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294개
  여러 개의 히브리말이 강으로 번역되었다.   I. 예오르(Yeor). 이것은 이집트말로 강을 뜻하며 욥28:10과 단12:5-7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나일 강과 그 주변의 여러 수로를 뜻한다. II. 나하르(Nahar). 이것은 유프라테스 강처럼 항상 흐르는 강을 뜻한다. 영어에서는 종종 큰물을 뜻하는 홍수 즉 flood로 번역되기도 하였다(수24:2-3 등). III. 나할(Nahal). 이것은 우기에만 물이 흘러가는 골짜기(민34:5 등)며 그래서 종종 시내라 번역되었다(민13:23; 욥6:15 등). 이런 시내는 동방 사람들에게 신실하지 못함과 지속성이 없음을 뜻하였다. 우기에는 흐르고 해가 내려쬐는 여름에는 말라버리는 시내는 간절한 기대를 갖고 거기를 찾은 여행자들에게 큰 실망을 주곤 하였다(욥6:15-20; 렘15:18). 한편 성경에서 강이라는 단어는 탱크나 저수지 등에서 소량의 물을 흘려보내는 수로를 뜻하기도 하였다(겔31:4). 이런 수로들은 대개 사람들이 흙을 밟아서 만들었으며 그래서 신11:10 말씀 즉 “거기서는 너희가 씨를 뿌린 뒤에 채소밭에 물을 대듯 발로 물을 대었다.”는 말씀은 이와 상관이 있는 듯하다(잠21:1 참조).    
2009-05-03 23:01:51 | 관리자
  I. 야곱과 레아의 여종 실바의 아들(창30:11). 레아는 그에게 ‘군대가 온다’는 뜻을 가진 갓이라는 이름을 주었다(창49:19). 이집트에서 나온 갓 지파는 45,650명이었으며(창46:16; 민1:25) 옥과 시혼을 멸한 뒤에 갓과 르우벤 지파는 자기들의 가축이 많으므로 요르단 동쪽에서 땅을 얻기 원했고 모세는 그들이 자기 형제들과 함께 요르단 서쪽으로 가서 그곳을 정복하는 일을 도우면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민32:1-42). 갓의 상속지는 북쪽으로 므낫세, 남쪽으로 르우벤 사이에 있었고 서쪽으로는 요르단, 동쪽으로는 암몬 족속의 땅이 경계였다. 한편 그들의 북서쪽은 갈릴리 바다로 뻗어나갔다.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와 갓 지파 지도 참조(19,26). 이곳은 좋은 목초지였으나 동쪽의 아라비아 사람들로 인해 갓 지파는 늘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신33:20; 대상5:18-26; 12:8). 갓의 주요 도시들은 길르앗의 도시들이라 불렸다(수13:25). II. 다윗의 친구, 선견자, 대언자. 그는 다윗이 사울에게 박해를 당할 때에 그를 따라다녔고 종종 그에게 보내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했다(삼상22:5; 삼하24:11-19; 대상21:9-19; 대하29:25). 그는 다윗의 일생을 담은 기록을 남긴 것 같다(대상29:29).    
2009-05-03 23:00:12 | 관리자
  소아시아의 가장 큰 지방. 이곳의 북쪽에는 흑해 근처의 본도, 남쪽에는 길리기아와 시리아, 서쪽에는 갈라디아, 동쪽에는 유프라테스와 아르메니아가 있었다. 사도 바울의 3차 선교 여행 지도 참조(43). 이곳은 목초지가 좋고 따라서 말과 나귀와 양이 좋은 것으로 유명했으며 거기에는 또 유대인들이 많이 머물렀고(행2:9) 그래서 여기에 기독교가 빨리 소개되었다(벧전1:1).    
2009-05-03 22:59:13 | 관리자
  빌라도가 거하는 집 앞에 있던 장소로 ‘높이 올라간 곳’을 뜻한다. 여기서 그는 주님을 향해 죽음의 선고를 내렸다(요19:13). 이것은 그리스말로 ‘돌로 포장한 곳’이라는 뜻이며 그 당시 부유한 로마 사람들에게 유행하던 ‘대리석으로 조금 높이 만든 장소’를 가리키는 것 같다.    
