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2612개
  이 땅에 문자 그대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천년왕국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믿는 것. 로마 카톨릭 교회는 로마 교회의 교황이 이 세상을 다스리는 현 시대가 곧 천년왕국이며 따라서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한다는 무천년설을 가르친다. 이것은 어거스틴과 그의 추종자들이 추구하는 신학의 근간이 되는 믿음이지만 성경은 결코 이 같은 불신을 지지하지 않는다. 전천년 신앙, 천년왕국 참조.    
2009-06-14 13:02:01 | 관리자
  야곱이 레아에게서 얻은 딸(창30:21). 성경에서는 그녀만이 야곱의 유일한 딸로 기록되어 있다. 자기의 가족이 살렘 근처에서 머무는 동안 그녀는 부주의하게 가나안 족속 여인들과 사귀다가 그 땅의 젊은 통치자 세겜의 유혹에 빠져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녀의 오라비 시므온과 레위가 그녀를 구출하고 그들에게 원수를 갚았지만 그럼에도 이것은 그들의 아버지 야곱에게 큰 슬픔이 되었다(창34:1-31; 49:5-7). 디나는 자기 가족들과 더불어 요셉이 있던 이집트로 내려간 듯하다(창46:15).    
2009-06-14 12:59:46 | 관리자
  유다 왕 아하스가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왕들을 치기 위해 도움을 받으려고 초청한 아시리아의 왕(왕하16:7-10). 그는 요청에 따라 와서는 오히려 아하스로부터 많은 조공을 요구하여 그를 괴롭게 하였고(대하28:20-21) 또한 이스라엘 왕국에서 많은 사람을 포로로 잡아다가 자기 왕국의 여러 곳에 이주시켰으며 (대상5:26; 왕하15:29) 이로써 이사야 대언자의 대언을 성취하였다(사7:17; 8:4). 그는 니느웨에서 19년 동안 통치하였으며 그의 아들 살만에셀이 뒤를 이었다. 그는 다른 곳에서 딜갓빌네살이라고도 불린다(대하28:20).    
2009-06-14 12:59:15 | 관리자
  성막에서 성소에 들어갈 때 왼쪽에, 진열하는 빵의 반대쪽에 금 등잔대가 있었다. 등잔대는 다리와 대와 여섯 개의 가지로 구성되어 있었고 대와 가지들에 총 일곱 대의 등잔이 있었으며 가지들은 잔과 꽃받침과 꽃으로 구성되었다. 등잔들에는 순수한 기름이 있었고 저녁마다 불을 밝혔다(출25:31-40; 30:7-8; 37:17-24; 레24:1-3; 삼상3:3; 대하13:11). 첫 번째 성전에는 지성소의 오른쪽과 왼쪽에 둘 순금 등잔대 열 개가 있었으나(왕상7:49-50; 대하4:7; 렘52:19) 두 번째 성전에는 성막과 비슷하게 한 개의 등잔대만 있었으며 이것은 예루살렘이 멸망될 때에 로마로 옮겨졌다. 스가랴와 요한이 본 등잔대의 환상을 참조하기 바란다(슥4:2-12; 계1:12, 20).      
2009-06-14 12:58:21 | 관리자
  고대 사람들의 등잔은 성경에서 종종 캔들(candles)이라 불리는데 이것은 여러 형태의 우아한 모습의 등잔과 기구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손으로 가지고 다닐 수도 있고 등잔대에 세워 놓을 수도 있었다. 등불은 대개 식물성 기름이나 밀랍 등을 연료로 사용하였으며 밤새도록 빛을 내었다. 그러므로 어두운 집은 예전 주인이 죽었음을 나타내며(욥18:5-6; 잠13:9; 20:20; 렘25:10-11) 등불이 계속해서 타는 것은 국가나 개인의 번영과 형통의 상징이었다(삼하21:17; 왕상11:36; 시132:17). 거리에서 가지고 다니는 등불은 심지가 대기에 노출되었고 다른 손에 들고 다니는 기름통에서 기름을 부어 주어야 했다(마25:3-4). 한편 횃불도 고대의 도시에서는 필수품이었다(요18:3). 참고로 17세기 영어에서 ‘캔들’은 초가 아니라 등불이다.    
