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066개
  노아의 자손들이 홍수 후 120년이 지나서 니므롯을 중심으로 지은 높은 탑. 여기서 하나님께서 이 일에 참여한 사람들의 말을 혼잡하게 했으므로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되었다(창10:10; 11:9). 그들이 도시와 탑을 쌓은 것은 거기에 자리를 잡고 흩어지지 않으려 함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홍수 후에 땅을 채우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것이므로 하나님께서는 기적으로 그들이 서로 다른 말을 쓰게 하시고 결국 온 세상으로 흩어지게 하셨다(행2:1-11). 탑은 완공되지 못했지만 기초는 놓였고 거기에 남은 사람들이 바로 그 자리에 바빌론 도시를 세웠으며 결국 그 탑을 완공해서 벨루스의 탑이라 불렀다. 헤로도토스는 거기를 방문해서 그것이 피라미드 형태이며 그것의 기초의 둘레가 0.8킬로미터 정도였다고 기록했다. 이 탑에서 벨 숭배와 점성술이 이루어졌으며 많은 유물이 거기에 보관되었고 예루살렘에서 빼앗은 유물들도 여기에 보관되었다(대하36:7; 렘51:44). 느부갓네살 참조.    
2009-04-22 15:19:43 | 관리자
  그리스의 관용 표현에 의하면 그리스 사람들을 제외한 모든 민족은 아무리 학식이 있고 예의가 있어도 다 바바리인이었다. 그러므로 ‘그리스인이나 바바리인이나’라는 표현은 결국 모든 이방인을 가리키는 것이다(롬1:14).
2009-04-22 15:19:01 | 관리자
  산당(겔20:29). 이것의 복수형은 바못(Bamoth)이며 바못바알은 모압의 경계 근처에 있던 히브리 사람들이 머물던 곳으로(민21:20; 22:41) 후에 르우벤 지파에게 배정되었다(수13:17). 물론 이곳에서 바알 숭배가 이루어졌고 사15:2에 나오는 산당들은 이런 곳을 의미했을 것이다. 산당 참조.  
2009-04-22 14:23:35 | 관리자
  유대인들의 분파의 하나. 그들은 교리나 실행의 주요 문제에서는 서로 동의하였지만 작은 문제에서는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 예를 들어 유대교의 유명한 학파인 힐렐과 샤마이 파가 그러하였다. ‘바리새’라는 이름은 ‘분리하다’를 뜻하는 히브리말에서 나왔으며 이것은 그들이 지혜와 성별에서 다른 사람보다 우위에 있음을 뜻하였다. 그들은 바빌론 포로 생활 이후에 하나의 특정한 분파로 등장하였다. 그들은 구약성경의 기록된 말씀이 유대교의 근원이라고 생각하면서도 금식, 기도, 구제, 이방인과 세리들과 접촉하는 것 등의 외적 의식에 관한 한 여러 가지 전통과 규례를 첨가하였고(마6:5; 9:11; 23:5; 막7:4; 눅18:12) 그래서 미신과 자기 의를 세우려는 형식의 틀에서 천주교와 비슷하다 할 수 있다. 그들은 모세의 율법 조문을 중시하였지만 자기들의 전통과 철학으로 그 안의 영적 진리를 무시하였다(마5:31, 43; 12:2; 19:3; 23:23). 그들은 겉으로 경건하게 드러났고 거룩하게 보였으므로 보통 사람들 특히 여성들에게 좋은 평을 받았다. 그들은 스토아 학파 사람들처럼 모든 것이 운명에 의해 규제되지만 사람의 의지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고 믿었고 혼의 불멸과 몸의 부활을 믿었다(행23:8).   그리스도께서는 여러 차례 그들의 위선과 교만과 탐욕을 책망하셨으며(마6:2, 5; 23:1-39; 눅16:14; 18:9; 요7:48-49; 8:9.) 이로 인해 그들은 처음부터 그분을 미워하고(마12:14) 그분을 죽일 방도를 구했으며 그 결과 그분의 피가 그들과 그들의 후손에게 돌아갔다. 한편 그들 중에는 아리마대 요셉과 니고데모와 시므온처럼 진실로 경건한 사람들도 있었다(마27:57; 눅2:25; 요3:1). 다소의 사울 역시 엄격한 바리새인이었다(행26:5; 갈1:14). 사두개인, 분파 참조.  
2009-04-22 14:23:03 | 관리자
  I. 시므온 지파에 속한 므홀랏 사람. 그는 사울의 딸 메랍과 결혼한 아드리엘의 아버지였다(삼상18:19; 삼하21:8). II. 길르앗 출신의 노인. 그는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으로 인해 요르단 강을 건너 피난할 때 많은 양식과 침상과 필수품을 가져와 왕과 왕의 신하들을 도왔다(삼하17:27; 19:32). 다윗이 돌아갈 때에 그는 요르단까지 함께 갔으나 나이로 인해 예루살렘으로 가서 영광을 누리는 것은 사양했다. 다윗은 솔로몬에게 유언을 남겨 바르실래의 가족에게 친절을 베풀고 그들을 왕실의 가족들로 만들라고 말했다(왕상2:7). III. 위에서 언급된 바르실래의 딸과 결혼한 제사장(스2:61; 느7:63).  