2009-05-03 22:58:43 | 관리자
  미스라임의 후손들, 가슬루힘의 친족(창10:13-14). 그들은 가슬루힘 부족의 거주지 근처에서 아프리카의 북동부 지역에 거주하였으며 이 둘은 블레셋 사람들의 조상으로 언급되었다(창10:14; 신2:23; 암9:7). 이 두 부족으로 구성된 식민지 사람들은 지중해 동남부 연안의 지역에서 아비 족속을 몰아내고 블레셋이라는 이름으로 그 땅에 거한 것으로 추정된다. 블레셋 사람들 참조.    
2009-05-03 22:58:09 | 관리자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행하신 모든 것으로 인해 감사를 표시하는 찬양의 행위. 구약성경에서는 역사를 통해 하나님께서 자신의 선민인 이스라엘에게 베푸신 구원에 대한 감사가 자주 언급된다(시136). 따라서 감사는 예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성전에 나아가는 것이 감사였고(시95:2) 노래나 희생물을 드림으로 감사를 표현하였다(시54:6). 신약성경에서는 그리스도께서 대신 속죄를 이루신 것이 감사의 원천이다. 이상적으로 감사는 고맙게 여기는 마음에서 나와야 하지만 모든 신자들은 처지와 상황에 상관없이 하나님께 감사를 드려야 한다(살전5:18). 신자는 모든 것으로 인해 하나님께 감사해야 하며(엡5:20; 골3:17) 특히 구원과 성화로 인해 그리해야 한다(롬7:25; 골1:3-5; 살전1:2-7; 2:13). 또한 성도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완전한 뜻에 따라 기도에 응답해 주실 것을 기대하며 감사해야 한다(빌4:6; 롬8:28-29).    
2009-05-03 22:57:20 | 관리자
  어떤 것을 책임지고 감독하는 사람. 신약성경에는 행20:28; 빌1:1 등에 감독 혹은 감독자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런 의미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 혼의 목자요 감독이시다(벧전2:25). 신약성경에서 감독은 곧 장로요 목사이다. 감독의 자격은 딤전3:1-7; 딛1:7 등에 자세히 나와 있다. 목사 참조. 처음부터 교회에는 치리자로 감독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교회가 세상과 타협하여 로마 카톨릭 교회가 생겼고 그 시스템에서는 감독이 지금의 목사가 아니라 주교가 되고 말았다. 그래서 성경대로 믿는 신자들은 천주교의 주교를 뜻하는 감독 대신 목사라는 명칭을 더 선호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끝으로 신약성경에 나오는 감독은 항상 한 지역 교회의 감독이며 결코 한 지역이나 나라의 모든 목사들을 다스리는 주교로서의 감독이 아니다.    
2009-05-03 22:56:54 | 관리자
  Ward는 ‘호위를 받게 하다’는 뜻으로 ‘구속되는 것’을 말한다(창40:3; 레24:12). 또 Ward는 호위하며 직무를 지키는 것이나(느12:25; 사21:8) 혹은 호위대 자체를 가리키기도 하였다(행12:10; 참조 대상25:8; 26:16).
2009-05-03 22:56:28 | 관리자
  이에 상응하는 히브리말은 옆구리를 뜻하며 하나님은 아담의 옆구리 갈비뼈에서 하나를 취하여 이브를 만드셨다(창2:21-22). 성경은 사람을 창이나 칼로 죽일 때 다섯 번째 갈비뼈 밑을 찔렀다고 기록한다(삼하2:23; 3:27; 4:6; 20:10).  
2009-05-03 22:56:01 | 관리자
  해골의 장소. 이곳은 우리 주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곳으로 예루살렘 근처의 성벽 밖에 있었다(마27:33; 막15:22; 요19:17, 20; 히13:12). 바로 이곳에 개인의 정원과 무덤이 있었고 그리스도의 몸이 여기에 안치되었다(요19:41-42). 유일하게 ‘킹제임스 성경’(KJV)만이 눅23:33에 갈보리라는 이름을 기록하고 있다.    