2009-06-14 12:57:54 | 관리자
  기럇세벨로 불리던 도시(삿1:11). 이곳은 문서의 도시 혹은 책의 도시를 뜻하며 그 이름으로 보아 가나안 사람들의 문서들을 보관하는 도시로 추정된다. 이것은 유다의 남서부에 있는 도시로 여호수아가 아낙 자손으로부터 빼앗은 곳이지만 가나안 족속이 다시 이곳을 점령하자 옷니엘이 이곳을 빼앗았고 후에는 제사장들에게 주어졌다(수10:38-39; 15:15-17; 21:15). 한편 드빌은 갓 지파에게도 있었고 베냐민 지파의 경계에도 있었다(수13:26; 15:7).    
2009-06-14 12:56:18 | 관리자
  I. 라비돗의 아내 여대언자. 그녀는 라마와 벧엘 사이의 종려나무 밑에 거하면서 이스라엘 사람들을 재판했으며(삿4:4-5) 바락을 불러 시스라를 치게 하고 그에게 승리를 약속했다. 그러나 바락은 그녀가 함께 가지 않으면 혼자 가지 않겠다고 했으며 이에 그녀가 갔으나 이번 여정의 승리가 여인의 승리로 기록되고 그의 것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싸움에서 승리한 후에 드보라는 삿5:1-31에 기록된 승리의 노래를 지었다. II. 리브가의 유모. 그녀는 리브가를 따라 아람에서 가나안까지 왔으며(창24:1-67) 벧엘 근처에서 죽을 때에 그녀를 위해 기념물을 만들었다(창35:8).    
2009-06-14 12:55:50 | 관리자
  헤롯 아그립바 1세의 작은 딸. 그녀는 젊은 아그립바와 버니게의 누이로서 미모와 음욕으로 유명했다. 그녀는 먼저 코마게나의 왕 안티오쿠스의 아들이 유대교를 수용한다는 조건하에 그와 약혼했으나 그가 할례를 거부하자 그녀의 오빠는 그녀를 에메싸의 왕 아지주스에게 주었다. 그런데 벨릭스가 유다의 총독으로 부임하자 그녀의 오빠는 그녀를 설득해서 그녀의 남편과 그녀의 종교를 버리고 벨릭스의 아내가 되게 했다. 한편 바울은 그들 앞에서 기독교의 진리를 증언했다(행24:24). 그녀와 그녀의 아들은 나중에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 때에 죽었다.    
2009-06-14 12:55:20 | 관리자
  소아시아의 북서쪽에 있던 무시아의 해양 도시. 이 도시는 마케도니아와 로마의 식민지로 번창하였다. 사도 바울은 주후 52년경 잠시 이곳에 있다가 배를 타고 마케도니아로 갔고(행16:8-11) 주후 57년경에 두 번째 방문해서 성공적으로 사역을 감당하였다(고후2:12-13). 그는 세 번째 여기 와서 일주일을 보냈으며 유두고를 기적적으로 살리기도 하였다(행20:5-14; 참조 딤후4:13). 사도 바울의 1, 2차 선교 여행 지도 참조(42).    
2009-06-14 12:54:08 | 관리자
  바울의 제자. 그는 에베소 사람으로 이방인이며 바울과 함께 고린도에 왔다가 예루살렘에까지 함께 갔다(행20:4). 바울이 성전에 있을 때에 유대인들은 그를 붙잡고 “이 자가 성전에 그리스 사람을 데리고 들어와 성전을 더럽혔다.”고 말했는데 그 이유는 바울이 드로비모와 함께 예루살렘에 있는 것을 그들이 보고 그가 드로비모를 성전에 데리고 갔을 것이라고 추측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바울은 드로비모가 아파서 밀레도에 두고 떠났다고 기록하는데(딤후4:20) 이것은 비록 바울이 사도의 표적을 행하였지만(고후12:12) 사역의 후반부에 가서는 말씀이 기록되면서 병 고치는 선물(은사)이 그에게서 떠났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말씀이 기록으로 주어지면서 하나님의 계시가 완성되자 대언, 방언, 병 고치는 선물 등과 더불어 사도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선물, 타언어 참조.    
2009-06-14 12:53:02 | 관리자
  소아시아의 이오니아의 마을과 곶. 이곳은 사모의 반대편에 있으며 드로길리움 곶은 미칼레 산의 돌출부이다. 바울은 이곳을 거쳐 예루살렘에 갔다(행20:15).    
2009-06-14 12:52:30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