2009-04-22 14:21:48 | 관리자
  I. 네리야의 아들. 그는 유다의 명문 집안 아들이었으며 예레미야 대언자의 신실한 친구였다. 주전 605년경에 그는 예레미야의 입에서 나온 하나님의 모든 말씀을 기록하고 백성과 통치자들에게 낭독해 주었다. 그런데 통치자들이 이것을 가지고 여호야김 왕에게 갔으나 그는 그 책을 불살라 버렸고 이에 바룩은 한 번 더 예레미야의 입에서 말씀들을 받아 적었다(렘36:1-32). 그는 자기 형제 스라야와 함께 바빌론으로 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예레미야가 바빌론을 존중히 여기라고 말했기 때문일 것이다(렘51:59-64). 후에 그는 예레미야와 함께 핍박을 공유하며 옥에 갇히고 반역하는 유대인들과 함께 강제로 이집트로 가게 되었다(렘43:1-13). II. 느헤미야의 친구 중 하나(느3:20; 10:6; 11:5).  
2009-04-22 14:20:19 | 관리자
  팔레스타인 지방에는 주로 남서풍이 불었으며(눅12:54) 고대에는 북풍이 자주 일기도 하였는데(욥37:9) 이것은 좋은 날씨를 예고하며 따라서 북풍이 비를 몰아낸다는 잠25:23을 지지한다. 성경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바람은 열매를 말리는 데 쓰인 바람과(창41:6; 겔17:10; 19:12) 큰 위력을 가진 바람(시48:7; 겔27:26; 욘4:8) 등인데 후자는 주로 뜨겁고 메마른 여름에 남동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돌풍을 의미한다. 이 바람은 아라비아 사막에서 불어오므로 열기가 대단하고 그래서 모든 것을 마르게 하였다. 유로클루돈 참조.  
2009-04-22 14:19:22 | 관리자
  팔레스타인 남쪽에 있는 큰 사막 지대(창14:6). 이곳은 엘아라바 계곡 즉 사해에서 아카바 만으로 내려가는 계곡의 서쪽에 있었으며 이스라엘 사람들이 38년 동안 유랑하던 광야 지역 근처에 있었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사흘 정도 가면 시내 산이 있으며(민10:12, 33; 12:16) 이곳의 북쪽에는 가데스와 신이 있다(민13:3, 21, 27). 여기에서 하갈과 이스마엘이 거하였고(창21:14, 21) 다윗과 하닷이 잠시 머물렀다(삼상25:1; 왕상11:18).  
2009-04-22 14:18:43 | 관리자
  아비노암의 아들. 그는 납달리 지파에 속한 게데스 출신이다. 하나님께서는 여대언자 드보라를 이용하여 그를 부르시고 이스라엘을 가나안 왕 야빈의 손에서 구출하셨다. 그는 여대언자와 함께 가서 10,000명을 모아 다볼 산에 주둔시켰는데 이것은 적군이 900대의 철 병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삿4:3). 하나님께서 그들을 위해 전쟁에서 싸우셨고 드보라와 바락은 이것을 찬양했으며(삿5:1-31) 후에 바락은 믿음의 영웅들의 명단에 들어갔다(히11:32).  
2009-04-22 14:18:12 | 관리자
  그리스도 당시의 유명한 강도. 그는 폭동과 살인으로 감옥에 갇혔다. 그 당시에는 로마의 총독이 유월절에 유대인들이 원하는 죄수 하나를 놓아주는 관례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빌라도는 예수님을 놓아주려 했으나 유대인들은 대신 바라바를 놓아달라고 요구하였다(마27:16-26).  
2009-04-22 14:17:41 | 관리자
  디매오의 아들. 그는 눈먼 사람이었으나 주님께서 여리고 길에서 그에게 시력을 주셨다(마20:29-34; 막10:46-52; 눅18:35-43). 마태는 두 명의 눈먼 사람이 고침을 받았다고 기록하지만 마가와 누가는 단지 바디매오만 언급한다. 한편 아버지의 이름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는 그 지역에서 잘 알려진 사람의 아들이었던 것 같다. 그의 강건한 믿음과 예수 그리스도의 불쌍히 여기는 심정을 담은 이 이야기는 모든 사람이 믿음을 가지고 담대하게 그분께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2009-04-22 14:15:07 | 관리자
  고대 이집트의 세 부분 중 하나(사11:11; 렘 44:1, 15; 겔29:14; 30:14). 이곳은 이집트 남부를 뜻하며 에스겔은 이곳을 이집트와 구분하고 있다. 이곳은 원래 이집트 사람들이 거하던 곳으로 이곳의 거주민들은 미스라임의 후손인 바스루심이다(창10:14).  
2009-04-22 14:14:42 | 관리자
  열두 사도 중 하나(마10:3; 막3:18; 눅6:14; 행1:13). 그는 주로 빌립과 함께 언급되며 요한이 나다나엘이라고 부른 사람과 동일 인물로 보인다(요1:45-51). 요21:2에도 그의 이름이 나오는데 아마도 나다나엘이 그의 실제 이름이었을 것이고 ‘돌매의 아들’이라는 뜻의 바돌로매는 성이었을 것이다. 사도, 나다나엘 참조.  
2009-04-22 14:14:11 | 관리자
  바대는 메데(페르시아)의 동부에 있던 한 지방으로 추정되며 이곳 사람들은 싸움과 말 타는 일에 능숙한 것으로 유명하다. 오순절 날에 유대인들과 개종자들이 이 지역에서 예루살렘에 왔다(행2:9).  
2009-04-22 14:13:37 | 관리자
  소아시아의 해양 도시. 이곳은 원래 아폴로의 신탁으로 유명하였으며 바울은 빌립보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면서 여기서 페니키아로 가는 배를 찾아 탔다(행21:1).
2009-04-22 14:11:14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