2009-05-03 22:55:35 | 관리자
                                  갈멜 산과 하이파    I. 유다의 도시. 이곳은 헤브론에서 동남쪽으로 13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수15:55). 이 산에서 사울은 아말렉을 치고 전리품을 취하며 승리를 기념하는 처소를 세웠고(삼상15:12) 아비가일의 남편 갈멜 사람 나발 역시 여기 거했다(삼상25:2). II. 가나안 땅의 북서쪽 산지. 이곳의 정상은 450미터 정도이다. 이곳의 북동쪽에는 기손 시내가 있고 12세기에는 천주교의 갈멜파 수도원이 이 지역에 세워졌다. 갈멜 산 밑으로는 넓은 광야가 있고 거기에는 밭과 올리브나무가 많았다. 엘리야와 엘리사가 이곳을 자주 방문했으며(왕하2:25; 4:25) 이곳은 특별히 엘리야가 하늘에서 불을 내려 바알의 대언자들을 멸한 것으로 유명하다(왕상18:1-46).    
2009-05-03 22:55:04 | 관리자
  그리스도 당시에는 갈릴리가 요르단 서부와 사마리아 북부의 팔레스타인 지역을 포함했지만 바빌론 포로기 이전에 이 이름은 북부 경계 근처의 작은 지역을 의미했다(왕상9:11). 예수님 당시에 갈릴리는 위와 아래로 나뉘어서 위 갈릴리는 스불론 지파의 영토의 북쪽과 산간 지역을 포함했고 아래 갈릴리는 비옥하고 좀 더 평평한 지역으로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을 가리켰으므로 전체 갈릴리는 잇사갈, 스불론, 납달리, 아셀을 포함했다. 아래 갈릴리에는 400여 개의 마을이 있었으며 신약성경에 자주 나오는 나사렛과 가버나움도 이 마을들 가운데 하나였다(막1:9; 눅2:39; 요7:52). 신약시대의 땅 지도 참조(39). ‘이방인들의 갈릴리’는 위 갈릴리였는데 그 이유는 그곳의 경계가 두로와 시돈이었고 또 거기에 페니키아, 시리아, 아랍 사람들 같은 이방인들이 많이 살았기 때문이다. 갈릴리 사람들은 용감하고 근면했지만 다른 유대인들은 그들이 우둔하고 예의가 없고 반역을 도모하는 사람이라고 여기며 경멸의 대상으로 삼았다(눅13:1; 23:6; 요1:46; 7:52). 그들은 예루살렘 사람들이 구별할 수 있는 사투리를 쓴 것으로 추정된다(막14:70). 사도들과 초기 신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갈릴리 출신이었고(행1:11; 2:7) 물론 그리스도도 갈릴리 사람이었다. 그래서 갈릴리 사람이라는 말은 그분과 그분의 제자들을 모욕하는 이름이 되었다. 우리의 구원자 그리스도는 어려서부터 서른 살이 되기까지 여기서 살았고 공생애 중에도 많은 시간을 여기서 보내셨다. 그래서 나사렛, 나인, 가나, 가버나움, 갈릴리 바다는 그분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이 기억하는 장소가 되었다. 왜냐하면 그분께서 거기서 말씀을 선포하시고 많은 기적과 이적을 행하셨기 때문이다. 바다 참조.    
2009-05-03 22:54:08 | 관리자
  사도 바울 당시 클라우디우스 황제 때 아가야의 총독(행18:12-17). 그는 철학자 세네카의 형이었고 고린도에 거주했다. 고린도의 유대인들이 바울을 대적하려고 소동을 일으키고 그를 재판석 앞으로 끌고 갔을 때 그는 그들의 요구를 들어 주지 않았다. 그때 거기 있던 그리스 사람들은 유대인들에 대한 처사가 합당하다고 느꼈고 그래서 회당의 치리자 소스데네를 붙잡아 재판석 앞에서 때렸다. 평상시 같으면 갈리오가 이런 일을 허락하지 않았을 터이나 그때에는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었다.    
2009-05-03 22:53:32 | 관리자