워야단의 코에 낚시 바늘 갈고리를 꿰는 대목이 나오고(욥41:2) 왕하19:28에서 이 말은 주님을 멸시한 아시리아의 산헤립 왕이 나중에 포로가 되어 가는 것을 표현한다. 이스라엘과 관련해서 이와 비슷한 용례가 암4:2에 기록되어 있다.
2009-04-23 22:42:59 | 관리자
감옥에 갇힌 죄수.
2009-04-23 22:41:31 | 관리자
전적으로 자기 자신을 약혼(정혼) 상대에게만 주겠다고 약속한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범죄.
이것은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음행(fornication)보다 더 심각한 죄였다. 이것은 중대한 죄로서 십계명의 일곱 번째 명령에서 철저히 금하고 있다. 음행은 당사자들의 추후 결혼 등으로 해결될 수 있었지만 간음은 그렇게 해결될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종종 자신을 질투하는 남편으로 비교하셨으며(렘31:32) 하나님을 버리는 것은 극도의 간음과 음행으로 비교되곤 했다(렘3:9; 겔23:36-49). 모세의 율법에 따라 간음의 당사자들은 죽임을 당했다(레20:10; 21:9; 요8:5). 한편 이런 죄를 지은 것으로 의심을 받는 여인은 자신을 해명하기 위해 질투의 물을 마셔야 했다(민5:1-31).
2009-04-23 22:41:00 | 관리자
감옥지기.
2009-04-23 22:40:22 | 관리자
남편이 있는 여자와 간통한 남자 혹은 남편이 있는데도 다른 남자와 간통한 여자.
성경은 한 남자가 다른 남자의 아내와 간음하면 둘 다 죽일 것을 명한다(레20:10). 호세아 대언자는 자기 아내가 간부를 두고 자기를 배신하는 쓰라린 경험을 통해 하나님이 간음한 여인 이스라엘을 여전히 사랑하는 것을 배웠다(호3:1).
2009-04-23 22:39:52 | 관리자
이디오피아의 여왕.
그녀의 국고를 맡은 내시는 전도자 빌립의 선포를 통해 회심하여 그리스도인이 되었다(행8:27).
2009-04-23 22:39:18 | 관리자
간을 감싸는 덮개.
이것은 희생물을 드릴 때에 주로 콩팥과 함께 언급되며 내장의 맛있는 부분으로 간주되어 제단에서 태워 하나님께 바쳤다(출29:13; 레3:4; 4:9; 7:4; 8:16).
2009-04-23 22:38:45 | 관리자
간사한 꾀.
2009-04-22 20:07:29 | 관리자
고대 사람들은 사람의 성정이 간에 들어 있다고 생각하였고(레3:4) 우상숭배자들은 희생 예물의 간을 들여다보고 점을 쳤다(겔21:21).
2009-04-22 20:07:06 | 관리자
양, 염소, 소, 말, 나귀 등과 같이 사람이 집에서 기르는 모든 짐승(창1:24; 13:2).
고대에 가축은 귀중한 재산이었다(창26:14; 욥1:3).
2009-04-22 20:06:25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