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294개
  복음 전도자 누가가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기록하여 보낸 사람(눅1:3; 행1:1). 아마도 그는 팔레스타인에 거하는 유명 인사였으며 이교주의를 버리고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2009-05-04 00:44:33 | 관리자
  마케도니아의 주요 도시 겸 항구. 에게해 지도 참조(41). 이곳은 로마 총독의 거주지였으며 특히 여기에는 유대인이 많이 살아서 바울은 주후 52년경 여기의 회당에서 세 안식일에 연속해서 말씀을 선포하였다. 그런데 어떤 유대인들이 바울을 핍박하자 형제들이 몰래 그를 빼내어 베레아로 보내었다(행17:1-34). 바울은 아테네와 고린도로 가기 위해 마케도니아를 떠나면서 디모데와 실라를 데살로니가에 남겨 두어 자신의 사역으로 회심한 그들을 돕게 하였고 후에 데살로니가전후서를 기록하였다.    
2009-05-04 00:43:57 | 관리자
  I. 에베소의 은 세공업자(행19:24). 그는 에베소에서 다이아나 여신의 은 성물함을 만들어 외국인들에게 팔아 많은 이득을 얻었으나 에베소뿐만 아니라 그곳의 주변 지역에 복음이 퍼지는 것을 보고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소집한 뒤 기독교에 의해 자기들의 생업이 위험에 처했을 뿐만 아니라 에베소에서의 다이아나 숭배가 폐기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설득하여 도시에서 소요 사태를 일으켰지만 마을 서기가 이것을 진정시켰다. II. 좋은 명성을 가지고 있던 크리스천 제자 혹은 사역자(요삼12).    
2009-05-04 00:42:40 | 관리자
  에서의 손자인 데만이 정착한 이두매아 동부의 도시와 지역(창36:11, 15, 42; 암1:12; 합3:3). 데만 사람들은 다른 에돔 사람들처럼 지혜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였다(창36:34; 렘49:7, 20; 옵21). 욥기에서 데만 사람 엘리바스의 말을 살펴보기 바란다.  
2009-05-04 00:42:14 | 관리자
  다마스커스를 향한 아라비아 사막 북쪽에 있던 이스마엘 족속과 그들의 거주지(창25:15). 이곳은 드단과 관련이 있고(사21:14; 렘25:23) 행상들로 유명하였다(욥6:19).  
2009-05-04 00:41:37 | 관리자
  바울과 함께 일하던 동역자. 후에 그는 일이 어려워서 혹은 세상을 사랑하는 마음에 사로잡혀 그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떠났다(골4:14; 딤후4:10; 몬24).  
2009-05-04 00:41:11 | 관리자
  나홀의 아들. 그는 나홀과 하란과 아브라함의 아버지였고(창11:24) 갈대아의 우르에서 72세에 아브라함을 낳았다. 데라와 그의 가족은 메소포타미아의 하란까지 함께 갔고(창11:31-32) 그는 거기서 205세에 죽었다. 성경은 데라가 우상숭배를 했거나 혹은 참 하나님과 우상을 함께 섬겼음을 보여 준다(수24:2, 14). 어떤 이들은 아브라함도 처음에는 이렇게 행하였으나 후에 하나님의 은혜로 우상숭배가 헛된 줄을 알고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아온 것으로 믿는다.    
2009-05-04 00:40:41 | 관리자
  예수님 당시 팔레스타인의 한 지역. 신약시대의 땅 지도 참조(39). 이곳은 요르단 양쪽에(주로 동쪽에) 10개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있었다. 비록 이곳이 이스라엘의 경계 안에 있기는 했지만 많은 이방인들이 여기 거주했으므로 이방인들의 이름을 갖게 되었고 또 이런 이유로 여기 사람들은 이 지역에서 유대인들이 싫어하는 돼지 떼를 키웠다(마8:28-34).    
2009-05-04 00:39:44 | 관리자
  이 말은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요구되는 선함과 도덕적으로 뛰어난 것을 뜻한다(빌4:8). 덕은 믿음의 훈련에서 꼭 필요한 항목이다(벧후1:3, 5). 어떤 경우에 이 말은 권능이나 효능을 뜻하기도 한다(눅6:19).  
2009-05-04 00:37:58 | 관리자
  소아시아의 루가오니아의 작은 마을. 주후 41년경에 바울과 바나바는 루스드라에서 여기로 도피했으며(행14:20) 여기서 많은 제자를 얻었다. 여기에는 나중에 바울과 함께 수고한 가이오도 포함되어 있다(행20:4).    
2009-05-04 00:37:29 | 관리자
  로마의 풍습에 익숙하지 않은 유대인들이 가이사랴에 있던 로마의 총독에게 바울을 고소하기 위하여 고용한 로마의 변호사(행24:1-2).  
2009-05-04 00:36:35 | 관리자
  노아 시대에 온 땅을 덮은 대홍수. 이때에 살아남은 사람은 노아의 가족 여덟 명 뿐이었고 모세는 하나님의 영감을 힘입어 이 사건을 기록했다(창6:1-22; 7:1-24; 8:1-22). 방주 참조. 사람들의 죄들이 이 홍수의 근본 원인이었으며 연대기를 볼 때 주전 2348년경에 홍수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성경의 연대 2 선도 참조(2). 여덟 사람이 방주에 들어가서 문이 닫힌 뒤 시작된 홍수는 40일간 비를 뿌렸고 하늘과 지하수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큰 깊음의 모든 샘들이 터지고 하늘의 창들이 열리며 비가 사십 일 동안 밤낮으로 땅 위에 쏟아졌더라”(창7:11-12). 이때에 노아의 가족들을 제외하고 모든 사람과 땅에 거하던, 숨을 쉬는 육체는 다 멸망했다. 그 후 다섯 달 동안 물이 계속해서 불어났고 세상에서 가장 높은 산의 정상보다 7미터 정도 위까지 늘어났다. 그 뒤 물이 줄어들어 높은 산들이 보이기 시작했고 방주는 아라랏의 산들 위에 닿았다. 그 뒤 3개월이 지나면서 작은 산들이 보였고 다시 40일이 지나서 노아는 땅이 마른 것을 확인하기 위해 까마귀와 비둘기를 내보냈다. 그 뒤 그는 방주의 뚜껑을 열고 나와서 제단을 세우고 하나님께 헌물을 드렸으며 하나님은 다시는 홍수로 사람을 멸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시고 무지개를 표적으로 주셨다. 이 세상의 모든 민족들이 노아의 후손들이므로 대부분 민족들의 전설에는 홍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고 이집트, 갈대아, 페니키아, 그리스, 중국 사람들의 고대 이야기도 이것을 지지한다. 신약성경은 노아의 대홍수가 창조와 이 세상 최후의 심판 때의 불 심판과 같이 하나님의 권능을 보여 주는 놀라운 사건이라고 말한다. 특별히 노아의 대홍수는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과 반드시 죄를 심판하시는 것을 보여 주는 데 사용되었고(벧후3:5-7) 또 그리스도의 재림을 보여 주는 데도 사용되었다(마24:38). 노아, 노아의 방주 참조.    
2009-05-04 00:36:11 | 관리자
  위가 넓적하고 운두가 낮으며 뚜껑이 없는 그릇. 이것은 성전의 그릇으로 쓰였고(스1:10) 어떤 때는 대야 혹은 대접으로 번역되었다(대상28:17; 스8:27).    
2009-05-04 00:35:43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